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225-598X
  • E-ISSN2982-6292

재난안전 분야 핵심 학술지 탐색 및 네트워크 분석 연구

Study on Determining Core Journals and Network Analysis in the Field of Disaster & Safety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P)1225-598X; (E)2982-6292
2019, v.53 no.4, pp.373-397
https://doi.org/10.4275/KSLIS.2019.53.4.373
김병규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류범종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초록

최근 발생하는 재난의 형태는 복합적이며 대형화되어가고 있는 추세이다. 예고 없이 발생하는 재난에 효과적으로 대비하고 대응하기 위해서는 기존에 활용되는 정형화된 재난안전정보 이외에 재난안전 분야의 학술정보를 활용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과학기술인용색인DB와 재난안전정보 공유 플랫폼 기술개발 R&D 사업에서 개발한 재난안전정보 분류체계를 활용하여 재난안전 분야 학술지를 식별하고 논문 콘텐트의 데이터 식별 및 전처리를 통해 인용관계 네트워크, 공저 네트워크, 키워드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정보 분석 단위별로 구축된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재난안전유형별 국내 및 해외 핵심 학술지, 주요 연구기관, 주요 키워드와 개별 정보간의 연결 구조가 자세히 파악되었으며 사례별로 분석 결과를 제시하였다.

keywords
Disaster & Safety, Korea Science Citation Database, Network Analysis, Disaster & Safety Information Sharing Platform, 재난안전, 한국과학기술인용색인데이터베이스, 네트워크 분석, 재난안전정보공유플랫폼

Abstract

Recent disasters are a complex and growing trend. In order to effectively prepare for and respond to disasters that occur without notice, it is very important to use scientific information related to disaster and safety in addition to the standardized disaster safety information that is used. In this paper, we searched and selected major journals in the field of disaster & safety and conducted various network analysis studies using the classification scheme for development of integrated metadata for disaster & safety information developed through Disaster & Safety Information Sharing Platform R&D project as well as KSCD. Also, we have constructed and analyzed citation network, co-authorship network and keyword network through data identification and preprocessing of research paper contents. As a result of this study, based on the network constructed by information analysis unit, the network structure between core domestic and foreign journals, major research institutes, core keywords and individual information by disaster & safety type was identified in detail, and the analysis results were presented on a case-by-case basis.

keywords
Disaster & Safety, Korea Science Citation Database, Network Analysis, Disaster & Safety Information Sharing Platform, 재난안전, 한국과학기술인용색인데이터베이스, 네트워크 분석, 재난안전정보공유플랫폼

참고문헌

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19. 『제3회 과학기술관계장관회의 개최 ①재난․안전 R&D투자 시스템혁신방안』. 세종: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

국립재난안전연구원. 2016. 『재난안전 분야 과학기술 수준 조사 연구』. 울산: 국립재난안전연구원.

3.

김현정. 2013. 학술지 동시인용분석을 이용한 문헌정보학 분야의 지적구조 분석.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4(4): 99-113.

4.

김현정. 2017. 동시출현단어분석을 통한 데이터과학 분야의 지적구조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34(4): 101-126.

5.

박태연, 한희정, 김용, 김수정. 2017. 재난안전정보의 통합 관리를 위한 분류체계 현황분석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8(3): 125-150.

6.

이수상. 2012. 『네트워크 분석 방법론』. 부산: 부산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7.

이수상. 2014. 언어 네트워크 분석 방법을 활용한 학술논문의 내용분석. 『정보관리학회지』, 31(4):49-68.

8.

이재윤, 김수정. 2016. 국내 재난 관련 연구 동향에 대한 계량정보학적 분석. 『정보관리학회지』, 33(4): 103-124.

9.

이향이, 임수정, 박덕근. 2018. 재난안전분야 기업협력 공동연구에 대한 네트워크 분석. 『기술혁신학회지』, 21(1): 300-330.

10.

정지나, 정힘찬, 김용. 2017. 언어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재난안전정보와 관련한 국내 연구동향분석.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8(3): 67-93.

11.

조선례, 이재윤. 2012. 약학 분야 학술정보서비스를 위한 학술지 동시인용 분석. 『정보관리학회지』, 43(1): 159-185.

12.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2014. 『국내 대학의 KISTI KSCI 활용 연구(2009-2013)』. 대전: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13.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2018. 『재난안전정보 통합 메타데이터 구축을 위한 분류 체계(TTAK.KO -10.1047)』. 성남: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14.

한동석, 양원직, 이원호. 2015. 사회연결망분석을 이용한 재난안전분야 연구주제 네트워크 구축연구: 학술지 논문의 키워드를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55-256.

15.

행정안전부. 2019. 『2017 재난연보』. 세종: 행정안전부.

16.

허정은, 양창훈. 2018. 재난안전관리 과학기술 네트워크: 전문가 수요조사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8(11): 123-134.

17.

Choi, Honam et al. 2013. “Korean scholarly information analysis based on Korea Science Citation Database (KSCD).” Collnet Journal of Scientometrics and Information Management, 7(1): 1-33.

18.

Cobo, M. J., López‐Herrera, A. G., Herrera‐Viedma, E. and Herrera, F. 2011. “Science mapping software tools: Review, analysis, and cooperative study among tools.”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for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62(7): 1382-1402.

19.

Freeman, Linton C. 1978. “Centrality in social networks conceptual clarification.” Social networks, 1(3): 215-239.

20.

Kang, M. Y. and Kim, B. 2018. “Analysis of Researchers' Co-Authorship Networks in Chinese Science & Technology Core Journals.” Indian Journal of Public Health Research & Development, 9(8): 861-869.

21.

Kim, B., Kim, Y. and Kang, J. 2018. “Analysis of the citation impact of national journals toward SCIE journals on JCR ranking.” Malaysian Journal of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23(2): 1-24.

22.

Leydesdorff, L. and Rafols, I. 2009. “A global map of science based on the ISI subject categories.”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for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60(2):348-362.

23.

McCain, K. W. 1991. “Mapping economics through the journal literature: An experiment in journal cocitation analysis.”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for Information Science, 42(4): 290-296.

24.

Van Eck, N. and Waltman, L. 2009. “Software survey: VOSviewer, a computer program for bibliometric mapping.” Scientometrics, 84(2): 523-538.

25.

van Veller, M. G. and Gerritsma, W. 2017. “Development of a journal recommendation tool based upon co-citation analysis of journals cited in Wageningen UR research articles.”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Methods in Libraries, 4(2): 233-257.

한국문헌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