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예비교육사서의 교수역량을 신장시킬 목적으로 프로젝트기반학습환경의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한학기 동안 프로그램을 경험한 학부생들을 대상으로 교수자적 자기효능감에 어떠한 변화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해당 강좌에 수강신청한 42명의 수강생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경험한 이전과 이후에 동일한 검사지를 통해 자기효능감을 측정하였다. 분석 결과, 예비교육사서들의 일반 자기효능감과 특수 자기효능감은 프로젝트학습환경을 경험한 후 의미있게 향상되었다. 프로그램은 예비교육사서들의 교수법과 관련한 지식, 기술적인 측면뿐 만 아니라 교수자적 자기효능감과 같은 태도 측면에서도 효과가 있어 교수 역량을 갖춘 교육사서를 양성하는데 주효한 교수학습방법임을 검증하였다. 또한, 프로젝트기반학습프로그램이 교육사서와 사서교사를 위한 계속교육과 직무연수프로그램을 설계하거나 평가시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ultivate the educational competency of pre-librarians in the Department of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To achieve this, first, the program is developed which is based by PBL(Project Based Learning) method for LIS education. Second, the questionnaire for education librarian self-efficacy is developed to measure the education librarian self-efficacy. Third, data were collected from 42 LIS undergraduate students at the beginning and end of the semester-long program during which it was adopted. The data were analyzed by paired t-test with SPSS. Analysis shows the program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educational self-efficacy for pre-education librarians. Also, it is hoped that for this program will be applied to continuing education programs for education librarians and teacher librarians.
김아영. 1997. 학구적 실패에 대한 내성의 관련변인 연구. ꡔ교육심리연구ꡕ, 11(2): 1-19.
김아영. 2004. 교사효능감 척도 타당화. ꡔ교육심리연구ꡕ, 18(1): 37-58.
김성수. 1998. 학부제 관련 문헌정보학 교육목적 및 교과과정 연구. ꡔ도서관학논집ꡕ, 28: 355-383.
김태경. 2007. 한국문헌정보학 교육에서 정보이용자교육 교과과정 모형개발 연구. ꡔ한국문헌정보학회지ꡕ, 41(2): 387-412.
남영준. 2005. 주제전문사서 양성을 위한 문헌정보학 교과과정 연구. ꡔ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ꡕ, 36(3): 39-64.
엄영애. 2009. 문헌정보학과 학부 교과과정의 변화. ꡔ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ꡕ, 40(2): 409-427.
이애란. 2006. 공공도서관의 평생교육 추세와 경향에 관한 연구. ꡔ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ꡕ, 37(4): 271-287.
이병기. 2007. 사서교사의 교수역량 구성 모형에 관한 연구. ꡔ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ꡕ, 38(4): 45-65.
이병기. 2008. 사서교사의 교수역량 조사와 양성제도 개선에 관한 연구. ꡔ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ꡕ, 39(1): 51-72.
이제환 외. 2005. 문헌정보학 교육에 대한 현장 사서의 평가와 요구. ꡔ한국문헌정보학회지ꡕ, 39(4): 45-69.
박일종. 2000. 국내 문헌정보학 프로그램의 현황 및 교육과정 개선에 관한 연구. ꡔ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ꡕ, 31(2): 197-221.
장경원. 2008. 문제중심학습환경에서 예비교사들의 자기효능감 변화 연구. ꡔ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ꡕ, 8(2): 1-25.
정종기. 2009. 인간수행공학을 이용한 도서관활용수업의 저해요인 분석 연구. ꡔ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ꡕ, 40(1): 433-449.
정혜미, 차미경. 2007. 공공도서관 어린이사서를 위한 문헌정보학 교과과정 개선에 관한 연구. ꡔ한국비블리아학회지ꡕ, 18(2): 161-181.
주동범. 2009. 교사효능감의 개념, 측정, 효과, 영향요인에 대한 연구동향. ꡔ수산해양교육연구ꡕ, 21(4): 489-498.
최상희. 2007. 사서직 구인광고에서 나타난 교육사서 직무와 역량분석 연구. ꡔ한국문헌정보학회지ꡕ, 41(3): 201-215.
교육통계정보연구본부. [online]. [cited 2010.1.5]. <http://cesi.kedi.re.kr/index.jsp>.
한승희. 2008. 문헌정보학 교육에서 프로젝트 중심 학습법이 학생의 문제해결능력 및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ꡔ한국문헌정보학회지ꡕ, 42(3): 81-101.
Bandura, A. 1977,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 Change.” Psychological Review, 84: 191-215.
Carson, C. H. 1993, “The Development of a Scale to Measure the Self-Efficacy of School Library Media Specialists.” School Library Media Quarterly, 21(3): 165-170.
Duch, B. J. What is problem-Based Learning? [online]. [cited 2010.1.20]. <http://www.udel.edu/pbl.cte/jan95-what.html>.
Staples, D. S. et al. 1998. “A Self-Efficacy Theory Explanation for the Management of Remote Workers in Virtual Organizations,” JCMC 3(4) June 1998. [online]. [cited 2010.01.20]. <http://jcmc.indiana.edu/vol3/issue4/staples.html>.
Wilkerson, L., & W.H. Gijselaers. 1996. Bring Problem-Based Learning to Higher Education: Theory and Practice. San Francisco. California: Jossey-Bass Publishers, 3-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