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225-598X
  • E-ISSN2982-6292

한국십진분류법(KDC) 한국소설항목의 세분방안에 대한 연구 -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

A Research on Close Classification for Korean Fiction in KDC: Focusing on Public Library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P)1225-598X; (E)2982-6292
2012, v.46 no.3, pp.57-78
https://doi.org/10.4275/KSLIS.2012.46.3.057
김성원 (충남대학교)

초록

문학류(literature)는 국내 공공도서관의 장서 가운데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주제분야이다. 그 가운데에서도 한국소설장서는 단일주제로는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장서이다. 공공도서관 전체 장서의 14%가 한국소설류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전체 장서의 14%를 차지하고 있는 한국소설장서의 분류를 위한 한국십진분류법(KDC; Korean Decimal Classification)의 분류항목은 813 하나의 목(目; section)이다. 전체 14%에 해당하는 장서가 천구분에 해당되는 하나의 목항목에 집중되어 분류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장서량이 많은 현대한국소설을 위한 항목으로는 세목(細目; sub section)인 813.6과 813.7의 두 항목이 배정되어 있고, 실제로 다수의 도서관에서는 813.6 하나의 세목항목을 활용하여 분류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된다. 도서기호를 통해 추가적인 세분이 이루어지기는 하지만 기본적으로 한국소설류에 배정된 분류항목이 적어 개별자료에 부여된 청구기호의 식별력이 떨어진다. 이에 따라 관리자의 배가작업 및 이용자의 검색 모두 쉽지 않은 상황이다. 이에 본고는 한국소설류의 세분 전개가 가능하도록 한국십진분류법(KDC) 해당 항목의 세분 전개방안을 모색하고 적합성을 검토하였다.

keywords
Korean Fiction, Classification, Classifying Practice, Close Classification, Classifying Korean Fiction, KDC, Korean Decimal Classification, Literature, Public Library, Korean Fiction, Classification, Classifying Practice, Close Classification, Classifying Korean Fiction, KDC, Korean Decimal Classification, Literature, Public Library, 한국소설, 분류체계, 분류작업, 상세분류, 한국소설분류, 한국십진분류법, 문학, 공공도서관

Abstract

Of the collection of public libraries in Korea, the literature collection is the largest, and Korean fictions, about 14% of the entire collection constitute the largest single subject. However, in the Korean Decimal Classification(KDC) Korean fiction is represented in one section, that is, 813 which corresponds to the only one of thousand divisions. More specifically, only two sub-sections, 813.6 and 813.7 are supposed to be assigned to the huge collection of modern Korean fiction, and, in reality, only 813.6 is being used in most libraries. Even with the use of book numbers, such disproportionate allocation of classification numbers would definitely lower the discriminative capacity of call numbers given to each item. It would also bring about difficulties in both shelving, on the libraries' side, and finding items from shelf, on the users' side.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issues related to classifying Korean fictions in public libraries, including the composition of KDC schedules and the actual practice of classification, and then proposes the measures for improving the classification of Korean fictions.

keywords
Korean Fiction, Classification, Classifying Practice, Close Classification, Classifying Korean Fiction, KDC, Korean Decimal Classification, Literature, Public Library, Korean Fiction, Classification, Classifying Practice, Close Classification, Classifying Korean Fiction, KDC, Korean Decimal Classification, Literature, Public Library, 한국소설, 분류체계, 분류작업, 상세분류, 한국소설분류, 한국십진분류법, 문학, 공공도서관

참고문헌

1.

김자후. 2011. 문헌분류법의 시․공간 전개체계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2(3):5-24.

2.

대한출판문화협회. 2012. 출판통계. [online]. [cited 2012.4.25]. <http://www.kpa21.or.kr/>.

3.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 2012. 국가도서관통계시스템. [online]. [cited 2012.4.25]. <http://www.libsta.go.kr/index.do>.

4.

리재철. 1986. 『새 연대순 도서기호법』. 서울: 아세아문화사.

5.

오동근, 배영활, 여지숙. 2008. KDC 제4판 언어 및 문학류 전개의 개선방안.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2(4): 141-157.

6.

오은영. 2007. 『광주광역시 공공도서관 어머니 독서회 운영실태 및 개선 방안 연구』. 석사학위논문,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7.

윤희윤, 김일영. 2011. 이용계수를 적용한 공공도서관 소설장서 평가. 『정보관리연구』, 42(4): 175-194.

8.

이경란. 2011. 『공공도서관 청소년 프로그램 모형 개발과 적용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충남대학교 문헌정보학과.

9.

정해성. 2003. 문학류를 위한 새로운 분류체계에 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4(2):273-296.

10.

한국도서관협회. 2010. 『문헌정보학용어사전』. 서울: 한국도서관협회.

11.

Chan, L. M. 1980. Immroth’s Guide to the Library of Congress Classification. 3rd ed. Littleton: Libraries Unlimited.

12.

Chan, L. M. 2007. Cataloging and Classification: An Introduction. 3rd ed. Lanham, MD:Scarecrow Press.

13.

Dewey, M. 2011. Dewey Decimal Classification and Relative Index. 23rd ed. Dublin, Ohio:OCLC.

14.

Murphy, M. 2011. “Research participants needed for study on fiction classification schemes!”[online]. [cited 2011.10.12].<http://listserv.oclc.org/scripts/wa.exe?A2=ind1110b&L=oclc-cat&T=0&F=P&X=5DE1784F6404684B56&Y=sungwonk%40cnu.ac.kr&P=1123>.

15.

Ranganathan, S. R. 1967. Prolegomena to Library Classification. New York: Asia Publishing House.

한국문헌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