본 연구는 도서관에서 이루어지는 테마 컬렉션의 개념을 정립하고, 테마 컬렉션 운영의 실제를 밝혀 향후 테마 컬렉션 구축과 운영을 위한 방법론 설정 및 향후 발전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서울․경기지역 공공도서관 네 곳의 관장 및 테마 컬렉션 담당 사서 총 12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수행하였다. 분석의 결과, 테마 컬렉션은 자관의 장서와 이용자 및 커뮤니티에 대해 충실하게 이해하고, 자관의 서비스 목표와 지향을 공유한 상태에서 제대로 구축되고 기능할 수 있음을 밝혔다. 또한 테마 컬렉션 구축 업무는 사서 개인의 정체성 확립에 기여하는 면이 있으며, 기존의 도서관 업무 경계를 넘나드는 상호 연계된 성격을 지녔음을 파악하였다. 마지막으로 테마 컬렉션 구축 및 운영을 위해서 참조할 수 있는 현행 테마 컬렉션의 종합적인 모형을 제시하고 이의 의의와 향후 과제를 논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the concept of theme collection in the library, to clarify the reality of the theme collection operation. This study was to set up methodology for constructing and operating the theme collection in the future and to provide implications for future development.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a total of 12 directors and librarians from four public librarie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 theme collection can be built and function properly with a solid understanding of its collection, users and community, and sharing its services goals and orientation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task of constructing a theme collection contributes to the establishment of the identity of the librarian, and it is interrelated with the various library works. Finally, a comprehensive model of current theme collections was discussed.
강미혜. 1996. 대학도서관의 전시에 대한 효과 분석.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0(2): 107-125.
김영석, 박연식, 이용주. 2018. 『북 큐레이션, 책으로 말을 걸다』. 경기도도서관총서 21. 수원: 경기도사이버도서관.
박양하. 2016. 학교도서관 북 큐레이션 서비스를 위한 도서추천 기준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7(1): 279-303.
박휴용. 2014. 『초보 연구자를 위한 질적연구 방법론』. 전주: 전북대학교 출판문화원.
백지원. 2018. 공공도서관 테마 컬렉션의 기능과 특성. 『한국문헌정보학회지』, 52(4): 51-69.
안정희. 2015. 『책 읽고 싶어지는 도서관 디스플레이』. 경기도도서관총서 13. 수원: 경기도사이버도서관. [online] [cited 2019. 4. 11.]<https://memory.library.kr/files/original/3344fabd94516dfc9bab726d1688df94.pdf>
이은정, 김기영. 2017. 학교도서관 이벤트컬렉션 프로그램의 독서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사 분야를중심으로. 『정보관리학회지』, 34(1): 73-110.
정유라, 이지연. 2017. 공공도서관의 테마전시 이용에 따른 이용자의 도서관 인식 및 이용행태 변화연구. 『정보관리학회지』, 34(2): 27-45.
플릭, 우베. 2009. 『질적 연구방법』. 임은미, 최금진, 최인호, 허문경, 홍경화 역. 한울아카데미 1102. 서울: 한울.
W. M. Tharanga Dilruk Ranasinghe, Jun Min Chung. 2019. Understanding the Curation Service in Libraries: Is it a Revolution or an Evolution of Reference Service?.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50(2): 215-235.
Baker, S. L. 1986. “The display phenomenon: An exploration into factors causing the increased circulation of displayed books.” Library Quarterly, 56(3): 237-257.
Camacho, L., Spackman, A., and Cluff, D. 2014. “Face out: The effect of book displays on collection usage.” Journal of Business & Finance Librarianship, 19(2): 114-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