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 access
메뉴ISSN : 1229-0688
본 연구에서는 정서인식의 명확성과 심리적 안녕에 대한 정서조절양식의 매개 효과를 검증하였다. 대학생 56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의 분석은 구조방정식 모형 접근법(EQS)을 이용한 경로분석을 하였다. 정서인식의 명확성이 정서조절양식의 매개를 통해서 심리적 안녕으로 연결되는 기본 매개모형을 검증한 결과, 유의미한 경로계수와 좋은 부합도를 보임으로써 적합한 모형으로 확인되었다. 기본 매개모형과의 비교를 위해 정서인식의 명확성과 심리적 안녕 사이의 직접 경로를 포함한 매개모형을 검증하였다. 검증 결과, 직접 경로의 경로계수가 유의미하지 않고 모형의 부합도 역시 미세하게 감소하여 본 연구에서 가정한 매개모형이 변인들의 관계를 더 잘 설명함을 확인하였다. 기본 매개모형에 대한 대안모형이 함께 검증되었으나 낮은 부합도를 보임으로써 기본 매개모형의 적합성을 이론적으로 지지해주는 결과를 얻었다. 끝으로 본 연구가 지니는 의의와 상담에서의 함의,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of the emotion regulation style up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clarit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e sample of the study was 560 college students and I have analyzed the data through path analysis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EQS). The basic mediation model of emotinal clarity leading to psychological well-being through the mediation of the emotion regultion style showed significant path coefficient and good model fitness. To compare with this model, I have examined another model that included a direct path between emotional clarit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s a result, the path coefficient of the direct path was insignificant and the fitness of the model has also slightly decreased. Therefore, it was verified that the initial hypothetical model of this study better explained the relationship amongst the variables. alternative model has been examined but this model showed low model fitness and thus theoretically strengthened the appropriateness of the basic mediation model. Finally, I have discussed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ts limitations and potential implications in counsel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