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 access
메뉴
ISSN : 1229-0696
본 연구는 재조업체와 서어비스업체에 근무하는 사원 469명을 대상으로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개인의 지각과 그로 인한 개인적 긴장 및 대처 능력이 조직 몰입과 어떠한 관련이 있는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직무스트레스가 많을수록 개인적 긴장이 높았고, 조직몰입의 정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낮았다. 직무스트레스원과 조직체계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조직몰입을 종속변인으로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직무스트레스원 중 역할경계가 가장 큰 영향을 미쳤으며, 그 다음이 역할불충분성, 조직체계, 책임감 요인 등의 순이었다. 그리고 직무스트레스와 개인적 긴장이 높더라도 조직몰입의 정도에 따라 대처능력에 차이가 나타날 것이라고 가정하고 이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스트레스 대처자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조직몰입, 조직몰입과 개인적 긴장의 상호작용, 개인적 긴장의 순이었다. 이를 조직물입과 개인적 긴장의 정도에 기초하여 변량분석을 실시해 본 결과 개인적 긴장이 높고 조직몰입이 낮은 사원들의 대처능력이 가장 낮았고 개인적 긴장이 낮고 조직몰입이 높은 사원들의 대처능력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조직물입이 높은 사원들은 직무스트레스와 그에 따른 개인적 긴장이 높더라도 대처자원을 적절하게 활용함으로서 스트레스와 긴장에 잘 대처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with occupational stress, personal strain, and stress coping ability. The number of subjects of the study were 469 male and female workers selected from five diverse manufacturing industries including two service company. The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occupational stress, personal strain, and stress coping ability. The results indicated that occupational stress ha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personal strain and stress coping ability. Also employees with high occupational stress showed more commitments to their organiza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with the organizational commitmment as dependent variable and occupational stress, organizational climates as the predictor variabl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role boundary, role insufficiency, organizational climates, responsibility variables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organizational commitmment. The study hypothesized that personal strain gives influences on stress coping ability and that organizational commitment intervene between personal strain and stress coping ability. The study obtained an interesting finding that the correlation between personal strain and stress coping ability had significantly different pattern according to the degree of organizational commitmment. The personal strain ha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stress coping ability in the group that the degree of organizational commitmment was high. However, The correlation between two variables was not significant in the group that the degree of organizational commitmment was l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