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1229-0688
본 연구에서는 2001년부터 2011년까지 국내에서 진행된 청소년 스트레스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성과연구 52편을 대상으로 메타분석 방법을 통해 효과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로는 첫째, 분석대상 논문들에서 산출된 212개의 평균 효과 크기는 0.93으로, 상당히 크게 나타났다. 둘째, 프로그램 목적에 따라 스트레스 감소와 대처의 효과 크기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셋째, 연령대별로는 세 집단 모두가 ‘큰 효과 크기’를 나타내었으며, 중등, 고등, 초등학생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프로그램 자발성에 대해서는 자발적 참여가 비자발적 참여보다 더 높은 효과를 나타냈다. 다섯째, 프로그램 회기 수에서는 14회기 이상의 경우가 10회기 이내 경우보다 효과 크기가 더 큰 경향성을 나타냈고, 한 회기당 프로그램 시간도 121분 이상인 경우가 가장 높은 효과 크기를 나타냈다. 여섯째, 집단원수는 적을수록 유의미한 차이의 효과 크기를 보였는데, 8명 이하 집단이 가장 높은 효과 크기를 보였다. 본 연구는 청소년 스트레스 집단상담 프로그램 효과연구 결과를 종합하고, 프로그램의 개발, 개정, 및 효과적인 운영에 필요한 정보와 지침을 제공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adolescent stress group counseling program conducted in Korea through meta-analysis of 52 thesis and articles which were published from 2001 to 2011. The results are as follows : First, the average effect size of 212 studies was 0.93. Second, the effect size of the treatment-focused programs was similar to that of the coping-focused programs. Third, the effect size of the counseling program for the middle school students was the highest than other student groups. Fourth, the effect of the group counseling was higher when students voluntarily participated in a program than other case. Fifth, programs with over 14-session-groups showed higher effect sizes than group counseling with 11∼13-session or under 10-session-groups. The implications of the study result are discussed.
강진령, 손현동 (2004).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메타분석. 청소년상담연구, 12(1), 81-90.
권경인, 조수연 (2010). 국내 집단상담 연구의 최근경향과 과제. 인간이해, 31(2), 63-84.
김계현 (2000). 상담심리학 연구 II. 서울: 학지사.
김계현 (2002). 교육상담에서의 효과성 연구와 메타분석. 아시아교육연구, 3(1), 131-155.
김계현 (2007). 상담심리학연구: 주제론과 방법론. 서울: 학지사.
김계현, 이윤주, 왕은자 (2002). 국내 집단상담 성과연구에 대한 메타분석. 상담학연구, 3(1), 47-62.
김기환, 전명희 (2000). 청소년 자살의 특성과 유형에 관한 연구. 한국아동복지학, 9(1), 127-152.
김미경, 김유나, 김신희 (2011). 서울시 아동청소년 안전 및 건강실태 조사. 서울: 서울시여성가족재단.
김민성 (2011). 비자발적 청소년내담자의 사회적 문제해결증진을 위한 단기상담 사례연구. 영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요셉, 김성천, 유서구 (2011). 청소년기 스트레스의 영향요인: 긍정적 자아개념과 자기신뢰감의 영향을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18(3), 103-126.
김형태, 백유미 (2007). 자기성장 집단상담의 효과연구에 대한 메타분석. 상담학연구, 8(3), 965-978.
박광배, 신민섭 (1991). 고등학생의 지각된 스트레스와 자살생각.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0(1), 298-314.
박소영, 문혁준 (2005). 학령기 아동의 스트레스 관련 변인 탐색. 대한가정학회지, 43(9), 71-84.
박승민 (2009). 청소년 인터넷 중독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1(3), 607-623.
박재연, 정익중 (2010). 인문계 고등학생의 학업문제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개인수준의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의 매개역할을 중심으로-. 한국아동복지학, 32, 69-97.
서경현, 신현진, 김신섭 (2011). 초기 청소년기에 있는 아동의 자존감 및 자기애와 대인관계 스트레스 및 사회불안 간의 관계. 청소년학연구, 18(10), 143-160.
서미옥 (2011). 메타분석 연구의 고찰과 연구방법론적인 제안. 교육학연구, 49(2), 1-23.
손명희, 송영혜 (2009). 집단놀이치료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놀이치료연구, 13(1), 19-43.
신정아, 황혜원 (2006). 초기 청소년의 스트레스와 심리사회적 적응에 대한 생태체계적 보호요인의 영향 연구. 청소년학연구, 13(5), 123-154.
아영아, 정원철 (2010). 청소년의 학업 및 가족갈등 스트레스가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영향-스트레스대처능력의 조절효과 중심으로-. 청소년복지연구, 12(4), 257-277.
양미진, 이영희 (2006). 질적 분석을 통한 비자발적 청소년 내담자의 상담지속요인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8(1), 1-20.
오성삼 (2003). 메타분석 이론과 실제. 서울: 건국대학교 출판부.
오승환 (2009). 고등학생의 자살생각에 대한 스트레스의 영향 : 우울, 자아존중감, 생활만족도의 매개효과분석. 학교사회복지, 1(16), 53-73.
원길수, 박숙희 (2010). 미술치료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상담학연구, 11(2), 429-447.
유수정 (2011). 아동․청소년의 공격성 감소를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유승은 (2008). 아동․청소년의 문제행동 감소를 위한 집단상담 효과의 메타분석. 계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이경은, 하은혜 (2011). 청소년 사회불안에 대한 취약성-스트레스 모델. 인지행동치료, 11(2), 39-57.
이숙영, 이윤주, 정혜선 (2002). 메타분석을 통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4(3), 637-653.
이유미 (2005). 공격성 감소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검증: 저소득층 아동을 대상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이정미, 이지연, 장진이 (2012). 초등학생의 일상적인 스트레스와 공격성의 관계에서 정서조절 능력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19(5), 93-113.
이주리 (2010). 아동의 스트레스와 공격성 간 종단관계 연구. 아동과 권리, 14(1), 41-58.
이해경, 신현숙, 이경성 (2006). 비행청소년의 자살사고 예측변인. 청소년상담연구, 14(1), 49-62.
임은미, 임찬오 (2003). 국내 집단 진로지도 및 상담 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청소년상담연구, 11(2), 3-11.
정애경, 김계현, 김동민 (2008). 진로미결정 및 관련변인에 관한 국내연구 메타분석. 상담학연구, 9(2), 551-564.
정은옥 (2008). 학령기 아동의 일상적 스트레스 및 문제행동 수준에 따른 사회정보처리 과정.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조성은 (2004). 비행청소년을 위한 집단상담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청소년학연구, 11(3), 135-150.
조윤지, 유순화 (2010). 비(非)양친가정 자녀를 위한 집단상담의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청소년상담연구, 18(2), 37-55.
질병관리본부 (2012). 제 8차(2012년)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통계.
천성문, 함경애, 차명정, 송부옥, 이형미, 최희숙, 노진숙, 김세일, 강경란, 윤영숙 (2010). 학교집단상담의 실제. 서울: 학지사.
최성희 (2007). 내담자의 상담 자발성에 따른 상담에 대한 기대와 상담성과와의 관계. 학생생활상담, 25, 79-103.
최정선 (2004). 집단상담이 자기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메타분석.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홍경자, 임지선, 김왕석 (2001). 메타분석을 통한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인본주의적 집단상담과 인지․행동적 집단상담간의 효과비교. 상담학연구, 2(1), 23-44.
홍나미 (2011). 부모학대와 또래괴롭힘이 청소년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대인관계내재화와 절망감의 매개경로를 중심으로. 이화대학교 박사학위논문.
황혜정 (2006). 초등학생과 중학생의 스트레스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관한 연구. 초등교육연구, 19(1), 193-216.
Cohen, J. (1988).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2nd. Hillsdale.
Corey, M. S., Corey, G., & Corey, G. (2010). Groups: Process and practice (8th ed.), Pacific Grove, CA: Brooks/Cole.
Crick, N. R., & Grotpeter, J. k. (1996). Relational aggression, overt aggression, and friendship. Child Development, 67(5), 2328-2338.
Duval, S., & Tweedie, R. (2000). Trim and fill: A simple funnel plot based method of testing and adjusting for publication bias in meta-analysis. Biometrics, 56(2), 455-463.
Edward, C. C. (2002). Predicting suicide ideation in an adolescent population: examining the role of social problem solving as a moderator and a mediator.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32(7), 1279-1291.
Glicken, M. D. (2009). Evidence-based practice with emotionally troubled children and adolescents. Oxford: Elsevier Inc.
Hedges, L. V., & Olkin, I. (1983). Regression Models in Research Synthesis. The American Statistician, 37(2), 137-140.
Henderson, D. A., & Thompson, C. L. (2011). Counseling children (8th edition). Brooks/Cole, Cengage Learning.
Hunter, J. E., & Schmidt, F. L. (2000). Fixed effects vs random effects meta-analysis models: Implications for cumulative research knowledge. International Journal of Selection and Assessment, 8(4), 275-292.
Jenelle, N. G., & Cynthia, M. (2005). Stress coping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A case for Including Lifestyle. The Journal of Individual Psychology, 61(4), 314-328.
Kern, R., Gfroerer, K., Summers, Y., Curlette, W., & Matheny, K. (1996). Life-style, personality, and stress coping. The Journal of Individual Psychology, 52(1), 42-53.
Kim, K. H. (2011). Toward a science of preventive counseling. Journal of Asia Pacific Counseling, 1(1), 13-28.
Lambert, M. J., & Bergin, A. E. (1994). The effectiveness of psychotherapy. In A. E. Bergin, & S. L. Garfield (Eds.), Handbook of Psychotherapy and Behavior Change (4th ed., pp. 143-189). New York: Wiley.
Lazarus, R. S., & Folkman, S. (1984). Stress, appraisal, and coping. New York: Springer.
Liu, X., & Tein, J. (2005). Life events, psychopathology, and suicidal behavior in Chinese adolescents.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86(2), 195-203.
Lovallo, W. R. (2005). Stress and Health (2nd edition): Biological and psychological interactions. Sage Publications Inc.
O'Brien, M. U., Weissberg, R. P., Walberg, H. J., & Kuster, C. B. (2003). Contributions and complexities of studying trends in the well-being of children and youth. In Weissberg, R. P. Walberg, H. J., O'Brien, M. U., & Kuster, C. B. (Eds.), Longterm trends in the well-being of children and youth: issues in the children's and families' lives (pp. 3-26). Washington, DC: Child Wealfare League of America.
Piper, W., Ogrodniczuk, J., & Joyce, A. (2009). Follow-Up Outcome in Short-Term Group Therapy for Complicated Grief. Group Dynamics: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13(1), 46-58.
Smith, M. J., & Glass, G. V. (1977). Meta-analysis of psychotherapy outcome studies. American Psychologist, 32(9), 752-760.
Trotter, C. (1999). Working with Involuntary Clients: A Guide to Practice. Thousand Oaks, CA: Sage.
Wampold, B. E., & Poulin, K. L. (1992). Counseling research methods: Art and artifact. In S. D. Brown & R. D. Lent (Eds.), Handbook of counseling psychology (2nd ed., pp. 71-109). New York: Wil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