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2466-2542
  • KCI
윤희윤(대구대학교) pp.1-23 https://doi.org/10.16981/kliss.49.2.201806.1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서울시 공공도서관을 위한 정책과제를 발굴․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거시적으로는 공공도서관 핵심지표를 이용하여 서울시와 글로벌 경쟁도시의 격차를 비교하고, 미시적으로는 공공도서관 인프라 및 서비스 지표를 중심으로 서울시 및 광역시도의 수준을 분석하였다. 이어 「2030 서울도시기본계획」과 「도서관 및 독서문화 활성화 종합계획」을 연계하여 공공도서관 정책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바탕으로 글로벌 지식문화 수도를 위한 브랜드화, 도서관 핵심역량 및 시스템의 선진화, 시민중심의 지식문화 생태계 조성, 시민의 서비스 만족도 및 기대편익 극대화를 서울시 공공도서관의 미래지향적 정책과제로 제시하였다.

Abstract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suggest policy tasks for the public library in Seoul. For this goal, researcher compared macroscopically the gap between the Seoul city and the global competitiveness city using the core index of the public library, and analyzed microscopically the level of the Seoul city and the metropolitan cities and provinces focusing on the public library infrastructure and service index. Next, researcher evaluated the public library policies by linking the 「2030 Seoul City Master Plan」 and the 「Library and Reading Culture Revitalization Plan」. Based on the results, researcher proposed branding for global knowledge culture capitals, advancement of core competencies and systems of libraries, composition of citizen centered knowledge culture ecosystem, maximization of citizen's service satisfaction and expected benefits as future-oriented policy tasks of public libraries in Seoul.

남권희(경북대학교) pp.25-58 https://doi.org/10.16981/kliss.49.2.201806.25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he agriculutral book Gyemi Metal Type Sasichanyo which was produced in Jujaso(鑄字所), by early Joseon dynasty’s king Taejo(太宗). It is the most advanced edition of Sasichanyo(『四時纂要』) among whole east-northern Asia, which contains miscellanies about monthly agricultural plan(月令式 農家雜錄) and the themes are; agriculture, production·spin-off processing, sanitation and medicine, tool fixing and conservation, business management. This research divided all letters appeared in Gyemi metal type Sasichanyo(『四時纂要』) by three categories; small letters, smaller letters, smallest letters to define its’ function and characteristics and estimated the value of Sasichanyo(『四時纂要』). Also in the aspect of typeface of letters and typesettings, this study compared all editions of Sasichanyo(『四時纂要』) with Gyemi metal type Sasichanyo(『四時纂要』).

이미화(공주대학교) pp.59-78 https://doi.org/10.16981/kliss.49.2.201806.59
초록보기
초록

본고는 링크드데이터를 위한 도서관 분야의 온톨로지 BIBFRAME 개발에 따라 국내에서 BIBFRAME 적용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 사례조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사례조사로 BIBFRAME을 개발한 미의회도서관과 BIBFRAME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LD4P를 분석하고, 설문조사에서는 국내 목록사서를 대상으로 링크드데이터 관련 용어의 이해도, 링크드데이터 구축을 위해 필요한 조건 등에 대해 조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국내에서 BIBFRAME을 도입하기 위한 적용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이름전거, 주제명 등의 기존 전거데이터를 링크드데이터로 출판하는 것뿐만 아니라 도서관에서 통제어휘로 사용하거나 데이터 값으로 사용하는 용어집도 링크드데이터로 생성해야 한다. 둘째, 국내에서 BIBFRAME의 적합성을 판단하고, 확장 모델링을 개발할 필요가 있으며, KORMARC과의 매핑 테이블 작성과 변환기 및 입력기의 시스템 개발도 요구된다. 셋째, BIBFRAME과 같은 링크드데이터 구축이 사서의 고유 업무가 될 수 있도록 사서를 대상으로 한 체계적인 교육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에서 BIBFRAME 구축을 위한 실질적인 적용방안을 모색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Abstract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concrete application plan of BIBFRAME under the development of BIBFRAME as library specific ontology for linked open data. The several research methods are used as the literature reviews, the case study of LC and LD4P, and the survey of cataloging librarians which is to grasp understanding level of the linked data related terms and requirements for constructing LOD. The application plan is suggested as follows. First, publishing name authority data and subject heading in LOD are prominent as the startup with creating terms list or vocabulary in LOD that has been used in library for controlled vocabulary and data value. Second, it is needed to develop BIBFRAME application and extension modeling in Korea, to map KORMARC and the properties and classes of BIBFRAME, and to develop the editor and MARC to BIBFRAME Transformation Tools. Third, the systematical training for cataloging librarians is designed to regard BIBFRAME related works as the librarian’s main field. Therefore, this study would contribute to seek the practical application plan for BIBFRAME in Korea.

김명희(도서문화재단 씨앗) ; 조현양(경기대학교) pp.79-104 https://doi.org/10.16981/kliss.49.2.201806.79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청소년의 자율 협력적 독서실행 모형을 제시하고 협력적 독서방식이 청소년의 독서유효성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국 8개 지역, 61개 중·고등학교에 68개 독서클럽을 조성하고 연구집단을 독서미흡집단, 독서양호집단, 독서혼합집단으로 구분하여 청소년의 자율 협력적 독서실행을 4개월 동안 실시하였다. 독서유효성의 설문지를 제작하여 사전과 사후검사를 실시하고 SPSS 통계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청소년들의 독서유효성은 긍정적으로 향상되었으며 독서미흡집단이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청소년의 독서행동에도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으며 독서유효성의 변화는 독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Abstract

This study was to present a model of cooperative reading practice and verify reading effectiveness on youth. For this purpose, 68 reading clubs were established in 61 districts and 8 high schools. The research groups were classified as the poor reading group, the good reading group, and the mixed-skill reading group. The cooperative reading groups were carried out for four months. We developed a questionnaire on Reading effectiveness conducted it pre- and post–test, and analyzed the results through the SPSS statistical program. We found that there was a positive change in the reading effectiveness of youth and overall—the highest effectiveness was found in the poor reading group. In addition, there was a positive change in the reading behavior of youth. The change of reading effectiveness was found to affect reading behavior.

강은영(신라대학교) ; 장덕현(부산대학교) pp.105-129 https://doi.org/10.16981/kliss.49.2.201806.105
초록보기
초록

최근 지역대표도서관을 중심으로 자료의 공동보존을 위한 노력이 가시화되고 있으나 이는 대체로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한 움직임이다. 이에 이 연구는 부산‧경남지역을 중심으로 국립대학도서관을 위한 공동보존서고 건립‧운영 모형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1) 참여도서관 보존서고의 규모와 시설, 운영정책, 장서량과 이관현황, 포화상태 등을 조사하고 이관예정자료의 규모를 추산하는 등 현황 분석을 실시한 다음, 2) 건립형태, 조직과 인력, 자료이관지침, 자료정리와 배가, 자료제공 등 공동보존서고 건립‧운영 모형을 제안하였다.

Abstract

Efforts to establish a joint preservation facility for library materials are being discussed in the regional representative libraries recently, but this is mainly a movement in public libraries. This study aimed to provide a model for a joint preservation facility construction and management especially for the National Universities Library in Busan/Gyeongnam area. For this job, after analyzing the current situation, this study focuses on 1) estimated size of the planned facility calculated by investigating the size and equipment, operation policy, collection quantity and saturation status of participating library archives, 2) strategies for construction, proposed a joint preservation architecture construction ‧ management model such as organization and human resources, and standards for transferring materials.

김영석(명지대학교) ; 이용재(부산대학교) pp.131-150 https://doi.org/10.16981/kliss.49.2.201806.131
초록보기
초록

우리나라와 일본의 많은 문헌정보학 연구자와 사서들은 일본홍도회도서실을 한국 공공도서관의 시초라고 주장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일본홍도회도서실의 건립과 운영을 정치·사회적인 관점에서 재검토 및 재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조사·분석 결과에 의거하여 일본홍도회도서실을 우리나라 공공도서관의 시초로 삼는 것은 다음과 같은 이유에서 재논의 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첫째, 일본홍도회도서실은 우리나라에 건립되었지만 일본인들에 의해 건립되었다. 둘째, 도서실은 일본인들을 위해 건립되었고, 오랫동안 그렇게 운영되었다. 셋째, 장서의 대부문은 일서였던 것으로 사료된다. 넷째, 부산에 도서실을 건립한 일본홍도회는 일제강점기 전과 그 기간 동안 일본의 군국주의를 지지하는 단체인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Many researchers and librarians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area in Korea and Japan claim that Japanese Hongdohoe Library is the first modern public library in Korea. The results of analysis of the study reveal that the claim should be reconsidered because of the following reasons. Firstly, Hongdohoe Library was established in Korea but was established by Japanese. Secondly, the library was established for Japanese in Busan and operated for a long time for the use of Japanese people in Busan. Thirdly, most of the collection of the library were revealed as Japanese materials. Fourthly, the Japanese Hongdohoe which established the library was the organization that supported Japanese militarism before and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of Korea.

노영희(건국대학교) ; 오의경(상명대학교) pp.151-178 https://doi.org/10.16981/kliss.49.2.201806.15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도서관장을 대상으로 공공도서관의 도서관 특성화 및 주제전문사서에 대한 인식과 의견을 조사함으로써, 도서관 특성화에 대한 발전적인 방향성을 논의하는데 있다. 69명의 관장이 설문에 응하였으며, 주요 결과로는 특성화서비스 제공에 있어 인력과 예산 부족의 어려움이 있지만 도서관 특화서비스의 필요성과 당위성을 충분히 인식하고 있으며 앞으로 유지 발전해 나갈 의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응답자의 과반수 이상이 공공도서관의 특화서비스 제공과 주제전문사서 배치는 필수적이라고 하였다. 주제전문사서에 대한 자격은 석사 이상의 학력과 4-7년 이상의 해당 업무 경력이 적절하며 국가자격제도로 관리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특성화서비스는 서비스를 담당할 주제전문사서 양성시스템 정비, 주제전문사서 자격제도의 확립과 운영, 특성화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위한 주제관련 기관들과의 협력 등에 관한 깊은 논의가 향후 후속 연구에서 이루어져야 함을 제언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developmental direction of public library specialization by investigating the library specialization and the perception and opinions on the theme specialized librarians. A total of 69 directors have responded to the survey, and the main result was that while there are difficulties in terms of manpower and budget in providing the specialization services, they have been fully aware of the need and value of the libraries’ specialized services and were willing to maintain and develop the services in the future. In addition, more than half of the respondents said that the provision of specialized services and the placement of theme specialized librarians at the public libraries are essential. The qualification for the theme specialized librarians was said to be higher than a master's degree and 4 to 7 years or longer of relevant work experience and must be managed as a national qualification system. Based on these results, suggestions were made that the discussions of the specialization service comprised of the training system for specialized librarians,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the theme specialized librarian qualification system, and the cooperation with the theme related organizations for the qualitative improvement of the specialization service, among others.

강봉숙(대구서부고등학교) pp.179-199 https://doi.org/10.16981/kliss.49.2.201806.179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fference of economic condition of students, that is, the difference of basic information utilization ability stemming from education gap. First, we investigated information literacy for high school freshmen who can control the difference of information utilization education experience by school. In doing the research, 629 high school students in the metropolitan city were surveyed using web. we analyzed the educational gap between schools depending on their economic conditions and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education gap and basic information utilization ability.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re is a very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ratio of students who get support for school expenses and basic information utilization ability. Second, regression equation was produced through regression analysis of information literacy regression to analyze the effect of educational gap on basic information literacy. In addition, it seeks to consider alternatives that can improve the inequality of information literacy which is derived from education gap.

최영임(공주대학교) pp.201-220 https://doi.org/10.16981/kliss.49.2.201806.201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problems within bibliotherapy research of the 15 thesis papers aimed at improving self esteem, and then to explore development plan. In the current study on bibliotherapy, the problems with bibliotherapy are presented in five aspects. First, there is a lack of professionalism and role of counselor who plays the most important role in bibliotherapy. Second, the situation of the internalizer as an internalizer of bibliotherapy was not reflected in the bibliotherapy program. Third, the lack of diversity in the bibliotherapy program does not keep the reader's interest in bibliotherapy. Fourth, bibliotherapy reading material is limited to text material, which lacks the use of various media. Fifth, there is insufficient validity for the test paper that measures the effectiveness of the reader's bibliotherapy in terms of research methods. Several development plan are proposed based on the factors that affect bibliotherapy. Firs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train teaching materials to secure expertise of bibliotherapy counselors. Seco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data on the various media on suitable for bibliotherapy material. Third,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test paper that can accurately measure the effectiveness of bibliotherapy.

이은주(동의대학교) pp.221-244 https://doi.org/10.16981/kliss.49.2.201806.221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 이용자의 요구와 행태에 기반 한 FRBR 기반 OPAC 프로토타입을 실험적으로 구현해 보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이 연구에서는 시스템 개발방법 중 사용자의 요구사항이 민감하게 반영되어야 할 경우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인 프로토타이핑(prototyping) 기법을 적용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이 연구에서는 (1) 국외 FRBR형 검색서비스에 대한 이용자 선호도 평가결과를 토대로 하여 프로토타입의 논리적 구조를 설계하고, (2) 설계한 논리적 구조에 따라 FRBR 기반 프로토타입을 물리적으로 개발한 다음, (3) 프로토타입에 대한 이용자 만족도 평가를 실시하였다. 이 때, 만족도 평가는 대학생 50명과 전문가 6명을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intends to implement an OPAC prototype based on FRBR(Functional Requirements for Bibliographic Records) model, which are reflected the users’ information needs and search behavior. To the end, this study applies prototyping techniques that design, evaluate and improve an early sample model. Includ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1) design a conceptual model of new OPACs based on the users’ information needs about FRBR-based search services, (2) implement a FRBR-based prototype with WordPress 4.2 version, (3) evaluate the FRBR-based prototype from the viewpoint of users and experts(catalogers and professors). 50 college students and 6 experts participate in the final evaluation process.

Kim, Eungi(계명대학교) pp.245-266 https://doi.org/10.16981/kliss.49.2.201806.245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This study proposes a novel method to rank highly-cited papers that incorporate the likelihood of receiving future citations. Instead of using the total citation count, the proposed method ranks most-papers based on the yearly citation growth rate (YCGR). The rank of YCGR can be obtained by calculating the average ranks of five individual citation related variables: 1) Total Citation Count, 2) Leftside-Slope, 3) Publication Year, 4) Peak Year, and 5) Rightside-Slope. To empirically test the proposed method, yearly citation counts with other relevant bibliographic records of the 50 most-cited papers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LIS) journals used in the study conducted by Walters and Wilder were collected from the Scopus database for the years 1996 to 2016. The result indicated that the YCGR appears to reflect the degree to which the paper is likely to receive future citations, and the ranked list based YCGR offered an alternative viewing feature of the highly-cited papers in LIS. Although more empirical analyses are needed, the rank based on YCGR in conjunction with variables related to YCGR can be used as an alternative method in recognizing influential papers in LIS.

박주현(Visiting Scholar, University of Missouri) pp.267-300 https://doi.org/10.16981/kliss.49.2.201806.26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리터러시 및 독서・정보・ICT・디지털 리터러시의 개념을 고찰하고 정의하여 이들 리터러시의 개념적 차이를 통한 독서・정보・ICT・디지털 리터러시의 개념화 모델을 개발하는 데 있다. 동시대의 사회적이고 문화적이며 정보 기술의 발전에 따른 현상을 설명하는 개념으로 컴퓨터 리터러시가 등장하였으며, 이후 컴퓨터 리터러시는 IT와 ICT 리터러시로 그리고 디지털 리터러시로 변화되어 왔다. 연구결과로, 매체의 기술적 변화에 따라 용어가 변화되어 온 이들 리터러시를 매체 중심적 리터러시로 분류하였고, 텍스트나 정보를 이해하고 활용하고 평가하는 인지적 과정에 초점을 둔 독서 리터러시와 정보 리터러시를 과정 중심적 리터러시로 분류하여 독서・정보・ICT・디지털 리터러시의 개념화 모델을 개발하였다. 디지털 환경에서도 독서나 정보 리터러시는 매체에서 드러난 텍스트를 비판적으로 사고하고 평가하는 핵심적인 역량으로 독자들의 독서 및 정보 격차를 줄일 수 있는 방법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더욱 필요하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conceptualization models of reading, information, ICT, and digital literacy through conceptual differences of these literacy by reviewing and defining the concepts of literacy as well as reading, information, ICT, and digital literacy. Computer literacy has emerged as a concept that explains the phenomenon of contemporary social, cultural, and information technology development, and since then, computer literacy has since changed to IT, ICT literacy, and digital literacy. As a result of the study, a conceptualization model of the reading, information, ICT, and digital literacy was developed. In this model, these literacy whose terms have changed according to the technological development of media, have been classified as medium-centered literacy. And reading and information literacy that focuses on the cognitive process of understanding, utilizing, and evaluating texts and information is categorized as process-oriented literacy. In the digital environment, reading and information literacy is a core competence to critically think and evaluate the texts that are on media, and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reduce the reading and the information gap among readers.

박성우(광주대학교) pp.301-326 https://doi.org/10.16981/kliss.49.2.201806.301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지역사회를 실행공동체로 환원시키기 위한 매개자인 공무원의 협력 가능성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공동체는 가치지향적인 개념으로 현대사회에서는 지역공동체, 실행공동체, 공동체성을 가진 조직 등으로 존재한다. 공공도서관 공동체는 지역공동체의 성격과 실행공동체의 성격을 동시에 띠며, 지역사회 문제해결을 위해 서비스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그러나 한국에서는 동 단위의 주민자치에서 지역사회 문제해결을 위한 공공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들은 모두 지역사회를 실행공동체로 환원시킨다는 목적을 가지고 업무를 수행한다. 따라서 이 연구는 공동체의 매개자에게 필요한 공동체 의식, 업무 필요성에 대한 의식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동체 의식이 높은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업무협력에 대한 필요를 덜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공동체 의식이 높거나 주민자치 업무에 많이 노출된 집단은 직무기대가 낮은 편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공동체에 관련된 업무를 원활하게 협력하기 위해서 공동체 업무에 대한 적극적인 동기부여가 필요할 것이다.

Abstract

The study is to find the possibility of cooperation between civil servants as a mediators for changing a society in a region into community of practice. “Community” is the value-oriented concept and exists in a local community, a community of practice and a organization that have the characteristic of “Community.” Public libraries as “Community” have both characteristics of local community and community of practice. And public libraries as community gives public services for neighborhood region problem-solving to people. But in Korea, Residents autonomy system in Dong gives the service to people. They all conducts the business for changing a society in a region to community of Practice. Therefore the study conducted a survey about sense of community and necessity of cooperation in the business. The results are following: The group of higher awareness on community feels less needs to corporate the work in community than the group of lower awareness on community; The group of higher awareness on community or the group having more experience on community have lower job satisfaction. Therefore the motivation on working for community is needed for the mediator.

박태연(전북대학교 문화융복합아카이빙연구소) ; 한희정(전북대학교) ; 오효정(전북대학교) ; 양동민(전북대학교) pp.327-356 https://doi.org/10.16981/kliss.49.2.201806.327
초록보기
초록

기술혁신에 기반한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도래와 이에 따른 고용구조 변화 양상에 대한 대중의 관심이 뜨겁다. 특히 사회 전반의 지능정보화는 도서관 환경에도 많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며, 도서관 내 직군으로서 사서도 또한 이러한 환경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필요성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도서관 사서의 직무별 기술 적용 가능성에 대하여 분석하였으며, 미래 사서의 핵심업무를 도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미래 사서의 새로운 역할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Abstract

People's interest in the emergence of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based on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consequently changes in employment structure increased. Especially, the society-wide intelligent informatization will have a great influence on the library environment, and librarian as a job in the library also needs to actively cope with these environmental changes. Therefore,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technology substitutability according to librarian's duties, and derive the core tasks of the future librarian. Finally, the new roles of future librarian are discussed in depth.

김태영(전북대학교) ; 백지연(전북대학교 문화융복합아카이빙연구소) ; 오효정(전북대학교) pp.357-388 https://doi.org/10.16981/kliss.49.2.201806.35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빅데이터 로그를 기반으로 도서관 이용자 및 대출 현황을 분석함으로써 이용자 그룹별 특성을 파악하고 궁극적으로는 도서관의 효율적인 운영 방안을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분석 대상 로그는 국립세종도서관에 등록된 이용자 정보, 대출 정보, 서비스 이용 정보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중 이용자 관련 정보로는 연령 정보 107,369건, 성별 정보 106,918건, 거주지 정보 106,838건이 활용되었다. 대출 관련 정보로는 대출 이용자 정보 536,083건, 대출 횟수 정보 6,509,369건이, 서비스 이용 정보로는 82,813건이 활용되었다. 이용자 그룹별 특성 분석은 연령별, 성별, 거주지별 이용자 현황 분석 및 연도별, 월별, 요일별 대출 현황 분석 등 다각도로 진행되었다. 뿐만 아니라 이용 현황 결과의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FGI 및 외부 데이터와의 연계 분석도 수행하였다. 이를 토대로 향후 국립세종도서관 운영 시 효율적인 의사결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개선 방안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분석 데이터가 적은 기존 연구와는 달리 실제 도서관 운영 시 발생한 빅데이터 로그를 기반으로 이용자 및 대출 현황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analyze library user and circulation status based on the bigdata logs to identify characteristics by user group and propose methods for efficient management of library. The logs to be analyzed consist of user information, circulation information, service usage information registered at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Sejong. The user information logs contain 107,369 age data, 106,918 gender data, 106,838 residential data. The circulation information logs contain 536,083 circulation user data, 6,509,369 circulation count data, and the service usage information logs contain 82,813 data. For the analysis of characteristics by user group, the data were used for analyzing user status by age, gender, residence and circulation status by year, month, day. In addition, this study conducts FGI(Focus Group Interview) and linkage analysis with external data to identify factors for analysis results. Based on analysis results, improvement methods for helping library make effective decision-making were proposed. This study analyze empirically user and circulation status based on bigdata logs, and it has significance for being different form proceeding researches with less analysis data.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