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225-598X
  • E-ISSN2982-6292

온라인참고서비스의 장애요인에 대한 이용자 및 사서의 인식조사 연구

A Study on the Recognition of Users and Librarians of Obstructive Factors in Online Reference Services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P)1225-598X; (E)2982-6292
2016, v.50 no.1, pp.133-159
https://doi.org/10.4275/KSLIS.2016.50.1.133
노영희 (건국대학교)
박혜진 (건국대학교 지식콘텐츠연구소)
신영지 (건국대학교 지식콘텐츠연구소)

초록

본 연구에서는 문헌분석을 포함하여 국내외 온라인참고서비스 사례를 집중적으로 분석하였고, 온라인참고서비스 상에서 발생할 수 있는 모든 장애요인을 종합적으로 도출하여 대학도서관 사서 및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수행함으로써 집단간 인식차이가 있는지를 밝혀내고자 하였다. 그 결과, 자원부분의 장애요인으로 이용자는 콘텐츠의 질적․양적 부족을 가장 큰 장애요인으로 생각하고 있는 반면에 이용자가 가장 낮은 비율로 문제를 인식하고 있는 인적자원 부족(주제전문사서/훈련된 직원의 부족)을 사서는 가장 큰 장애요인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서비스 부분의 장애요인에 대해 온라인참고서비스 제공시 장애요인으로 사서가 가장 높게 인지하고 있는 요인은 저작권 문제로 서비스제공의 제한, 정보검색의 어려움 및 이용방법의 복잡함, 메뉴의 통일성 결여 및 참고서비스에 대한 주메뉴 누락 순으로 나타났고, 이용자는 저작권 문제로 서비스제공의 제한, 명칭의 혼재로 접근의 어려움, 메뉴의 통일성 결여 및 참고서비스에 대한 주메뉴 누락 순으로 나타나 집단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온라인참고서비스, 장애요인, 사서 인식, 이용자 인식, Online Reference Service, Obstructive Factor, Librarian Recognition, User Recognitio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related studies and domestic/international online reference cases, extract obstructive factors present in online reference services, and reveal whether or not there are differences in perception between the university librarian and the users. The results with respect to the failure of the resources revealed that while the user considers the quantitative/qualitative shortage of content as the greatest obstacle in the online reference service, librarians see the lack of human resources (Specialist Librarian/trained staff) in this light. Users think this is the least of the problems. In addition, other obstacles that are the most highly evaluated by librarians are, in order, the limitation of service because of copyright issues, the difficulty of information retrieval and complexity of methods of use, and a general lack of information in the reference services menu and missing information in the main menu. For the users the other most important obstacles were similar with the limitation of service because of copyright issues being highest, followed by the difficulty of access because of the confusion over service names, and the general lack of information in the reference services menu and missing information in the main menu.

keywords
온라인참고서비스, 장애요인, 사서 인식, 이용자 인식, Online Reference Service, Obstructive Factor, Librarian Recognition, User Recognition

참고문헌

1.

고아름. 2010. 국내 대학도서관의 협력형 디지털참고정보서비스 가이드라인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정보관리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010년 8월, 111-116.

2.

고아름, 정은경. 2011. 대학도서관 디지털 참고정보서비스 가이드라인 개발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연구, 42(2), 23-41.

3.

김달식. 2005. 대학도서관의 디지털 참고봉사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6(2):241-262.

4.

김보람. 2007. 공공도서관의 디지털참고봉사에 관한 연구: 서울지역 공/구립 도서관을 대상으로.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사서교육전공.

5.

김석영. 2002. 디지털참고정보서비스의 최근 개발동향. 정보관리학회지, 19(4), 213-232.

6.

김휘출. 2003. 통합형디지털참고봉사를 위한 기반 연구: 대학도서관을 중심으로.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7(2), 169-186.

7.

문정순. 1997. 전자우편과 전자게시판을 활용한 대학도서관 전자참고 서비스. 도서관학논집, 26:541-573.

8.

문정순. 1999. 웹 기반 참고정보원 사이트의 구축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0(4), 229-253.

9.

박희진, 박성재. 2013. 내용분석을 통한 대학도서관 디지털 참고정보서비스(전자게시판) 활성화에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30(4), 175-193.

10.

송재술, 신정아. 2013. 경기도 공공도서관 협력형 전자정보 서비스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7(3), 207-226.

11.

신이정. 2005. 대학도서관의 디지털 정보봉사에 관한 현황 비교 연구.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교육대학원 사서교육전공.

12.

윤인순. 2002. 대학도서관 전자게시판을 이용한 온라인 전자참고서비스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학과 사서교육전공.

13.

이향숙. 2006. 국내 공공도서관의 디지털 참고서비스 모형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학과 사서교육전공.

14.

장혜란. 2003. 대학도서관의 디지털참고봉사 제공 및 이용 분석. 정보관리학회지, 20(4), 49-66.

15.

차미경, 김수정. 2006. 공공도서관 가상참고봉사 협력모형개발을 위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0(4), 367-383.

16.

Bushallow-Wilbur, L., DeVinney, G., and Whitcomb, F. 1996. Electronic Mail Reference Service: A study. RQ, 35(3), 359-371.

17.

Chowdhury, G. G. 2002. Digital Libraries and Reference Services: Present and Future.Journal of documentation, 58(3), 258-283.

18.

Ferguson, C. D., and Bunge, C. A. 1997. The Shape of Services to Come: Values-Based Reference Service for the Largely Digital Library. College & Research Libraries, 58(3):252-265.

19.

Gray, S. M. 2000. Virtual Reference Services: Directions and Agendas. Reference & User Services Quarterly, 39(4), 365-375.

20.

Lee, S., Kim, H., and Choe, H. 2013. An Evaluation of Applying Knowledge Base to Academic Information Service. International Journal of Knowledge Content Development & Technology, 3(1), 81-95.

21.

LISWiki. Chat Reference Libraries. [online] [cited 2015. 11. 1.]<http://LISWiki.org/wiki/Chat_reference_libraries>

22.

Mizrachi, D. 2013. Individuality and Diversity among Undergraduates’ Academic Information Behaviors: An Exploratory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Knowledge Content Development & Technology, 3(2), 29-42.

23.

Noh, Y. et al. 2011. An Analysis of User Satisfaction of K University’s Library Service.International Journal of Knowledge Content Development & Technology, 1(1), 61-79.

24.

Sloan, B. 1998. Electronic Reference Services: Some Suggested Guidelines. Reference &User Services Quarterly, 77-81.

25.

Weise, F. O., and Borgendale, M. 1986. EARS: Electronic Access to Reference Service.Bulletin of the Medical Library Association, 74(4), 300-304.

한국문헌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