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메뉴

또래집단상담이 학교생활 부적응 학생의 자아개념과 학교적응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Peer Group Counseling on the Self-Concept and School Adjustment of School-Maladjusted Students

초록

본 연구는 또래집단상담이 학교생활 부적응 학생의 자아개념과 학교적응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었다. 연구문제는 첫째, 또래집단상담이 학교생활 부적응 학생의 자아개념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둘째, 또래집단상담이 학교생활 부적응 학생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울산광역시에 소재한 중학교 2․3학년 남녀 학생 중에서 학교생활 부적응 학생 32명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각 16명씩 배정한 후, 서울특별시교육연구원(1997)에서 개발한 ‘부적응 학생을 위한 특별프로그램’을 재구성하여 또래상담자가 실험집단에만 매주 1회씩 총 12회에 걸쳐 집단상담을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는 자아개념검사와 학교적응검사를 사용하였고, 자료분석은 통계처리 프로그램인 SPSS를 사용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그 유의 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t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자아개념 하위영역에 대한 사후검사 결과, 실험집단이 일반자아개념, 학문자아개념, 중요타인자아개념, 정의자아개념 영역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자아개념 전체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는 또래집단상담이 학교생활 부적응 학생의 자아개념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학교적응 하위영역에 대한 사후검사 결과, 실험집단이 교사관계, 교우관계, 수업태도 영역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학교적응 전체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는 또래집단상담이 학교생활 부적응 학생의 학교적응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
peer group counseling, school maladjusted students, self-concept, school adjustment, 또래집단상담, 학교 부적응 학생, 자아개념, 학교적응, peer group counseling, school maladjusted students, self-concept, school adjustment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peer group counseling on the self-concept and school adjustment of students who failed to adapt themselves to school life. The research questions we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peer counseling on the self-concept of school-maladjusted students. Second,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peer group counseling on the school adjustment of school-maladjusted students. Eight boy and girl students in their third year from a middle school in the city of Ulsan were selected as peer counselor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32 students in their second or third year in a middle school from the city of Ulsan, who failed to adapt themselves to school life and applied for peer group counseling. They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with 16 students each.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elf-concept posttest results show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made a significant progress in general self-concept, academic self-concept, significant others self-concept, affective self-concept, and overall self-concept areas. Second, the school adjustment posttest results indicat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underwent a significant change in relationship with teachers, social relations and learning set, and their overall school adjustment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keywords
peer group counseling, school maladjusted students, self-concept, school adjustment, 또래집단상담, 학교 부적응 학생, 자아개념, 학교적응, peer group counseling, school maladjusted students, self-concept, school adjustment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