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관 웹사이트는 도서관 정보자원과 이용자를 연결해주는 수단이자 매개체이다. 그러나, 기존의 도서관 웹사이트와 검색시스템은 정보자원에의 검색방식 및 접근방법이 대부분 비장애인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계되어, 장애인 이용자는 도서관 웹사이트를 통한 도서관 정보자원에의 접근과 이용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와 같은 도서관서비스는 장애인 이용자에게 도서관 웹사이트 및 정보자원에의 접근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되기 때문에, 장애인 이용자의 도서관 정보자원에의 접근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도서관 웹사이트에의 접근 편의성과 검색 용이성, 정보자원의 제공 충분성 등이 제공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장애인 이용자의 정보요구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고, 도서관 웹사이트의 접근성과 검색 용이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이자 차후 장애인을 위한 도서관 웹사이트의 검색시스템을 구축하는 데 필요한 토대연구로, 우리나라의 국․공립 도서관 웹사이트의 검색시스템에 대해 현황조사 및 분석을 실시한다. 그리고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개선방안을 간단하게 나열한다.
Library website is medium for connecting library information resources and users. However, searching and accessing methods to information resources in library websites and retrieval systems are mostly designed for users. So, the disabled users have difficulty accessing and using library information resources through library websites. Therefore, the author carried on current status study and analysis on the retrieval system of the national and public library websites in Korea. And then, the author proposes improvement plan in order to enhance satisfaction with information needs of disabled users and to use a basic study for construction of retrieval system of library websites for disabled users.
강숙희. 2011. 공공도서관의 장애유형별 장애인서비스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2(1): 97-123.
강순희. 2005. 서울시 공공도서관 웹 접근성 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9(2):237-258.
곽치영. 2000. 『장애인, 노인, 여성의 정보화 실태조사: 정보격차 해소를 위한 정책 제안』. 서울:대한민국 국회.
교육부. 2016.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세종: 교육부. [online] [cited 2019. 4. 17.]<http://www.law.go.kr/lsInfoP.do?lsiSeq=183505&ancYd=20160529&ancNo=14156&efYd =20160529&nwJoYnInfo=N&efGubun=Y&chrClsCd=010202#0000>
국립 장애인 도서관. 『국립 장애인 도서관 홈페이지』. [online] [cited 2019. 4. 17.]<http://nld.nl.go.kr/ableFront/index.jsp>
국립 장애인 도서관. 『책나래 홈페이지』. 서울: 국립장애인도서관. [online] [cited 2019. 4. 17.]<http://cn.nl.go.kr/index.do>
국립중앙도서관. 2017. 『2017년 도서관 장애인서비스 현황조사』. 서울: 국립중앙도서관.
김민철, 이지연. 2013. 장애인분야 웹정보 이용형태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30(2): 169-188.
김용근. 2006. 공공도서관의 웹사이트를 통한 정보봉사: 대구지역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7(3): 265-287.
노진구. 2000. 대학도서관 이용자기반 정보검색시스템 설계를 위한 이용자 요구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4(4): 69-95.
한국 도서관협회. 2002. 미래형 지식정보서비스 기반 구축을 위한 도서관발전종합계획(안), 2003~2011. 『도서관문화』, 43(4): 89-97.
문화체육관광부. 2018. 『도서관법』. 세종: 문화체육관광부. [online] [cited 2019. 4. 17.]<http://www.law.go.kr/%EB%B2%95%EB%A0%B9/%EB%8F%84%EC%84%9C%EA %B4%80%EB%B2%95/(13960,20160203)>
문화체육관광부. 『국가도서관통계시스템 홈페이지』. 세종: 문화체육관광부. [online] [cited 2019. 4. 17.] <http://www.libsta.go.kr>
보건복지부. 2016. 『장애인복지법』. 세종: 보건복지부. [online] [cited 2019. 4. 17.]<http://www.law.go.kr/lsInfoP.do?lsiSeq=206693&efYd=20190115#0000>
보건복지부. 2017. 『2017년 장애인 실태조사』. 세종: 보건복지부.
보건복지부. 2018. 『장애인복지법 시행령』. 세종: 보건복지부. [online] [cited 2019. 4. 17.] <http://www.law.go.kr/lsInfoP.do?lsiSeq=206154&efYd=20190101#0000>
아산사회복지사업재단. 1981. 『장애자복지편람』. 서울: 아산사회복지사업재단.
윤정옥. 2011. 장애인 정보포털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5(3): 27-47.
윤희윤. 2007. 주요 국가도서관의 장애인서비스 정책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8(4):215-240.
이원경, 서은경. 2013. 장애인의 웹 접근성 향상을 위한 웹사이트 설계. 『정보관리학회지』, 30(1):192-219.
이응봉. 2003. 공공도서관 정보서비스의 품질향상을 위한 웹사이트 사용성 평가에 관한 연구:대전지역을 중심으로.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7(3): 177-196.
임명환, 길연회, 정광일. 2015. 장애인 접근성 향상을 위한 보조기기 및 대체자료 분석과 구현방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5(7): 664-673.
장경례, 류소연, 박종, 한미아. 2017. 뇌병변 및 지체 장애아의 보조공학기기 사용만족도와 심리사회적 영향의 관련성. 『농촌의학·지역보건』, 42(3): 132-144.
조주은. 2003. 장애인의 정보 접근성: 장애유형과 정도를 중심으로. 『한국인구학』, 26(2): 147-173.
한국 장애인 고용공단. 2016. 『한 눈에 보는 2016 장애인통계』. 성남: 한국장애인고용공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