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 access
메뉴ISSN : 1229-0688
본 연구는 신혼기 부부 관계에서 남편과 아내의 자기침묵이 지각된 배우자 지지를 매개로 결혼만족도에 이르는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157쌍의 신혼기 부부를 대상으로 APIMeM 모형을 적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자기침묵이 지각된 배우자 지지에 미치는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는 남편과 아내 모두 부적으로 유의미하였다. 둘째, 지각된 배우자 지지가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자기효과는 남편과 아내에서 모두 정적으로 유의미하였고 상대방효과는 아내만 정적으로 유의미하였다. 셋째, 남편의 자기침묵이 남편의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자기효과에서 남편과 아내의 지각된 배우자 지지가 매개하였지만, 아내의 자기효과 경로에서는 아내의 지각된 배우자 지지만 매개하였다. 넷째, 남편의 자기침묵이 아내의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상대방효과에서 아내의 지각된 배우자 지지만 매개하였고, 아내의 상대방효과에서는 남편과 아내의 지각된 배우자 지지가 모두 매개하였다. 이는 결혼 만족을 위해 남편과 아내 모두 자기침묵을 하지 않도록 개입하는 것이 중요하며, 남편은 본인과 아내 모두 배우자로부터 지지를 잘 받고 있다고 지각하는 것이 중요한 반면, 아내는 본인이 남편으로부터 지지를 잘 받고 있다고 지각하는 정도가 중요함을 의미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제언을 논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pathways from self-silencing to marital satisfaction in newlywed couples and to examine the mediating role of perceived marital support. Path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ediation Model on 157 newlywed Korean coupl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actor and partner effects of self-silencing on perceived marital support were negatively significant for both husbands and wives. Second, the actor effects of perceived marital support on marital satisfaction were positively significant for both spouses, while the partner effects were positively significant only for wives. Third, both the husband’s and the wife’s perceived marital support mediated the husband’s actor effect and the wife’s perceived marital support mediated only the wife’s actor effect. Fourth, the wife’s perceived marital support mediated the husband’s partner effect and both the husband’s and the wife’s perceived marital support mediated the wife’s partner effe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