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창의성 역설: 창의성이 중요하다고 믿을수록 타인의 창의적 특성을 더 바람직하게 평가하는가?

The creativity paradox: The more you believe creativity is important, the more desirable you rate the creative characteristics of others?

초록

본 연구는 사회 전반에 걸쳐 창의성이 강조되나 창의적인 사람은 환영받지 못하는 현상을 조명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차 변인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미국 교사들의 창의적 성 격특성에 대한 역설적 지각을 재확인한 선행 연구(Kettler et al., 2018)를 따라 연구 1에서는 한국 초․중․고등 교사 172명을 대상으로 개인차 변인을 조사하고, 학생들의 성격특성(창의 적 및 반창의적 특성)을 평가하게 하였다. 그 결과 한국 교사들 역시 창의적 성격특성을 덜 바람직하게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선행 연구의 결과를 재확인하였다. 이를 확장하여 연구 2에서는 한국 기업의 정규직 331명을 대상으로 창의성 역설 현상과 이에 대한 창의적 마인 드셋의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창의성에 대한 역설이 직장 맥락에서 더욱 두 드러지게 나타났다. 선행 연구 및 연구 1에서와 같이 타인의 창의적 성격특성 평가에 유일 하게 영향을 미치는 개인차 변인은 자기 창의성 지각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창의적 성장 마 인드셋이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가 갖는 시사점과 연구의 제한점 및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keywords
창의성, 창의성 역설, 창의적 성격특성, 창의적 마인드셋, 자기 창의성 지각

Abstract

This study aims to shed light on Creativity Paradox which is a phenomenon that creative people are not appreciated where creativity is emphasized, and to explore individual differences that affect the phenomenon. As per the previous research (Kettler et al., 2018) that even teachers who say they value creativity as educational goals actually find creative characteristics undesirable through the replication from school (Study 1) and expansion to organization (Study 2). In Study 1, 172 schoolteachers in Korea completed 2 waves of survey for the importance of educational goals including creativity and personal creativity with the desirability on characteristics for both creative indicative and contraindicative. In study 2, 331 fulltime employees completed 2 waves of survey including creative mindsets. Result indicated that both teachers and employees in this study rated characteristics associated with creativity as less desirable than those characteristics that are considered contraindicative, which confirms the Creativity Paradox. No effects were found based on the individual differences, but the level of personal creativity related to how desirable they rate others’ characteristics associated with creativity. As a result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moderating effect of creative growth mindset was partially presen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sonal creativity and the members’ perception of creative characteristics, while no effect of fixed-creative mindset was presented. This study was intended to highlight the need of examining the implicit theory of, attitude toward, and changes of norms and climate related to creativity in the organizational context The implications, limits and future research suggestions were discussed.

keywords
Creativity, Creativity Paradox, Creative characteristics, Creative mindsets, Self-creativity
투고일Submission Date
2023-05-09
수정일Revised Date
2023-07-26
게재확정일Accepted Date
2023-08-28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