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1229-0688
본 연구는 남한에서 자녀와 재결합한 북한이탈여성의 재결합 경험의 의미와 본질을 밝힘으로써 이들의 재결합 경험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갖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북한에서 헤어진 자녀를 남한에서 다시 만난 북한이탈여성 7명을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했고 면담자료를 Giorgi(1997)의 현상학적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5개의 구성요소와 17개의 하위요소가 도출되었다. 5개의 구성요소는 ‘재회에 대한 욕구상승과 노력’, ‘예상치 않은 상실’, ‘자신의 상처보기’, ‘진정한 가족되기’, ‘변화하는 나’이었다. 자녀와 재결합한 북한이탈여성들은 각고의 노력 끝에 힘겹게 자녀와 재결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기대와 다른 자녀에게 실망하고 예상치 못한 상실을 맞이하였으며 힘들었던 과거 경험이 떠올라 고통을 겪는다. 한편 여러 노력을 통해 어려움을 극복하고 자녀와 진정한 가족이 되려고 노력하게 되며 이 과정에서 변화하는 자신을 경험한다. 이러한 기본구조를 통해 북한이탈여성의 자녀 재결합 경험은 ‘힘겨운 노력 끝에 자녀와 재회한 후 예상치 못한 상실과 자신의 상처를 극복하며 진정한 가족이 되려는 노력을 통해 변화하는 자신을 형성해가는 과정’임을 알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북한이탈여성의 자녀 재결합 경험의 심리사회적 의미와 북한이탈여성에 대한 지원에 미치는 함의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child reunification experience of the North Korean women refugees in South Korea. Seven North Korean women refugees who had reunited with their children in South Korea were interviewed. The interview data were analyzed using Giorgi's phenomenological analysis. Five components and 17 subordinate components were deduced from this study. The five components were ‘Rising of desire for reunification and effort', ‘Unexpected loss', ‘Facing with her own wound', ‘Remaking true family', and ‘Changing self'. The child reunification experience of the North Korean women refugee was the process of identity reestablishment in which they overcome unexpected loss and psychological wound and try to rebuild a family after reunion of their children. After intensive reviews of interview data, psychosocial meaning of reunification experience and implications for support policy for North Korean women refugees are discussed.
김연희, 전우택, 조영아 (2010). 북한이탈주민정신건강 문제 유병율과 영향요인: 2007년 입국자 중심으로. 통일정책연구, 19(2),141-174.
김영수 (2000). 북한이탈주민의 가족문제, 사회과학연구, 9, 102-117.
김영희 (2006). 북한이탈주민의 가족유형과 가족적응의 어려움. 경남대 석사학위논문.
김유정 (2011). 북한이탈주민 재결합 가족에대한 지원 방안: 레질리언스 관점을 중심으로. 통일연구, 15(1), 99-129.
김태현, 노치영 (2003). 북한이탈여성들의 삶이야기. 대한가정학회지, 41(8), 1-17.
북한이탈주민 연구지원 재단 홈페이지 http://www.nkr.or.kr/center.do (검색일: 2011년 8월2일)
윤인진, 박영희, 윤여상, 장혜경, 임인숙 (2007).북한이주민 가족의 사회적응과 가족관계의 변화. 한국가족복지학, 12(2), 89-108.
이금순, 강신창, 김병로, 김수암, 안혜영, 오승렬, 윤여상, 이우영, 임순희, 최의철(2003). 북한이탈주민 적응실태 연구. 통일연구원.
이기영 (2000). 탈북자 가족의 남한사회적응과정. 가족사회복지학회 추계학술대회발표문.
이기영, 성향숙 (2001). 탈북가족구성원의 가족관계 인식에 관한 조사 연구: 탈북자 가구주 및 그 배우자의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 17(1), 243-271.
이미경 (2004). 북한의 모성 이데올로기: 조선녀성의 내용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정치외교사논총, 26(1), 389-419.
이민영 (2004). 남북한 이문화 부부의 가족 과정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내러티브 탐구방법을 활용하여. 이화여대 박사학위논문.
이상경 (2007). 북한여성 작가의 작품에 나타난 여성 정체성에 대한 연구. 여성문학연구, 17, 349-385.
이순형, 김창대, 진미정 (2009). 탈북민의 가족해체와 재구성.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이순형, 조수철, 김창대, 진미정 (2007). 탈북가족의 적응과 심리적 통합. 서울대학교 통일학 연구총서3. 서울대학교 출판부.
이옥자, 김현경 (2007). 새터민 가족의 재통합을 위한 분투 노력: 새터민 가족 사례를중심으로. 한국가족치료학회지, 15(2), 365-387.
이해응 (2005). 한국이주 경험을 통해 본 중국조선족 기혼여성의 정체성 변화. 여성학논집, 22(2), 107-143.
장혜경, 김영란 (2000). 북한이탈주민의 가족안정성 및 사회적응과 여성의 역할. 한국여성개발원 연구보고서.
조영아, 김현아, 김연희, 김유진 (2001). 북한이탈주민을 위한 심리사회적 상담 매뉴얼.IOM 국제이주기구.
진미정, 이순형 (2007). 가족특성에 따른 새터민의 사회문화적 적응. 대한가정학회지,45(5), 63-74.
Arnold, E. (1991). Issue of reunification of migrant West Indian children in the United Kingdom. In J, L. Roopnarine & J. Brown (Eds.), Caribbean families diversity among ethnic groups (pp. 243-258). Greenwich, CT: Ablex Publishing Corp.
Aroian, K., Hough, E. S., Templin, T. N., Kulwickic, A., Ramaswamy, V. & Katz, A. (2009). A model of mother–child adjustment in Arab Muslim immigrants to the US. Social Science and Medicine, 69(9), 1377-1386.
Barudy, J. (1989). L'Utilisation de l'approche systémique lors de thérapies avec des families de réfugiés politiques. Thérapie familiale, 10(1), 15-31.
Boss, P. (2006). Loss, trauma, and resilience: Therapeutic work with ambiguous loss. New York: W. W. Norton.
Crawford-Brown, C., & Rattray, J. M. (2001). Parent-child relationships in Caribbean families. In N. Boyd Webb & D. Lum (Eds.), Culturally diverse parent-child and family relationships (pp. 107-130).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Giorgi, A. (1985). Phenomenology and psychological research. Pittsburgh, PA:Duquesne University Press.
Giorgi, A. (1997). The theory, practice and evaluation of the phenomenological method as a qualitative research. Journal of Phenomenological Psychology, 28(2), 235-260.
Glasgrow, G. F., & Ghouse-Shees, J. (1995). Themes of rejection and abandonment in group work with Caribbean adolescents. Social Work with Groups, 17, 3-27.
Lashley, M. (2000). The unrecognized social stressors of migration and reunification in Caribbean families. Transcultural Psychiatry, 37, 203-217.
Lincoln, Y. S., & Guba, E. (1985). Naturalistic inquiry. Beverly Hills, CA:Sage publications.
Luster, T., Qin, D. B., Bates, L., Johnson, D. J. & Rana, M. (2008). The lost boys of Sudan: ambiguous loss, search for family and reestabilshing relationships with famity members. Family Relations, 57, 444-456.
Polkinghorn, D. E. (1989). Phenomenological Research Approach, In R. S. Valle & S. Halling(Eds.), Existential-phenomenological in Psychology, 223-244, New York: Plenum.
Pottinger, A. M. (2005). Children's experience of loss by parental migration in Inner city Jamaica, American Journal of Orthopsychiatry, 75(2), 485-496.
Qouta, S., Punamäki, R., & Sarraj, E. (2005). Mother-child expression of psychological distress in war trauma. Clinical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10(2), 135-156.
Rousseau, C. C., Rufagari, M. C., Bagilishya, D., & Measham, T. (2004). Remaking family life: strategies for re-establishing continuity among Congolese refugee during the family reunification process. Social Science and Medicine, 59(5), 1095-1108.
Sewell-Coker, B., Hamilton-Collins, J., & Fein, E. (1985). West Indian immigrants. Social Casework, 60, 563-568.
Smith, A., Lalonde, R. N., & Johnson, S. (2004). Serial migration and its implication for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A retrospective analysis of expediences of the children of Caribbean immigrants. Cultural Diversity and Ethnic Minority Psychology, 10(2), 107-122.
Suárez-Orozco, C., Todorova, L. G., & Louie, J. (2002). Making up for lost time: the experience of separation and reunification among immigrant families. Family Process, 41(4), 625-6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