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문헌정보학과 장애인서비스 교과과정에 관한 기초 연구 - 서울시 공공도서관 장애인서비스 및 문헌정보학과 장애인서비스 교과과정 현황 조사 -

A Basic Research on the Librarian Curriculum for the Disabled Users: A Survey of Public Library Disability Services in Seoul and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Disability Services Curriculum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P)1225-598X; (E)2982-6292
2012, v.46 no.3, pp.35-55
https://doi.org/10.4275/KSLIS.2012.46.3.035
김혜주 (한성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장애인서비스 전문사서 양성 교과과정 모형개발을 위한 기초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문헌을 통한 이론적 연구를 수행하고 국내 문헌정보학과 교육과정․장애인서비스 담당사서의 계속 교육과정 및 서울시 공공도서관의 장애인서비스 현황을 조사․분석하였다. 조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부․대학원 과정의 경우 현재 각각 한 곳에 장애인서비스 전문사서 양성과 관련된 교과과정이 개설되어 있었다. 둘째, 장애인서비스 담당사서의 계속 교육과정은 국립중앙도서관에서 2010년 처음 강좌를 개설한 이후 매년 강좌를 개최하고 있으며, 강좌 이수 후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이수자들의 의견을 다음 강좌내용 선정에 반영하고 있다. 셋째, 현재 공공도서관을 이용하는 장애인은 시각장애인보다는 지체장애, 정신지체, 정서․행동장애, 자폐성 장애가 있는 이용자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인서비스는 관외대출서비스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일반자료를 대상으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전화인터뷰에 의하면 현재 장애인서비스를 적극적으로 수행하고 있는 소수 기관의 담당사서들은 장애인에 대한 이해, 장애인 문화프로그램 운영․기획에 관한 정보를 필요로 하고 있었다.

keywords
Public Library Services, Disability, The Disabled Curriculum, The Disabled Services, The Disabled Services Current State, Public Library Services, Disability, The Disabled Curriculum, The Disabled Services, The Disabled Services Current State, 장애인서비스, 장애인서비스 교과과정, 장애인서비스 교육, 장애인서비스 계속교육, 장애인서비스 현황

Abstract

This study aims to serve as the basis for the librarian training curriculum model for the disability services. To achieve this, a theoretical study was carried out through literature and investigated and analyzed on the disability services of Public Libraries in Seoul and on the status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curriculum for the disability services in Korea. The research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only one university and one graduate school in Korea offers a curriculum for training librarians for the disability services. Second, since 2010 a continuing education program for librarians in charge of the disability service has been offered every year by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Librarians who completed this course have been surveyed for their opinions and the results have been reflected in the following course. Third, currently among the disabled users in public library the users with mental retardation,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and autism are more than the visually impaired users. Most of the disability service has been a lending for general materials. According to telephone interviews, librarians who actively carry out the disability service need to understand the disability and, more information about operations and planning of cultural program for the disabled users.

keywords
Public Library Services, Disability, The Disabled Curriculum, The Disabled Services, The Disabled Services Current State, Public Library Services, Disability, The Disabled Curriculum, The Disabled Services, The Disabled Services Current State, 장애인서비스, 장애인서비스 교과과정, 장애인서비스 교육, 장애인서비스 계속교육, 장애인서비스 현황

참고문헌

1.

국립중앙도서관. 2012. 『2011년 전국도서관 장애인서비스 현황조사』. 서울: 국립중앙도서관.

2.

권선진. 2005. 『장애인복지론』. 서울: 청목출판사.

3.

강미혜. 1999. 주제전문사서직의 일반전공교육에 관한 비교연구: 주제전문사서, 학과제 학생, 학부제 학생.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3(1): 129-143.

4.

김선호. 2010. 장애 이슈에 대한 문헌정보학과의 교육 현황 분석.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1(4): 295-312.

5.

남영준, 허운순. 2005. 주제전문사서 양성을 위한 문헌정보학 교과과정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6(3): 39-64.

6.

박현주, 이상복. 2010. 어린이 전문사서를 위한 교육과정 모형 개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1(2): 97-110.

7.

안인자 외. 2008. 국내 주제전문사서의 직무분석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2(4): 533-549.

8.

유은정. 2010. 『청각장애아동의 이해와 교과교육』. 서울: 학지사.

9.

일본도서관협회 장애인서비스위원회, 편. 1996. 『장애인을 위한 도서관 서비스』. 도서관운동연구회역. 서울: 사단법인 한국시각장애인연합회.

10.

장윤금, 정행순. 공공도서관 어린이사서의 전문성 강화를 위한 계속교육 현황과 효과성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2(4): 481-501.

11.

정혜미, 차미경. 공공도서관 어린이사서를 위한 문헌정보학 교과과정 개선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18(2): 161-181.

12.

차미경 외. 2007. 공공도서관 어린이 사서의 계속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현황 분석. 『한국비블리아학회지』, 18(1): 96-114.

13.

보건복지부. 2011. 『2011년 장애인실태조사』. 서울: 보건복지부.

14.

한복희. 2010. 어린이사서 양성을 위한 문헌정보학 교과과정과 계속교육의 발전 방안.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4(3): 261-288.

15.

고용노동부. 2010. 장애인 통계. [online]. [cited 2012.1.13]. <http://www.mw.go.kr/front/jb/sjbo303/vw.jsp>.

16.

Blessinger, Kelly, & Hrycaj, Paul. 2010. “Highly cited articles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An analysis of content and authorship trends.”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Research, 32: 156-162.

17.

Koontz, C. C., & Gubbin, B., 편. 2010. 『IFLA 공공도서관 서비스 가인드라인』. 개정판. 장혜란역. 서울: 한국도서관협회.

18.

Loauber, Julie. 1990. “Disability awareness in the library school curriculum.” Journal of Education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31(2): 153-156.

19.

Murray, Janet. 2010. “The implications of inclusive schooling for school libraries.” International Journal of Disability, Development and Education, 49(3): 301-322.

20.

Walling, Linda Lucas. 2004. “Educating students to serve information seekers with disabilities.” Journal of Education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5(2): 137-148.

21.

Webster’s New World College Dictionary with CDROM. 2004. 4th edition. New York: Wiley Publishing.

한국문헌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