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어린이․청소년의 선호도서의 특성을 분석하기 위한 기준을 설정하고 성격유형별로 선호하는 도서의 특성을 조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서울과 경기도에 위치한 초등학교 8개교 5학년 394명과 중학교 7개교의 1학년과 2학생 374명 총 768명을 대상으로 에니어그램 성격검사를 실시하였으며 대출결과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성격유형별로 선호도서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작품분석지표를 통해 얻어진 선호도서의 결과 중 특이값의 결과가 에너지를 사용하는 중추센터별로 차이가 나타났다. 즉, 머리형(사고형), 가슴형(감정형), 배형(본능형)의 영역별로 차이가 나타났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성격유형별 맞춤식 독서교육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set the criteria that can analyze and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books preferred by children and adolescents according to their personality types. To achieve this goal, the Enneagram personality test were conducted for 394 students of Year 5 from 8 primary schools and 374 students of Years 7 and 8 from 7 middle schools, which are located in Seoul and Gyunggi-do in Korea. The result of loan book was collected and analyzed. The analysis result showed that preferred books we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personality types. The results of the specific values among the results of the preferred books we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central center where energy was used: brain-centered types (thought-focused), and heart-centered types (emotion-focused), and body centered-types (act-focused). This result is expected to be utilized for customized reading education according to personality types in the future.
강성덕. 2005. ..에니어그램 교육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자아존중감, 사회성 및 대인관계에 미치는영향... 석사학위논문,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박지연. 2007. ..독서치료가 저소득층 가정 아동의 성격 요인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 대체의학대학원, 정신치료전공.
이소희, 인보영. 2008. 아동기 에니어그램 성격유형 파악을 위한 탐색적 연구. ..부모교육연구.., 5(2): 100-129.
이소희. 2009. ..비전에니어그램 베이직과정 매뉴얼... 서울: 비전에니어그램 교육연구소.
정영미. 2012. 에니어그램 성격 유형에 따른 OPAC 탐색 성향과 만족도. ..정보관리학회지.., 29(3): 169-186.
정희정. 2008. ..유아 에니어그램 성격유형 관찰척도의 개발과 타당화 ... 박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한윤옥. 2010. 성격유형과 독서성향 관계에 기초한 독서치료 가능성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4(3): 25-59.
한윤옥, 조미아. 2011. 독서교육에 있어서 청소년의 성격유형과 독서성향의 관련성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2(4): 69-88.
한윤옥, 조미아, 고정원, 백진환. 2012a. 성격유형을 적용한 청소년 독서지도 프로그램 운영방안에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6(1): 78-97.
한윤옥, 백진환, 장해숙, 이보라. 2012b. 어린이의 성격유형에 따른 선호도서의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6(3): 5-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