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225-598X
  • E-ISSN2982-6292

이용자 요구 기반 장서개발을 위한 대학도서관 희망도서 주제 분석

A Topic Analysis of Requested Books by User Types at a University Library for Patron-Driven Acquisition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P)1225-598X; (E)2982-6292
2024, v.58 no.1, pp.395-415
https://doi.org/10.4275/KSLIS.2024.58.1.395
최상희(Sanghee Choi) (대구가톨릭대학교)

초록

대학도서관의 장서개발에 있어 희망도서는 이용자의 직접적인 정보요구를 해결하는 수서방식이다. 이 연구에서는 대학도서관의 효율적인 장서개발을 위해 희망도서를 신청하는 이용자 집단간의 주제 선호도를 파악하고자 대학도서관의 10년치 희망도서를 분석하였다. 장서개발에 있어 이용자의 희망도서 신청이 활발한 영역을 파악하는 것은 사서가 장서개발의 핵심 영역을 파악하고 균현있는 장서개발 정책을 수립하는데 필요한 사항이다. 이용자별 주요 주제영역을 파악하기 위하여 KDC 주제분류를 매핑한 분석결과 모든 신청자 집단에서 ‘사회과학’이 주요 대주제 영역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중주제 분석에서는 대학원생의 주요 주제 분야로 ‘의학’과 ‘심리학’이 나타나 다른 신청자 집단과 차별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원생의 희망도서 영역이 다른 집단과 차별화된 요인은 A대학에서 대학원이 가장 활성화되어 있는 전공영역을 중심으로 희망도서 신청이 활발하게 일어나고 있지만 여가용으로는 희망도서 신청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긴 때문에 이와 같은 현상이 나타난 것으로 분석되었다. 주제 네트워크 분석에서는 학부생은 공무원, 취업과 진로 등 다른 신청자 집단에서는 나타나지 않는 주제들이 주요 주제 클러스터로 나타났고 대학원생은 소수 전공 주제에 집중되어 주제 클러스터가 형성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keywords
대학도서관, 희망도서, 주제분석, 네트워크 분석 기법, 이용자, University Library, Patron-Driven Acquisition, Topic Analysis, Network Analysis, User

Abstract

In the development of a university library’s collection, the concept of patron-driven acquisition refers to a collection strategy that addresses users’ direct information needs. In this study, an analysis of ten years’ worth of book requests by user types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topic preferences for efficient collection devleopment in the university library. In collection development, identifying subject areas of users’ requested books is necessary for librarians to identify key areas of collection development and establish balanced collection development policies. To identify the major subject areas for each user group, KDC (Korean Decimal Classification) subject classifications were used, and network analysis techniques were appli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book topics in detail. The analysis revealed that “social sciences” emerged as the major topic across all user groups. However, in the analysis of sub-topics, “medicine” and “psychology” were distinctively identified as the major subject areas for graduate students, setting them apart from other user groups. The result of the network analysis further indicated that undergraduate students showed unique topics such as civil service, job placement, and career, which were not observed as major topic clusters in other user groups. On the other hand, graduate students tended to concentrate on a few specialized subjects, forming distinct topic clusters in the analysis.

keywords
대학도서관, 희망도서, 주제분석, 네트워크 분석 기법, 이용자, University Library, Patron-Driven Acquisition, Topic Analysis, Network Analysis, User

한국문헌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