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225-598X
  • E-ISSN2982-6292

도서관장애인서비스 품질요인의 실증적 평가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Empirical Evaluation of Quality Factor on Library Service for the Disabled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P)1225-598X; (E)2982-6292
2016, v.50 no.2, pp.271-287
https://doi.org/10.4275/KSLIS.2016.50.2.271
배경재 (동덕여자대학교)

초록

본 연구는 이용자 중심의 도서관장애인서비스 품질요인을 실증적으로 고찰하고자 하였다. 품질요인의 실증적인 고찰을 위해 기존 도서관서비스의 품질 측정도구와 장애인서비스 기준 및 지침을 분석하여 총 9개의 품질요인을 도출하였으며, 이 요인을 활용하여 설문조사와 사례의 질적 평가가 이루어졌다. 조사 결과, 공공도서관 장애인서비스에서 가장 핵심적이며, 또한 상대적으로 취약한 품질요인은 시설, 장서, 직원 등 기본적인 도서관 자원의 영역으로 나타났다. 또한 도서관장애인서비스 우수사례를 분석한 결과 독서문화프로그램과 정보서비스 품질요인에 강조를 두고 있음이 조사되었다.

keywords
도서관장애인서비스, 도서관서비스 품질요인, 실증적 평가, 사례연구, Library Service for the Disabled, Library Service Quality Factor, Empirical Evaluation, Case Study

Abstract

This study intends to review the quality factors of library service for the disabled using user-centered approach. For the empirical review of quality factors, Nine quality factors were drawn after analyzing the current library service quality factors and the standards of library service for the disabled. Using these factors, The survey for identifying importance of factors and the qualitative evaluation of service cases were performed in this study. As a result of this survey, the most critical but relatively weak quality factors were facility, collection and staff factors. And the qualitative evaluation results of service cases indicated that the reading culture program and the information service factors were critical.

keywords
도서관장애인서비스, 도서관서비스 품질요인, 실증적 평가, 사례연구, Library Service for the Disabled, Library Service Quality Factor, Empirical Evaluation, Case Study

참고문헌

1.

국립장애인도서관지원센터. 2009. 도서관장애인서비스 기준 및 지침. 서울: 국립장애인도서관지원센터.

2.

국립중앙도서관. 2008. 2008년도 제1회 장애인도서관서비스 운영사례집. 서울: 국립중앙도서관.

3.

국립중앙도서관. 2009. 2009년도 제2회 장애인도서관서비스 운영사례집. 서울: 국립중앙도서관.

4.

국립중앙도서관. 2010a. 2010년도 제3회 장애인도서관서비스 우수사례집. 서울: 국립중앙도서관.

5.

국립중앙도서관. 2010b. 장애인도서관서비스 평가지표 및 기준연구. 서울: 국립중앙도서관.

6.

국립중앙도서관. 2011. 2011년도 제4회 장애인도서관서비스 우수사례집. 서울: 국립중앙도서관.

7.

국립중앙도서관. 2012. 2012년도 제5회 장애인도서관서비스 우수사례집. 서울: 국립중앙도서관.

8.

국립중앙도서관. 2015. 2015년 도서관장애인서비스 현황조사. 서울: 국립중앙도서관.

9.

김영기, 이연옥. 2008. 도서관의 장애인서비스 기준 및 지침의 구성요소 도출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2(2), 87-108.

10.

배경재. 2015. 공공도서관 장애인서비스 기준의 현황 및 과제.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9(4):379-400.

11.

이상복. 1998. 도서관의 이용자중심 서비스 질 평가와 측정에 관한 이론적 고찰.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2(3), 265-280.

12.

이응봉. 2015. 도서관 서비스 품질 평가 연구에 대한 비교․분석.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9(1):89-111.

13.

ASCLA. 2011. NLS Technical Circulars Revised Standards and Guidelines of Service. [online][cited 2016. 4. 1.] <http://www.loc.gov/nls/networkdocs/standards2011.html>

14.

Brophy, P. 2006. Measuring library performance. London: Facet Publishing. 재인용: 심원식, 이은철. 2013. LibQUAL+를 활용한 국내 대학도서관 서비스 품질 측정 사례 조사. 정보관리학회지, 30(2), 245-268.

15.

Cook, C., and Heath, F. 2001. Users’ Perceptions of Library Service Quality: A LibQUAL+:Qualitative Study. Library Trends, 49(4), 548-584.

16.

IFLA. 2005. Libraries for the Blind in the Information Age Guidelines for Development. Hague: International Federation of Library Associations and Institutions, IFLA Professional Reports: 86.

17.

Kwak, Seung-Jin and Bae, Kyung-Jae. 2009. Ubiquitous Library Usability Test for the Improvement of Information Access for the Blind. The Electronic Library, 27(4), 623-639.

18.

Parasuraman, A., Zeithamal, V., and Berry, L. 1985. A Conceptual Model of Service Quality and Its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Journal of Marketing, 49(4), 41-50.

19.

Parasuraman, A., Zeithamal, V., and Berry, L. 1988. SERVQUAL: A Multiple-Item Scale for Measuring Consumer Perceptions of Service Quality. Journal of Retailing, 64(1), 12-40.

한국문헌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