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정부 차원의 도서관발전계획인 문화관광부의 ‘미래형 지식정보서비스 기반 구축을 위한 도서관발전종합계획(2003-2011)’을 평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정책평가방법의 하나인 SMART 평가기법을 도입하여 도서관발전종합계획의 미래 비전, 발전목표, 역점 추진과제, 주요 사업내용에 대하여 각각의 구체성, 측정가능성, 달성가능성, 적실성, 시간계획성 정도를 측정, 평가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도서관발전종합계획의 구성 요소별 평가결과, 미래 비전은 3.05, 발전목표는 3.09, 역점 추진과제는 3.15, 주요 사업내용은 3.12이었다. 둘째, SMART 평가 요소별 평가결과, 구체성은 3.09, 측정가능성은 2.99, 달성가능성은 3.12, 적실성은 3.24, 시간계획성은 3.10으로 나타나, 적실성은 우수한 반면에 측정 가능성에는 문제가 있다. 셋째, 발전목표의 평가결과, ‘지식과 정보가 함께하는 문화사랑방’이 ‘첨단기술이 어우러진 정보도서관’보다 우수하다. 넷째, 역점 추진과제의 평가결과, ‘도서관 콘텐츠 확충을 통한 이용자서비스의 내실화’는 우수한 반면에 ‘전문 인력양성 및 확충을 통한 도서관기능의 활성화’에는 문제가 있다. 다섯째, 주요 사업내용의 평가결과, ‘도서관 정보서비스의 고도화’는 우수한 반면에 ‘관종별 도서관의 기능 강화’ ‘민관협력 파트너십 구축’ ‘국민 독서문화 진흥’에는 문제가 있어 향후 이에 대한 수정과 보완이 필요하다.
This study regards the evaluation for the main contents of the ‘Library Development Plan(2003-2011)’ promoted by the Ministry of Culture and Tourism for the library development plan in Korea. SMART evaluation method was introduced for the evaluation of vision, objective, core project of library development plan. Following result was acquired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as a result of SMART, vision, objective, core projects and main business of library development plan was presented to be 3.05, 3.09, 3.15 and 3.12 respectively. Thus, in the evaluation for components of development plan, it was excellent in core projects. Second, as a result of SMART, concreteness, measurability, achievability, relevance and time frame of library development plan was presented to be 3.09, 2.99, 3.12, 3.24 and 3.10 respectively. Thus, in the evaluation components of development plan, it was excellent in relevance but it has been found that supplementary measures should be taken on measurability. Third, ‘culture-oriented room with knowledge and information’ was found to be superior to the ‘information library with up-to-date technology’ in evaluation of the objective. Fourth, ‘substantiality in user service with the supplement of library contents’ was excellent in evaluation of core projects but there is some problem with ‘activation of library function through training and supplement of professional manpower.’ Fifth, ‘Enhancement in library information service’ was presented to be excellent in evaluation of main business but there was problem in ‘reinforcement in function of library for each location and type,’ ‘partnership of public-private enterprises’ and ‘promotion for book culture of the public’ thus it need to be revised and supplemented hereafter.
(1999) 충남대학교 도서관 장기발전계획에 관한 연구(2000-2009),
(2003) 도서관의 사명 및 이상 수립에 관한 고찰,
(2005.) 국립중앙도서관 2010., 서울: 동 기관
(2004) 한국의 도서관 정책을 다시 말한다: 도서관발전 종합계획을 중심으로,
(2006) 매니페스토 평가방법과 과제,
(2006) SMART 평가기법을 통한 도서관 장기발전계획 평가에 관한 연구: B대학교 학술정보관의 사례를 중심으로,
(2006) 공공도서관의 전략경쟁분석에 관한 연구: C도서관의 사례를 중심으로,
(2003) 도서관발전 종합계획 1차년도 추진계획(안), 서울: 동 기관.
(2002) 도서관발전 종합계획 2003- 2011, 서울: 동 기관
(2002) 도서관발전 종합계획 세부계획 수립지침, 서울: 동 기관
(2002) 미래형 지식정보서비스 기반 구축을 위한 도서관 발전 종합계획(2003-2011). , 서울: 동 기관
(1999) 대학도서관 경영전략에 관한 연구,
(2003) 대학도서관의 전략적 계획 수립에 관한 연구,
(2007) 학교도서관 정책 평가모형 개발과 적용에 관한 연구,
(2005) 도서관 정책 추진을 위한 행정체계 조직화 방안에 관한 연구,
(2005) 사명, 비전을 통해 본 대학도서관의 핵심 가치,
(2004.) 도서관정보정책, 서울: 한국도서관협회
(2006) 디지털 환경에서의 전문도서관 경영전략수립에 관한 연구: 과학기술분야 전문도서관을 중심으로,
(2002.) Digital Futures: Strategies for the Information Age, Neal-Schuman
(2003.) Requirements for the Fu- ture of Digital Libraries,
The Seven Ele- ments of Strategic Fit. Journal of Business Strate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