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225-598X
  • E-ISSN2982-6292

법원도서관의 대국민서비스 개방에 따른 이용자요구 분석연구

A Study on User Needs for Public Access to the Supreme Court Library of Korea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P)1225-598X; (E)2982-6292
2018, v.52 no.3, pp.215-246
https://doi.org/10.4275/KSLIS.2018.52.3.215
곽승진 (충남대학교)
노영희 (건국대학교)

초록

법원도서관은 사법부를 대표하는 법률전문도서관으로서 국내․외 다양하고 유익한 법률정보를 수집하여 대국민서비스 확대 제공을 목표로 운영하고 있다. 특히 2018년 후반에는 고양시로 이전하여 일반 국민에게도 개방하고 대출서비스를 포함하여 법률특화분야 서비스 방안을 모색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법원도서관 및 고양시 공공도서관의 현황을 분석하고, 미래 이용자 및 법률분야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의견을 수렴함으로써 법원도서관의 장서구성, 공간구성, 장서배치를 포함한 법원도서관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법률종사자 및 일반국민에 대한 국내외 법률 자료 제공역할을 높게 기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일반인들을 위한 장서구성에 대해서 전문가와 일반이용자간 인식차이가 있었으며, 선호하는 정보원의 유형에서 이용자 집단은 일반 주제도서 및 잡지류를, 전문가 집단은 법률관련 전문도서 및 판례/판결정보, 연구보고 등 주로 전문정보를 담고 있는 정보원을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이전된 도서관의 이용 의향은 이용자는 80%에 이르고 있어서, 도서관에서 제공할 서비스와 시설, 그리고 공간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가 이루어진다면 도서관은 매우 활성화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keywords
The Supreme Court Library of Korea, Spatial Composition, Composition and Arrangement of the Collection, Space Composition, Role Change, Type of Information Source, Preferred Subject, 법원도서관, 장서구성, 장서배치, 공간구성, 역할변화, 정보원 유형, 선호주제

Abstract

As a law library representing the Department of Justice, the Supreme Court Library of Korea collects various domestic and foreign legal information and aims to become more publicly accessible. In 2018, after its relocation to Goyang, Korea, the library has initiated check-out services to citizens and is currently developing a plan to provide services in the legal field. In this study, we have assessed the current situation at the Supreme Court Library as well as public libraries in Goyang. Furthermore, we have surveyed future users and legal experts to formulate a proposal for optimal literary composition and spatial composition, as well as library arrangement. Survey participants expected extensive provision of legal information regarding legal professions and the general public.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opinion between legal experts and users with respect to resources for the public; general citizens desire more materials related to general topics whereas legal experts expect more law-specific resources such as information regarding judicial precedents and court decisions, research articles. Furthermore, 80% of users expressed interest in utilizing the library; therefore, active efforts to improve its facilities will lead to successful operations of the library.

keywords
The Supreme Court Library of Korea, Spatial Composition, Composition and Arrangement of the Collection, Space Composition, Role Change, Type of Information Source, Preferred Subject, 법원도서관, 장서구성, 장서배치, 공간구성, 역할변화, 정보원 유형, 선호주제

참고문헌

1.

경기도청. 2014. 『경기도 대표도서관 장서개발정책 및 운영방안 연구』. 경기도: 경기도청.

2.

곽승진, 노영희, 신재민. 2017. 복합문화기관으로서 도서관의 공간 구성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8(3), 7-25.

3.

국립세종도서관. 2017. 『국립세종도서관 장서개발정책 수립 연구』. 세종: 국립세종도서관.

4.

국립중앙도서관. 2014. 『국립중앙도서관 장서개발정책』. 서울: 국립중앙도서관.

5.

노영희 외. 2017. 충남대표도서관의 장서구성 방안 연구. 사회과학연구, 28(1), 235-264.

6.

이란주. 2016. 이용자의 특성과 요구에 기반 한 정보서비스에 관한 탐험적인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7(1), 291-312.

7.

이용재, 박경석, 김보인. 2012. 대학도서관 공간 구성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3(2), 133-150.

8.

정재영. 2012. 대학도서관 공간활용 방안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3(3), 333-352.

9.

천혜선, 이정미, 곽승진. 2013. 도서관 프로그램 재해석에 기반한 공간구성 제안-국립세종도서관의운영기본계획을 중심으로.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7(4), 363-387.

10.

한국도서관협회. 2017. 『2017 한국도서관연감』. 서울: 문화체육관광부.

11.

황혜정, 김기영. 2015. 중등학교 학교도서관 이용자 인식 및 요구 특성 분석. 정보관리학회지, 32(1), 245-264.

12.

Bailin, K. 2011. Changes in Academic Library Space: A Case Study at the University of New South Wales. Journal Australian Academic & Research Libraries, 42(4), 342-359.

13.

Linda K. D., and Shiyi, X. 2017. Standards Collection Development and Management in an Academic Library: A Case Study at the University of Western Ontario Libraries. Issues in Science and Technology Librarianship, 87(Sum).

한국문헌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