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직장-가정 갈등의 세대 차이와 직장-가정 갈등이 복에 미치는 영향: 직장여성의 경우

Generation Differences and Impacts on Happiness of Work-family Conflicts in Korean Working Women

초록

본 연구는 세대에 따라 직장-가정 갈등의 영향력이 어떻게 다르고, 이런 갈등이 개인의 일상적인 행복과 조직에서의 생활에 미치는 효과에 어떻게 다른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직장-가정 갈등을 일이 가정생활에 미치는 영향(일가정 갈등)과 가정생활이 직장에서의 일에 미치는 영향(가정일 갈등)으로 구분하여 세대에 따라 이런 갈등의 정도와 내용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 인구학적 변인과 행복결정요소를 통제하고도 이 두 갈등요인이 개인의 행복감을 유의미하게 설명해주는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참여자들은 20대에서 60대 사이의 여성 414명으로, 어떤 형태로든 현재 일을 하고 있는 사람들이었다. 본 연구 결과 첫째, 60세 이전의 여성들의 경우, 여성이 경험하는 직장-가정 갈등의 질적 내용은 세대에 따라 다른 것으로 나타났으나, 갈등의 양적 정도는 세대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60세 이전의 여성의 경우, 세대에 상관없이 일가정 갈등이 가정일 갈등보다 더 많이 발생하였으나 60대 이상의 세대에는 이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일가정 갈등과 가정일 갈등이 개인의 행복에 미치는 영향력의 상대적 크기가 세대에 따라 달랐다. 넷째, 일가정 갈등 및 가정일 갈등과 유의한 관련을 보이는 인구학적 요인과 행복결정요인에 상호 차이가 나타났다. 다섯째, 인구학적 변인과 행복결정요인을 통제하고도 일가정 갈등과 가정일 갈등의 두 요소는 개인의 일상적인 행복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조직생활의 행복감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keywords
work-family conflicts, happiness, generation differences, woman, 직장가정 갈등, 일가정 갈등, 가정일갈등, 행복, 세대차, 여성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issue that the impact and contents of work-family conflicts(WFC) differed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and these conflicts affect happiness of everyday life and organizational life differently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WFC was divided into work to family conflict(WIF) and family to work conflict(FIW). We analysed the differences between generations of impact and contents of WIF and FIW. We also analysed whether the two types of conflicts could explain happiness of everyday life and organizational life even when demographic variables or happiness decision variables were controlled by statistic procedure. Participants of our study were 412 working women in their 20s up to 60s. In this study, we identified the following results; 1) In case of women under the age of 60, qualitative contents of WFC differed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but the extent of WFC did not. 2) In the same group, frequencies of WIF were higher than of FIW regardless of generation, but among those in their 60s and older, the differences were not found. 3) The extent of influences on happiness of WIF and FIW differed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4) Significant variables correlated with WIF and FIW differed from each other. 5) The two types of conflicts could explain happiness of everyday life even when demographic variables or happiness decision variables were controlled by statistic procedure, but it was not the same regarding the organizational life.

keywords
work-family conflicts, happiness, generation differences, woman, 직장가정 갈등, 일가정 갈등, 가정일갈등, 행복, 세대차, 여성

참고문헌

1.

가영희 (2006). 성인의 직장-가정 갈등이 영역별 만족도와 주관적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1(2), 163-186.

2.

강혜련, 최서연 (2001). 기혼여성 직장-가정 갈등의 예측변수와 결과변수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6(1), 23-42.

3.

김명소, 김혜원, 차경호 (2001). 심리적 안녕감의 구성개념 분석: 한국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5(2), 19-40.

4.

김명소, 김혜원, 한영석, 임지영(2003). 한국인의 행복한 삶에 대한 인구통계학적 특성별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2(2), 1-33.

5.

김현욱, 유태용 (2009). 직무관련 변인이 일-가정 갈등에 미치는 영향과 조직몰입 및 직무열의에 대한 일-가정 갈등의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22(2), 155- 182.

6.

박광배 (1993). 사랑과 일에 대한 일-가정의 상충효과: 남성들의 경우.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7(1), 185-197

7.

윤창영 (2001). 기혼 직장여성의 주관적 삶의 질에 대한 연구. 성균관 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8.

장재윤, 김혜숙 (2003). 직장-가정간 갈등이 삶의 만족 및 직무 태도에 미치는 효과에 있어서 성차: 우리나라 관리직 공무원을 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9(1), 23-42.

9.

최희정 (1997). 배우자 사별로 인한 스트레스 및 사회적지지가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이화 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Diener, E., Smith, H., & Fujita, F. (1995). Personality structure of well-be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9, 130-141

11.

Frone, M. R., Russell, M., & Cooper, M. L. (1992). Antecedents and outcomes of work-family conflict: Testing a model of the work-family interface.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77, 65-78.

12.

Greenhaus, J. H., & & Beutell, N. J. (1985). Sources of conflict between work and family roles.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0, 76-88.

13.

Gutec, B, Searle, S., & Klepa, L.(1991). Rational versus gender role explanations for work-family conflict.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76, 560- 568.

14.

Lawton, M. P(1975). The Philadelphia Geriatric Center Morale Scale: A Revision. Journal of Gerontology, 30, 85-89.

15.

Levinson, D. J. (1996). The season's of a woman's life. New York: Knopf.

16.

Liang, J., Bollen, K. A. (1983). The structure of the Philadelphia Geriatric Center Morale Scale: A reinterpretation. Journal of Gerontology, 38, 181-189.

17.

Lodahl, T. & Kejner, M. (1965). The definition and measurement of job involvement.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49, 24-33.

18.

O'Driscoll, M. P., Ilgen, D. R., & Hildreth, K. (1992). Time devoted to job and off-job activities, interrole conflict, and affective experience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77, 272-279.

19.

Radloff, L. S.(1977). The CES-D Scale: A self-report depression scale for research in the general population. Applied Psychological Measurement, 1, 385-401.

20.

Ryff, C. D., & Keyes, C. L. M. (1995). The structure of psychological well-being revisited.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9, 719-727.

21.

Warr, P. B. (1987). Work, Unemployment and Mental Health, Oxford: Clarendon Press.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