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design and apply an experienced-based reading program using picture books for the struggling readers to improve their reading ability; and to analyze and verify how this program influences their self-esteem. The final objects of this study are 53 struggling readers who are 1-4th graders in 8 elementary schools. For this, the specific goals are set up as follows: First, an experience-based reading program using ADDIE teaching design model and Kolb’s experience learning cycle are planned and developed to improve reading abilities and self-esteem of the struggling readers. Second, it also aimed to clarify how the experience-based reading program using picture books influence the struggling readers’ self-esteem in affective ones. As a result, this experience-based reading program using picture books is effective on improving the struggling readers' self-esteem, generally. Although the degree of improvement is different from each of the subordinate factors, the overall scores of self-esteem are raised. This study suggests that an experience-based reading program using picture books is appropriate for improving the affective characteristics of the struggling readers. And it is also needed to produce a research manual to get the same test condition that prescribes the methods of pre-test and post-test.
고종숙. 2006. 『읽기 학습부진아를 위한 독서지도 프로그램 연구』. 석사학위논문, 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김동일, 이대식, 신종호. 2003. 『학습장애 아동의 이해와 교육』. 서울: 학지사.
김봉순, 최명환. 2005. 읽기 부진의 진단과 지도. 『공주교대논총』, 42(1): 91-106.
김유미. 2003. 『읽기 부진의 양상과 지도 방안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김유미. 2006. 읽기 부진학생의 읽기 과정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사대논총』, 70: 1-33.
김연중. 2009. 청소년기 자아존중감의 하위요인 측정을 위한 검사도구 개발. 『교육연구논총』, 30(2):1-22.
김인경. 2005. 『독서치료가 읽기부진아의 독해력과 자아개념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김효정 외. 1999. 『독서교육의 이론과 실제: 올바른 독서지도 이렇게 하자』. 서울: 한국도서관협회.
박성익. 1986. 『학습부진아교육』.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배옥선. 2007. 『독서치료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서나라. 2006. 『독서치료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1999. 『국어교육학사전』. 서울: 대교출판.
신현경. 2001. 『너의 그림에 대해 말해주겠니?』. 서울: 청년사.
엄훈. 2006. 읽기 부진 개선을 위한 보충학습반 운영의 경험. 『교육인류학연구』, 9(1): 57-97.
우혜경. 2007. 『교정적 읽기 전략을 통한 독서 부진아 지도 방안』.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이경화. 2004. 읽기 부진아 지도 방법 연구. 『청람어문교육』, 29: 191-217.
이경화. 2007. 기초문식성 지도 내용 및 지도 프로그램 개발 연구. 『한국초등국어교육』, 35: 157-178.
이상금, 장영희. 2001. 『유아문학론』. 서울: 교문사.
이선옥. 2002. 『읽기 학습 부진아를 위한 개별화 독서 프로그램이 자아개념 및 읽기능력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이연숙. 2005. 『독서치료 프로그램이 중학교 1학년 학생의 자아존중감 향상과 대인관계 개선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신라대학교 교육대학원.
이영아, 최숙기. 2011. 『읽기 부진 진단 및 보정교육연구: 북미사례를 중심으로』.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O 2011-10.
이영주. 2008.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에 관한 연구: 독서치료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석사학위논문, 상명대학교 대학원.
이정이. 2004. 『독서치료가 중학생의 자아존중감 및 성취동기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이지혜. 2002. 『저소득층 가정 아동의 자아존중감 증진을 위한 독서치료 효과』.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이칭찬, 이의길. 2007.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서울: 태영출판사.
임성관. 2004. 『읽기 부진아를 위한 독서치료 프로그램 연구』.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임정화. 1997. 『읽기 부진의 상관요인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정윤혜 외 10인. 2010. 『그림책을 읽는 특별한 시간: 읽기 부진아를 위한 독서성장 프로그램』. [대구]: 교육과학기술부, 대구광역시 교육청.
천경록. 2005. 국어과 교사의 읽기 영역 평가 전문성 기준과 모형. 『국어교육』, 117: 327-352.
최동선. 2008. 직업세계 체험 주간 운영의 실태와 과제. 『제26차 한국진로교육학회 춘계학슬대회자료집: 새정부의 진로교육 추진계획과 전략』. [서울: 서울대학교].
허승희. 2000. 우리나라 초등학교 상담의 전문성 확립을 위한 과제. 『초등교육연구』, 14(1): 129-144.
Coopersmith, S. 1967. The Antecedents of Self-esteem. San Francisco: W. H. Freeman.
Gest, S. D., Freeman, N. R., Domitrovich, C. E., & Welsh, J. A. 2004. “Shared book reading and children’s language comprehension skills: The moderating role of parental discipline practices.”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19: 319-336.
Kolb, D. A. 1984. Experiential Learning. Englewood Cliff, NJ: Prentice Hall.
Jordan, G. E., Snow, C. E., & Porsche, M. V. 2000. “Project EASE: The effect of a family literacy project on kindergarten students' early literacy skills.” Reading Research Quarterly, 35: 524-546.
Wade, B., & Moore, M. 2000. “A sure start with books.” Early Years, 20(Spring): 39-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