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225-598X
  • E-ISSN2982-6292

경기도 공동주택단지 내 작은도서관 활성화를 위한 정책 제안 연구

A Study on the Policy Proposal for the Revitalization of Small Libraries in the Residential Communities in Gyeonggi-do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P)1225-598X; (E)2982-6292
2020, v.54 no.3, pp.71-95
https://doi.org/10.4275/KSLIS.2020.54.3.071
노영희 (건국대학교)
최만호 (건국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김윤정 (건국대학교 GLOCAL(글로컬)캠퍼스 지식콘텐츠연구소)
장로사 (중앙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국내 작은도서관이 가장 많이 소재하고 있는 경기도에는 공동주택단지 내 작은도서관의 비율이 42%에 이르고 있으나, 법적 의무에 의해 설립된 도서관들이 자발적 의지에 의존하여 관리․운영됨에 따라 휴관․폐관되는 사례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공동주택단지 내 작은도서관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단지 내 마을 공동체의 구심점 역할을 통해 활성화의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타당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작은도서관의 현황 조사, 경기도 및 31개 시군의 공동주택단지 내 작은도서관 운영자 및 관계자 대상의 설문조사와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공동주택단지내 작은도서관 운영의 실제적인 활성화 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작은도서관에 대한 공동체 인식 개선, 자체 운영 능력 배양, 법․제도 개선, 지자체의 지원 강화의 4가지 목표를 설정하여 실천방안을 도출하였다. 사회의 변화에 따른 경기도 공동주택단지 내 작은도서관 뿐 아니라 타 사립작은도서관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한 연구도 수행될 필요가 있다.

keywords
작은도서관, 공동주택단지 내 문화시설, 아파트도서관, 사립 작은 도서관, 활성화 정책, Small Library, Cultural facility at residential community, Apartment Library, Small Private Library, Revitalization policy

Abstract

In Gyeonggi-do(province), where the largest number of small libraries are located in Korea, 42% of small libraries are located in apartment complexes. However, as libraries established under legal obligations are managed and operated on voluntary will, there have been numerous ongoing cases of temporary closure or permanent shut down. To revitalize small libraries in apartment complexes, it is reasonable to seek ways to revitalize them through the role of the central point of the village community in the complex. To that end, this study surveyed the current status of small libraries in Gyeonggi-do, a survey of small library operators and related persons in apartment housing complexes and similar residential communities in Gyeonggi-do and 31 cities and counties. Based on this, this study was intended to derive practical measures to revitalize the operation and preservation of small libraries in such residential communities. Four goals were set to improve community awareness of small libraries, cultivate self-operating abilities, improve laws and systems, and strengthen support for local governments. Research needs to be carried out not only for small libraries in apartment complexes in Gyeonggi-do but also for the continued development of other small private libraries.

keywords
작은도서관, 공동주택단지 내 문화시설, 아파트도서관, 사립 작은 도서관, 활성화 정책, Small Library, Cultural facility at residential community, Apartment Library, Small Private Library, Revitalization policy

한국문헌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