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메뉴

청소년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부모·자녀관계의 문화적 특징-부자유친 성정을 중심으로-

The Influence of Cultural Uniqueness of Parent-Children Relationship on Adolescent's Mental Health:Parent-Adolescent Affective Bonding(Bu-Ja-Yu-Chin-Sung-Cheong)

초록

이 연구의 주요한 내용은 한국문화에서 부모-자녀관계의 특성이라 볼 수 있는 부자유친성정과 자아분화 그리고 심리․사회적 적응관련 정서간의 관계를 근거로 문화적 특수성과 보편성에 따른 상담적용의 시사점을 검토해보고자 하였다. 분석대상은 고등학생 314명(남: 159명, 여: 155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고, 자료처리 및 분석은 통계프로그램인 SPSS/WIN 11.0과 구조방정식 모델의 프로그램인 AMOS(Analysis of Moment Structure) 4.0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부자유친성정과 자아분화는 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부자유친성정과 심리․사회적 적응관련 정서와의 관계에서는 부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그리고 자아분화와 심리․사회적 적응관련 정서간에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부자유친성정 하위변인들이 자아분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결과에서는 아버지, 어머니와의 일체감 변인과 아버지의 헌신성 변인이 유의한 설명변인으로 나타났고, 부자유친성정이 심리․사회적 적응관련 정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아버지와의 일체감 변인만이 유의한 설명변인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자아분화의 하위변인들이 심리․사회적 적응관련정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에서는 가족퇴행과, 인지 대 정서기능 변인이 유의한 설명변인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부자유친성정과 심리․사회적 적응관련 정서와의 관계에서 자아분화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완전매개모델이 부분매개모델이나 단순효과 모델에 비해 자료에 더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parent-child relationship, self-differentiation, cultural psychology, mental-health, 부모-자녀관계, 부자유친성정, 자아분화, 문화심리, 정신건강

Abstract

This study explored an alternative or a more appropriate approach in counseling regarding multiple cultural problems. Participants for this study were 314 high school students (159 males and 155 femal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arent-adolescent affective bonding and self-differentiation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whereas parent-adolescent affective bonding and psycho-social adjustment emotion were negatively associated. Furthermore, self-differentiation and psycho-social adjustment emotion also showe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Second, in the subsidiary variable of parent-adolescent affective bonding, the oneness variable of a father, a mother and the self-sacrifice variable of a father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predictors. On the other hand, in the psycho-social adjustment emotion, only the oneness variable with a father was found to be a significant predictor. Also,in the effect of the subsidiary variable of self-differentiation affecting psycho-social adjustment emotion, the family regression and the variable of intelligence/emotion function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predictors. Last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dolescent affective bonding and psycho-social adjustment emotion, the full mediation model showed better fit to the data than the partial mediation model or the simple effect model. Thus, in parent-adolescent affective bonding, only the indirect path affecting psycho-social adjustment emotion through self-differentiation was significant, whereas the direct path affecting psycho-social adjustment emotion was not.

keywords
parent-child relationship, self-differentiation, cultural psychology, mental-health, 부모-자녀관계, 부자유친성정, 자아분화, 문화심리, 정신건강

참고문헌

1.

(1995) 부부의 자아분화가 부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2.

(1993) 청소년의 자아분화와 부적응 증상 및 문제행동과의 관계 연구,

3.

(1998) 퇴계의 삶과 철학, 서울대학교 출판부

4.

(1999) 문화적 맥락에서 본 개별성-관계성과 심리적 적응의 관계,

5.

(2003) 독립적-상호의존적 자기관과 사회불안-공적 자의식의 매개효과,

6.

(1999) 고등학생의 자아분화 및 자아존중감과 정신건강과의 관계,

7.

(2000) 발달단계로서의 ‘철들기’의 문화심리학적 분석 ,

8.

(2001) 대학생의 가족응집성 및 자아분화 수준과 대학생활적응도의 관계 연구,

9.

(1999) 한국의 집단주의에 관한 동기-자아개념-행동 모형의 검증 사회 및 성격,

10.

(1998) 다변량 자료분석의 이해와 활용, 학지사

11.

(2002) 부자유친성정 척도의 제작과 타당화 연구,

12.

(1992) 청소년의 자아분화와 정신건강과의 관계 서울지역 남ㆍ녀 고등학생을 중심으로,

13.

(1994) 청소년의 발달시기에 따른 자아분화와 정신건강과의 관계,

14.

(1989) 자아분화와 역기능적 행동과의 관계-Bowen의 가족체계 이론을 중심으로,

15.

(1999) 선진유학에서 도출되는 심리학의 문제 ,

16.

(1999) 자아분화수준에 따른 대학생활적응,

17.

(1996) 한국인의 사회적 성격,

18.

(1994) 한국인의 심정심리학 사회과학연구 제7집 중앙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19.

(2000) 한국인심리학, 중앙대학교 출판부

20.

(1994) 부자유친성정과 자녀에 대한 영향력,

21.

(2001) 임상심리학 이론의 경험적 검증을 위한 최신 연구방법론 구조 방정식 모형을 이용한 매개모형과 잠재평균모형의 분석, 한국심리학회 임상심리학회

22.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23.

(1976) Theory in the Practice of Psychotherapy, Gardner Press

24.

(1978) Family therapy in clinical practice, Aronson

25.

(1990) Applications of covariance structure modeling in psychology Cause for concern? Psychological Bulletin,

26.

(1984) Familial correlates of identity formation in late adolescence A study predictive utility of connectedness and Individuality in family relations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27.

(1999) Conflict and cohesion in parent-adolescent relations Changes in emotional expression from early to mid adolescence Conflict and cohesion in families,

28.

(1991) Age expectations of behavioral autonomy in Hong Kong The influence of family variables and adolescents' values International Journal of Psychology,

29.

(1983) The nature and impotance of attachment relationships to parents and pears during adolescence Journal of Youth Adolescence,

30.

(1986) Differentiation of self and psychiatric diagnosis,

31.

(1987) Family dynamics and presenting problems in college student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32.

(1988) Pathway ti identity development in woman, San Fransco Jossey-Bass

33.

(19901989) Family and socialization in cross-cultural perspective A model of change Nebraska Symposium on Motivation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Lincoln

34.

(2001)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Mature Personality Paper presented at the 4th Conference of the Asian Association of Social Psychology,

35.

(1994) Cross-cultural roots of minority child development, Lawrence Erlbaum Associates Inc

36.

(1993) 개인주의의 역사,

37.

(1991) Cultural variation in the self-concept, Springer-Verlag

38.

(1963) Development of Autonomy an Parent-Child Interaction in Late Adolescence American Journal of Orthopsychiatry, Springer-Verlag

39.

(1991) Do parent-child relationships change at puberty? Psychological Bulletin,

40.

(1985) Perceived parental acceptance and rejection and parental control among the Korean adolescent,

41.

(1981) Transformation in family relations at puberty,

42.

(1974) Separating Parents and Adolescents, Quadrangle

43.

(1992) Connectedness Versus Separateness:Applicability of Family Therapy to Japanese Families,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