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 access
메뉴
ISSN : 1229-0696
영리조직인 기업에서의 면접이 신입사원의 합격여부에 아주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데 반해서 비영리조직인 대학에서의 신입생 선발용 면접은 형식만 있지, 아직 내용이 준비되지 않은 상태이다. 즉 면접의 개념이나 방법에 대한 합의된 모형이 확보되지 못한 상태에서 면접실시를 강행하다보니 오히려 반박과 면접무용론까지 등장하는 경우가 있다. 이 글에서는 대입장면에서 면접의 기능에 대한 개념으로서 현재적 기능과 미래적 기능을 이야기하고 있다. 이 두 기능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면접시행이 단순히 상식수준에서가 아니라 보다 기술적(technical) 수준에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면접의 결과로 지원자에 대한 자격정도를 수량화함은 면접이 일종의 심리검사임을 의미하므로, 검사이론적 관점에 조명이 가능한 곳을 세분화해서 고찰하고 있다. 우선 내용타당도의 관점에서 볼 수 있는 면접영역을 측정의 영역이란 제목하에 인지영역, 비인지영역 그리고 학교 및 전공적성영역으로 제시하고 있다. 또한 면접기능의 활성화를 지원하는 소프트웨어로서 면접방법의 기술적 측면이 언급되고 있다. 특히 면접방법을 아홉가지 차원에서 분류하고 각 차원에서의 대안적 방법들을 네가지 평가기준 - 신뢰도, 타당도, 수용가능성, 실용성 - 에서 평가하고 있다. 끝으로 면접자들이 개별적으로 매긴 점수에 근거하여 지원자에 대한 면접결과를 수량적으로 산출하는 논리를 고전검사이론과 요인분석의 원리를 사용해서 정리하고 있다. 앞으로 대입면접의 기능에 대한 개념 및 방법의 기술적 측면이 충분히 인식되어 전문성이 향상된 것을 기대한다.
The interview as a part of college admission procedure has not been fully developed, although it is adopted in almost of the colleges in Korea. They are forced to administer the interview although they are not prepared with systems of professional quality. It is not surprising that school authorities have somewhat resentment and they argue for abolishing the interview system in the admission procedure. However, we need to develop interview practices to collect relevant information for the applicants that cannot be covered in the scholastic aptitude test, school record of student life, and essay exam. The criteria of selecting students are now being diversified, which require a development of procedures to measure their qualification. We present an integrated view on the functions of interview and discuss the technical issues of admission interview in Korea. Functions of interview are presented as it serves primary purposes and future-oriented purposes. Also technical aspects of measurement domain, different interview methods, and combining scores a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