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 access
메뉴ISSN : 1229-0688
본 연구는 부모의 심리적 통제를 부의 심리적 통제와 모의 심리적 통제로 나누어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이 과정에서 관계적 공격성과 내면화된 수치심의 영향력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또한 청소년의 성별에 따라 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에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구, 경북, 울산 지역의 중,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청소년 66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595명의 자료를 최종 분석대상으로 하였으며,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또래관계에서 관계적 공격성, 내면화된 수치심 각각의 매개효과가 나타났으며,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내면화된 수치심과 관계적 공격성을 통해 또래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이중매개의 효과도 나타났다. 청소년 성별에 따른 구조적 관계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모의 심리적 통제가 내면화된 수치심으로 가는 경로에서 남녀의 차이가 나타났다. 즉,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모의 심리적 통제의 영향을 더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그리고 추후 연구에 대한 함의를 논의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ole of relational aggression and internalized sham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peer relationships; a cross-gender analysis was also conducted. Participants included 595 adolescents who were recruited from middle and high schools in Daegu, Gyeongbuk, and Ulsan. Results showed that relational aggression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peer relationships; internalized shame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peer relationships. The study also revealed that higher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resulted in higher levels of internalized shame; specifically, relational aggression negatively affects peer relationships. According to multiple group analyses regarding gender differences, disparities were found in the effects of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on internalized shame.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강지흔 (2003). 남ㆍ여 아동의 정서조절 능력 및 공격성과 학교생활 적응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수희, 박성연 (2009). 청소년의 성에 따른 부모의 양육행동, 청소년의 부모애착 및 또래애착과 자아존중감 간의 관계.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7(5), 101-113.
김민선, 서영석 (2009). 평가염려 완벽주의와사회불안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8(3), 525-545.
김유리, 김희정 (2013).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청소년 자녀의 정서적 단절의 관계. 상담학연구, 14(5), 3041-3064.
김정숙 (2006). 아버지 역할 수행이 중학생의대인관계 성향과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교육연구, 29, 51-78.
김현주, 홍혜영 (2013). 고등학생의 내면화된수치심이 청소년 우울에 미치는 영향: 정서표현 양가성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20(12), 181-209.
나하영, 신태섭 (2016).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와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의 관계: 내면화된 수치심과 자기제시 동기-기대 차이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8(3), 695-717.
남진열, 김상미 (2011).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대인관계능력에 대한 아버지 역할수행의영향. 청소년복지연구, 13(2), 315-334.
문수백 (2009). 구조방정식모델링의 이해와 적용. 학지사.
민선옥, 강영숙 (2015). 초기 청소년기 자녀가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또래관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44(0), 307-334.
박민정, 최보가 (2004). 청소년의 관계적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학적 변인들.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2(4), 95-104.
박성옥, 신귀순, 고영숙 (2004). 또래환경 및 또래관계의 질이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생활과학연구, 10, 29-40.
박영신, 김의철 (2001). 학교폭력과 인간관계 및 청소년의 심리 행동특성: 폭력가해, 폭력피해, 폭력무경험 집단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7(1), 63-89.
박우람, 홍상황 (2015). 아동의 거부민감성과친구관계의 질의 관계: 적대감, 관계적공격성의 매개효과. 한국초등교육, 26(2), 285-302.
배병렬 (2017). AMOS 24.0 구조방정식모델링. 서울: 청람출판사.
서미정 (2011). 아동과 청소년의 외현적, 관계적 공격성의 성별 차이 및 관련변인에 대한 메타분석. 아동학회지, 32(3), 143-162.
심은신, 이동훈 (2011). 여중생의 우정관계 질투와 관계적 공격성 간의 관계: 의도귀인과 또래동조성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4(2), 21-42.
심주한, 유형근, 손현동 (2008). 초등학생의 공격성 유형에 따른 대인관계성향과 대인문제해결사고의 차이 분석. 열린교육연구, 16(2), 67-90.
심희옥 (2007). 또래 괴롭힘과 외현화 관계적공격성에 관한 횡담 및 종단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6(6), 1107-1118.
안수영, 이형실 (2009). 남녀 청소년의 또래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21(3), 163-176.
윤혜영, 강지현 (2015).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가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내면화된 수치심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7(2), 405-42.
이서란 (2014).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분노와 관계적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서강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영선, 이경님 (2004). 청소년의 개인적 변인, 가족 및 학교환경 변인이 또래공격피해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회지, 13(5), 659-672.
이외영 (2002). 부모의 양육태도가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대구가톨릭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인숙, 최해림 (2005). 내면화된 수치심 척도(ISS)의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7(3), 651-670.
이정아 (2007). 중학생의 공격성이 학교적응에미치는 영향. 명지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지연 (2008). 상담일반: 내면화된 수치심과방어유형, 정서표현의 관계. 상담학연구, 9(2), 353-373.
이춘재, 곽금주 (2000). 집단따돌림 경험 유형에 따른 자기개념과 사회적지지.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13(1), 65-80.
이하연 (2014).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중학생의 관계적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홍, 김은정 (2012). 청소년의 공격성 하위 유형에 따른 인지 및 정서 특성. 청소년학연구, 19(1), 227-250.
(재)푸른나무 청예단 (2015). 2014 전국 학교폭력 실태조사 주요 결과.
장재선 (2009). 청소년이 지각한 자율성, 부모양육행동, 부모-자녀 갈등과의 상관관계: 성별과 연령 변인중심으로. 성신여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전혜련, 이지연 (2014).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가 아동의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시설환경, 12(2), 5-18.
정옥신, 김영희 (2008). 부모의 학습관여와 초기 청소년의 학습동기가 친구관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3(2), 1-33.
조은정, 이기학 (2004). 아동기의 정서적 학대경험이 대인관계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영향-자기효능감과 통제소재를 매개변인으로. 상담학연구, 5(3), 583-595.
조주연 (2010). 부모간 갈등, 어머니의 지지 및 통제와 또래관계의 질이 고등학생의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최경순, 정현희 (1995). 아버지의 양육참여와유아의 역할수용능력 및 친사회적 행동과의 관계. 대한가정학회지, 33(1), 125-139.
최지영, 허유성 (2008). 괴롭힘 상황에서의 참여자 역할 및 관계적 공격행동 지각유형에 따른 도덕판단력과 사회적 상호의존성. 청소년학연구, 15(6), 171-196.
최현화 (2000). 관계지향 공격아동과 외현화 공격아동의 의도성 판단 및 반응. 중앙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한영숙 (2006). 아버지의 놀이참여와 유아-아버지 관계 및 유아의 사회적 능력과의 관계.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3(2), 189-212.
허준 (2013). 허준의 쉽게 따라하는 Amos 구조방정식 모형. 서울: 한나래출판사
홍세희 (2000). 구조 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9(1), 161-177.
홍은수 (2002). 수치심의 이해 및 치유.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황지연 (2014). 내면화된 수치심이 전위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역기능적 분노표현양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대학원석사학위논문.
Archer, J. (2004). Sex differences in aggression in real-world settings: A meta-analytic review. Review of General Psychology, 8(4), 291-322.
Armentrout, J. A., & Burger, G. K. (1972). Children's reports of parental child-rearing behavior at five grade levels. Developmental Psychology, 7(1), 44-48.
Bandura, A. (1995). Exercise of personal and collective efficacy in changing societies. Self-Efficacy in Changing Societies, 15, 1-45.
Barber, B. K. (1996).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Revisiting a neglected construct. Child Development, 67(6), 3296-3319.
Bjrkqvist, K., Lagerspetz, K. M., & Kaukiainen, A. (1992). Do girls manipulate and boys fight? Developmental trends in regard to direct and indirect aggression. Aggressive Behavior, 18(2), 117-127.
Bretherton, I., Ridgeway, D., & Cassidy, J. (1990). Assessing internal working models of the attachment relationship. Attachment in the Preschool Years: Theory, Research, and Intervention, 273-308.
Chodorow, N. (1978). The reproduction of mothering. Berkeley, C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Claesson, K., & Sohlberg, S. (2002). Internalized shame and early interactions characterized by indifference, abandonment and rejection:Replicated findings. Clinical Psychology &Psychotherapy, 9(4), 277-284.
Cook, D. R. (2001). Internalized shame scale:Technical manual. New York, NY: Multi Health Svstem Inc.
Crick, N. R., Casas, J. F., & Nelson, D. A. (2002). Toward a mor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peer maltreatment: Studies of relational victimization. Current Directions in Psychological Science, 11(3), 98-101.
Crick, N. R., Ostrov, J. M., & Werner, N. E. (2006). A longitudinal study of relational aggression, physical aggression, and children's social–psychological adjustment. Journal of Abnormal Child Psychology, 34(2), 127-138.
Eron, L. D. (1982). Parent-child interaction, television violence, and aggression of children. American Psychologist, 37(2), 197-211.
Goss, K., Gilbert, P., & Allan, S. (1994). An exploration of shame measures-I: The other as shamer scale.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17(5), 713-717.
Harder, D. W., & Lewis, S. J. (1987). The assessment of shame and guilt. Advances in Personality Assessment, 6, 89-114.
Hartup, W. W. (1993). Adolescents and their friends. New Directions for Child and Adolescent Development, 1993(60), 3-22.
Henry, D. B., Tolan, P. H., & Gorman-Smith, D. (2001). Longitudinal family and peer group effects on violence and nonviolent delinquency. Journal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30(2), 172-186.
Kuppens, S., Grietens, H., Onghena, P., & Michiels, D. (2009). Associations between parental control and children's overt and relational aggression. British Journal of Developmental Psychology, 27(3), 607-623.
Loader, B. (1998). Cyberspace divide: Equality, agency, and policy in the information society. London:Routledge.
Parker, J. G., & Asher, S. R. (1993). Friendship and friendship quality in middle childhood:Links with peer group acceptance and feelings of loneliness and social dissatisfaction. Developmental psychology, 29(4), 611-621.
Pronk, R. E., & Zimmer-Gembeck, M. J. (2010). It’s “mean,” but what does it mean to adolescents? Relational aggression described by victims, aggressors, and their peers. Journal of Adolescent research, 25(2), 175-204.
Wells, M., & Jones, R. (2000). Childhood parentification and shame-proneness: A preliminary study. American Journal of Family Therapy, 28(1), 19-27.
Yoon, J. S., Barton, E., & Taiariol, J. (2004). Relational aggression in middle school educational implications of developmental research. The Journal of Early Adolescence, 24(3), 303-318.
Yuan, K. H., Bentler, P. M., & Kano, Y. (1997). On averaging variables in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model. Behaviormetrika, 24(1), 71-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