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메뉴

Rosenberg의 자아존중감 척도: 문항수준 타당도분석

Rosenberg' Self-Esteem Scale: Analysis of Item-Level Validity

초록

본 연구에서는 Rosenberg의 자아존중감 척도의 타당도를 문항수준에서 분석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초, 중, 고, 대학생 총 3,498명을 대상으로 Rosenberg의 자아존중감 척도가 단일구인을 측정하고 있는 지, 문항들 중 자아존중감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위협하는 문항은 없는 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번역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8번 문항의 경우, 초․중․고등학생에서는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대학생에서는 낮은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또한 8번 문항은 자아존중감 척도의 전체 신뢰도를 떨어뜨리는 문항인 것으로 판명되었으며, 8번 문항을 제외하면 자아존중감 척도는 단일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자아존중감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8번 문항의 수정이 요구되며, 이 같은 결과는 이질적인 문화의 척도를 가져올 때 번역에 주의해야 할 필요성을 보여준다.

keywords
자아존중감, 문항수준, 요인구조, Self-Esteem, Item-Level Analysis, Facture Structure, Self-Esteem, Item-Level Analysis, Facture Structure

Abstract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item-level validity of Rosenberg's Self-Esteem Scale(RSES). Specifically, a total of 3,498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o assess the unidimensionality of RSES as well as item-level reliability and validity. The results indicated that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had negative item-total correlations on the eighth item of the RSES. Item-totalcorrelations of the same item were relatively low in college students as well. In addition, the troublesome nature of RSES Item 8 existed in reliability and validity analyses. Therefore, item 8 of the RSES should be cautiously translated and revised to prevent a degree of ambiguity that may cause it to be easily misinterpreted in different cultural contexts.

keywords
자아존중감, 문항수준, 요인구조, Self-Esteem, Item-Level Analysis, Facture Structure, Self-Esteem, Item-Level Analysis, Facture Structure

참고문헌

1.

고려대학교 부설 행동과학연구소편 (2001). 심리척도 핸드북 Ⅱ. 서울: 학지사.

2.

김문혜, 강문희 (1999). 아동의 자아존중감 관련변인의 인과모형 분석. 아동학회지, 20(4), 195-211.

3.

김봉임 (2004). 농촌노인과 도시노인의 자아존중감, 건강상태와 자가간호에 관한 비교 연구. 재활간호학회지, 7(2), 140-148.

4.

김아영, 김세영 (2003). 명시적 부정문항과 암묵적 부정문항이 심리척도 요인구조에 미치는 영향. 교육평가연구, 16(1), 39-52.

5.

김연희, 박경자 (1999). 아동이 지각한 사회적지지 및 귀인 성향과 아동의 자아존중감의 관계. 아동학회지, 22(2), 49-64.

6.

김영란, 안민주 (2005). 결손가정 아동과 정상가정 아동의 성역할 정체감 및 자아존중감 비교 연구. 인간이해, 26, 105-124.

7.

김은정 (2006). 초기 청소년 자녀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가정 내 사회자본의 역할과 특성에 관한 연구. 가족과 문화, 18(3), 33-61.

8.

김현정, 손정락 (2006). 대학생의 완벽주의와 자아존중감 및 우울, 주관적 안녕감 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1(2), 345- 361.

9.

남궁은정, 한주리, 허경호 (2008). 대학생의 갈등 효능감, 자아존중감 및 완벽주의에 따른 커뮤니케이션 능력과 대화 만족도의 차이. 청소년학연구, 15(1), 357-380.

10.

민수홍, 유성렬 (2003).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과 범죄피해경험. 형사정책, 15(2), 159- 188.

11.

박현숙 (2002). 중년여성의 우울, 건강증진행위, 자아존중감 및 낙관성에 관한 연구. 정신간호학회지, 11(3), 352-362.

12.

백혜정, 황혜경 (2005). 초등학생의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관련 변인 및 자아관련 변인에 관한 연구. 제2회 한국청소년패널 학술대회 발표논문(pp.115-130). 서울: 서울대학교 호암교수회관.

13.

서수균 (2007). 자존감과 자기애 수준에 따른 분노사고, 신념, 분노표현의 차이.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9(3), 719- 734.

14.

성미혜 (2005). 여대생의 섭식장애, 신체증상 및 자아존중감의 관련성. 한국모자보건학회지, 9(2), 155-166.

15.

손진희 (2008). 인터넷 과다사용 청소년의 자동적 사고: 인터넷 과다사용자 사고 질문지 개발. 한국청소년연구, 19(1), 143-168.

16.

신연희 (2001). 자아존중감, 청소년 비행, 그리고 어머니의 역할에 관한 연구. 가족과 문화, 13(1), 107-132.

17.

이미리 (2005). 청소년기 자아존중감과 가족, 친구, 학업, 여가, 직업 변인들의 관계: 긍정적 자아평가와 부정적 자아평가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연구, 16(2), 263-293.

18.

이숙 (2003). 청소년기 여고생의 자살위험성, 자아존중감 및 자아기능 강도 연구. 정신간호학회지, 12(2). 155-163.

19.

이영준 (1991). 다변량 분석, 서울: 석정.

20.

이영호, 송종용 (1991). BDI, SDS, MMPI-D 척도의 신뢰도 및 타당도에 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0(1). 98-113.

21.

이주리 (2008). 한부모 가정 청소년의 부모 양육태도와 내면화 문제와의 관계에서 정서적 조절과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검증. 아동학회지, 29(3), 115-125.

22.

이호준 (2006). 참가자 관점 부모교육 평가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3.

이훈진, 원호택 (1995). 편집증 척도의 신뢰도, 타당도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4(1), 83-94.

24.

홍창희, 한규석 (2007). 한국 정서표현성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1(4), 133-148.

25.

장선철, 송미현 (2004). 고등학생의 외모만족도와 자아존중감 및 학교적응의 관계. 청소년학연구, 11(3), 115-133.

26.

전병재 (1974). Self-esteem: A test of its measurability. 연세논총. 11. 109-129.

27.

정옥분 (2003). 아동발달의 이해. 서울: 학지사.

28.

정전자, 김영희 (1996). 성인의 건강증진 생활양식과 자아존중감, 지각된 건강상태와의 비교연구. 성인간호학회지, 8(1), 41-54.

29.

최미례, 이인혜 (2003). 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에 대한 자아존중감의 중재효과와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2(2), 363- 383.

30.

최보가, 전귀연 (1993). 자아존중감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Ⅰ). 대한가정학회지, 31(2), 41-54.

31.

최수찬, 박해웅 (2005). 근로자의 사회정서적문제가 스트레스와 우울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연구. 한국사회복지학, 57(4). 177-196.

32.

최연희, 백경신 (2002). 미국이민 한국노인의 건강증진 행위, 생활만족도 및 자아존중감과의 관계연구.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19(3), 1-11.

33.

최진아, 이 숙 (1996). 아동의 자아존중감 및 관련변인. 가정과학연구, 6, 1-8.

34.

최해림 (1999). 대학생의 자아존중감, 우울증, 가정적 자아와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상담과 심리치료, 11(2), 183-197.

35.

Back, A. T., & Young, J. (1979). Handbook of studies on depression. Journal of Nervous and Mental Disease, 167, 719.

36.

Carmines, E. G., & Zeller, R. A. (1979). Reliability and validity assessment. Los Angeles, CA: Sege publications.

37.

Chen, K. M., Snyder, M., & Krichbaum, K. (2002). Translation and equivalence: The Profile of Mood States Short Form in English and Chinese.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39, 619-624.

38.

Choi, C. H. (1972). The Manual of Perceptual Orientation Scale. Yonsei Non-chong, 9, 877-101.

39.

Crandall, R. (1973). The measurement of self-esteem and related constructs. In J. P. Robinson & P. Shaver (Eds.), Measurements of social psychological attitudes (pp.45-167). Ann Arbor, MI: Institute for Social Research.

40.

Coopersmith, S. (1967). The antecedents of self-esteem. In T. A. Wills (Ed.). Basic process in helping relationships (pp.4-5, 96-117) New York: Academic Press.

41.

Farruggia, S. P., Chen, C., Greenberger, E., Dmitrieva, J., & Macek, P. (2004). Adolescent self-esteem in cross-cultural perspective: Testing measurement equivalence and a mediation model. Journal of Cross-Cultural Psychology, 35, 719-733.

42.

Goldsmith, R. E. (1986). Dimensionality of the Rosenberg Self-Esteem Scale. Journal of Social Behavior and Personality, 1, 253-264.

43.

Greenberg, M. T., Siegel, J. M. & Leitch, C. J. (1983). The nature and importance of attachment relationship to parents and peer during adolescence.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12, 373-386.

44.

Hagborg, W. J. (1993). The Rosenberg Self-Esteem Scale and Harter's Self-Perception Profile for adolescents: A concurrent validity study. Psychology in Schools, 30, 132-136.

45.

Harter, S. (1999). The construction of the self: A developmental perspective. New York: Guilford.

46.

Hampton, N. Z. (2005). Testing for the structure of the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Scale-Short Form among Chinese college students.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13, 98-113.

47.

Hensley, W. E. (1977). Differences between males and females on Rosenberg scale of self-esteem. Psychological Reports, 41, 829-830.

48.

Hensley, W. E., & Roberts, M. K. (1976). Dimensions of Rosenberg's Self-Esteem Scale. Psychological Reports, 38, 583-584.

49.

Kaplan, H. B., & Pokorny, A. D. (1969). Self-derogation and psychosocial adjustment. Journal of Nervous and Mental Disease, 149, 421-434.

50.

Larsen, R. J., & Ketelaar, T. (1991). Personality and susceptibility to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al stat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1, 132-140.

51.

Lee, S. M., Moon, K. S., Puig, A., Cho, E., Lee, S. Y., Back, S. H., & Woo, Y. K. (2008). Development and initial psychometrics of the Korean Mood State Inventory. Measurement and Evaluation in Counseling and Development, 41, 42-50.

52.

Marsh, H. W. (1996). Positive and negative global self-esteem: A substantively meaningful distinction or artifactor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0, 810-819.

53.

McCarthy, J. D., & Hoge, D. R. (1982). Analysis of age effects in longitudinal studies of adolescent self-esteem. Developmental Psychology, 18, 372-379.

54.

Magill, F. N. (1996).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Psychology. London: Fitzroy Dearborn.

55.

Mental Health Statistics Improvement Program. (2005). The Rosenberg Self-Esteem Scale. Retrieved October 28, 2008, from http://www.mhsip.org /reportcard/rosenberg.pdf

56.

Nho, C. (1999). Psychological well-being of Korean American and Korean immigrant adolescents in the New York City Area. Unpublished Dissertation, Ewha Womens University.

57.

O'Conner, B. P. (2000). SPSS and SAS programs for determining the number of components using parallel analysis and Velicer's MAP test. Behavior Research Methods, Instruments, & Computers, 32, 396-402.

58.

Pullmann, H., & Allik, J. (2000). The Rosenberg Self-Esteem Scale: Its dimensionality, stability and personality correlates in Estonian.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28, 701-715.

59.

Rosenberg, M. (1965). Society and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60.

Rosenberg, M. (1979). Conceiving the self. New York: Basic Books.

61.

Rosenberg, M. (1989).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Revised edition. Middletown, CT: Wesleyan University Press.

62.

Russell, J. A. (1991). Culture and the categorization of emotions. Psychological Bulletin, 110, 426-450.

63.

Schmitt, D. P., & Allik, J. (2005). Simultaneous administration of the Rosenberg self-esteem scale in 53 nations: Exploring the universal and culture-specific features of global self-esteem.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9, 623-642.

64.

Shahani, C., Dipboye, R. L., & Philips, A. P. (1990). Global self-esteem as a correlate of work-related attitudes: A Question of dimensionality.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54, 276-288.

65.

Silbert, E., & Tippett, J. (1965). Self-esteem: Clinical assessment and measurement validation. Psychological Reports, 16, 1017-1071

66.

Smith, P. B. (2004). Acquiescent response bias as a aspect of cultural communication style. Journal of Cross-Cultural Psychology, 35, 50-61.

67.

Van de Vijver, F., & Hambleton, R. K. (1996). Translating tests: Some practical guidelines. European Psychologist, 1, 89-99.

68.

Van Herk, H., Poortinga, Y. H., & Verhallen, T. M. M. (2004). Response styles in rating scales: Evidence of method bias in data from six EU countries. Journal of Cross-Cultural Psychology, 35, 346-360.

69.

Van Kuyk-Minis, M. H., & Liu, L. (1998). Issues related to the translation of measurement scales: A comparison of versions of the Arthritis Impact Measurement Scale. The Occupational Therapy Journal of Research, 18, 143-156.

70.

Watson, D. (1988). Intraindividual and interindividual analyses of positive and negative affects: their relation to health complaints, perceived stress and daily activiti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4, 1020-1030.

71.

Wells, L. E., & Marwell, G. (1976). Self-esteem: Its conceptualization and measurement. Beverly Hills, CA: Sage.

72.

Whiteside-Mansell, L., & Corwyn, R. F. (2003). Mean and covariance structures analyses: An examination of the Rosenberg Self-Esteem Scale among adolescents and adults.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Measurement, 63, 163-173.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