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225-598X
  • E-ISSN2982-6292

ISBD 통합판의 서지기술 특징 및 고려사항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and Considerations of Bibliographic Description of ISBD Consolidated edition 2011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P)1225-598X; (E)2982-6292
2012, v.46 no.4, pp.169-188
https://doi.org/10.4275/KSLIS.2012.46.4.169
이미화 (공주대학교)

초록

본고는 2011년 출판된 ISBD 통합판의 서지기술 특징을 분석하여 국내 목록환경에서 고려할 사항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ISBD 통합판(2011)을 기술영역과 데이터요소, 자원유형기술, 구두점, 기술순서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ISBD 통합판의 특징은 첫째, 기술영역에 ‘0 내용형식, 매체유형 사항’을 추가하였고, FRBR과 일치하도록 데이터요소의 필수 여부를 규정하였다. 둘째, GMD를 표제 및 책임표시사항에서 삭제하고 자원유형을 기술하기 위해 내용형식, 내용한정어, 매체유형의 요소를 추가하였다. 셋째, 구두점 기술시 중복기술을 허용하였고, 동일 영역내 데이터요소에 각괄호 기술시 영역 전체를 포괄하는 각괄호 대신 개별적인 각괄호를 사용하였다. 넷째, 데이터요소의 기술순서가 패턴별로 이미 정해져 있어 기술순서 및 구두점의 혼동을 최대한으로 줄였다. 그러나, ISBD 통합판은 국제표준으로 여러 규칙의 통일성을 가져올 수 있지만, 각 국가의 서지환경을 존중하는 규칙으로 제정되어 해당 국가에서는 ISBD를 적용하기 위해서 자국에 맞도록 다양한 추가 수정 작업이 요구된다. 특히 내용형식, 매체유형의 용어 기술시 해당국가의 언어에 대응하는 용어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SMD 용어를 별도로 규정하지 않고 국가에 맞게 사용하도록 하였다. 앞으로 ISBD 통합판은 서지기술을 위한 국제적인 표준으로 각국의 목록환경에 영향을 줄 것이므로 이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목록규칙의 개정이 필요하겠다. KCR4는 ISBD 이전 판을 바탕으로 하였으며 ISBD 통합판 출판에 따라 개정이 필요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 목록규칙 개정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ISBD consolidated edition, ISBD, RDA, FRBR, content form, content qualification, media type, GMD, General Material Designation, ISBD consolidated edition, ISBD, RDA, FRBR, content form, content qualification, media type, GMD, General Material Designation, ISBD 통합판, 국제표준서지기술, 자원의 기술과 접근, 서지레코드의 기능요건, 내용형식, 내용한정어, 매체유형, 자료유형, 자원유형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bibliographic description of ISBD Consolidated edition published in 2011 and to grasp the considerations in applying the rules of ISBD consolidated edition to KCR4. For achieving this, the four aspects were analyzed such as the description area and data elements, the resource types, the punctuation, and the order of the elements of ISBD Consolidated edition(2011). The characteristics of ISBD Consolidated edition are as follows. First, the content form and the media type area are added in new 0 area and elements are designated by mandatory to confirm to FRBR. Second, content form, content qualification and media type replaced GMD in title and statement of responsibility area. Third, the prescribed punctuations were retained even when this results in double punctuation, and individual square brackets were preferred than entire square brackets when using square brackets to all elements in same area. Fourth, the order of elements in description was set out by patterns of data elements in areas, therefore could reduce the confusion of the order of elements. ISBD Consolidated edition as an international standard would make various rules to maintain the uniformity, but also respects the bibliographic practices of individual countries. Therefore, each country must revise its own rule to conform the ISBD Consolidated edition as well as reflect its unique situation. In Korea, since KCR4 was developed based on the previous edition of ISBD, it should be revised to confirm to the ISBD Consolidated edition. Therefore,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revision of KCR4.

keywords
ISBD consolidated edition, ISBD, RDA, FRBR, content form, content qualification, media type, GMD, General Material Designation, ISBD consolidated edition, ISBD, RDA, FRBR, content form, content qualification, media type, GMD, General Material Designation, ISBD 통합판, 국제표준서지기술, 자원의 기술과 접근, 서지레코드의 기능요건, 내용형식, 내용한정어, 매체유형, 자료유형, 자원유형

참고문헌

1.

김정현. 2000. 전자정보원의 서지기술에 관한 연구 : ISBD(ER)을 중심으로. 『한국비블리아학회지』,11(1): 5-25.

2.

김정현. 2003. ISBD(CR)의 특성과 서지기술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4(3):147-167.

3.

이미화. 2011. KCR4 GMD 및 SMD 기술의 새로운 방안 모색.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2(2):237-255.

4.

한국도서관협회. 2003. 『한국목록규칙』 4판. 서울: 한국도서관협회.

5.

Bertolini. 2012. “The new ISBD area 0 and the teaching of cataloging of non-book materials.” JLIS.it., 3(1): 4794-1-4794-49.

6.

Bianchini, C., & Guerrini, M. 2009. “From bibliographic models to cataloging rules: Remarks on FRBR, ICP, ISBD, and RDA 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m.” Cataloging & Classification Quarterly, 47(2): 105-124.

7.

Boeuf, P. L. 2003. Brave New FRBR World. [online]. [cited 2012.9.2]. <http://deposit.ddb.de/ep/netpub/85/61/78/967786185/_data_dyna/_snap_stand_2004_06_09/news/pdf/papers_leboeuf.pdf>.

8.

Dunsire, G. 2011. Mapping ISBD and RDA Elements Set: Briefing/Discussion Paper(6JSC/Chair/4). [online]. [cited 2012.8.2]. <http://www.rda-jsc.org/docs/6JSC-Chair-4.pdf>.

9.

Delsey, T. 2004. Mapping ISBD Elements to FRBR Entity Attributes and Relationships. [online]. [cited 2012.9.2]. <http://www.ifla.org/VII/s13/pubs/ISBD-FRBR-mappingFinal.pdf>.

10.

ISBD Review Group. 2010. International Standard Bibliographic Description(ISBD). Consolidated ed. [online]. [cited 2010.12.2]. <www.ifla.org/files/cataloguing/isbd/isbd_wwr_20100510_marked.pdf>.

11.

ISBD Review Group. 2011a. International Standard Bibliographic Description(ISBD). Consolidated ed. Germany: Saur.

12.

ISBD Review Group. 2011b. Full ISBD Examples: Supplement to the Consolidated Edition of the ISBD. [online]. [cited 2012.11.2]. <http://www.ifla.org/files/assets/cataloguing/isbd/isbd-examples_2011.pdf>.

13.

IME ICC. 2009. Statement of International Cataloging Principles. [online]. [cited 2011.10.2]. <http://www.ifla.org/files/cataloguing/icp/icp_2009-en.pdf>.

14.

JSC for RDA. 2010. RDA Toolkit. [online]. [cited 2011.10.2]. <http://www.rdatoolkit.org>.

15.

Rodríuez, E. E., & McGarry, D. 2007. “Consolidated ISBD: A step forward.” In WLIC: 73rd IFLA General Conference and Council. August 19-23, 2007. Durban, South Africa. [online]. [cited 2012.7.2]. <www.ifla.org/IV/ifla73/papers/145-EscolanoRodriguez_McGarry-en.pdf>. 국립중앙도서관 도서관연구소 역. 국제표준서지기술(ISBD) 예비 통합판 동향. [online]. [cited 2012.9.2]. <http://www.nl.go.kr/krili/webzine/pdf/tendency_1201.pdf>.

한국문헌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