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메뉴

아동기외상과 관계중독의 관계에서 내면화된 수치심의 매개효과 검증: 여자대학생을 중심으로

Verification of the Mediating Role of Internalized Sham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Trauma and Relationship Addiction in Undergraduate Females

초록

본 연구에서는 여자대학생들이 지각하는 아동기외상과 관계중독의 관계를 내면화된 수치심이 매개하는지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한번 이상 연애경험이 있는 여자대학생 245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구조모형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측정도구로는 아동기외상 척도, 내면화된 수치심 척도, 관계중독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한 자료를 바탕으로 상관분석을 실시하여 변인들 간의 관계성을 살펴보았고, 아동기외상과 관계중독의 관계에서 내면화된 수치심이 매개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매개모형 검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아동기외상은 내면화된 수치심 및 관계중독과 정적 상관을 나타내었다. 또한 아동기외상이 내면화된 수치심을 거쳐 관계중독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완전매개모형이 적합한 것으로 채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첫째, 아동기외상이 관계중독의 주요한 원인이며, 둘째, 아동기외상은 부적절감, 공허감, 자기처벌, 실수불안으로 개념화되는 내면화된 수치심에 영향을 미치고, 셋째, 아동기외상이 내면화된 수치심에 영향을 주는 경우에만 관계중독의 양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관계중독과 관련된 상담에서 갖는 의미, 제한점을 제시하였고,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keywords
아동기외상, 관계중독, 내면화된 수치심, childhood trauma, relationship addiction, internalized shame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trauma and relationship addiction, specifically, the mediating role of internalized shame. A total of 245 female undergraduates who reported at least one experience of love were analyzed vi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Variables were assessed using correlation analysis and SEM verification was conducted to determine whether internalized shame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trauma and relationship addiction. Results are as follows: SEM analyses confirmed the completed mediation model indicating that first, that childhood trauma is the primary antecedent of relationship addiction. Second, childhood trauma has an effect on relationship addiction but only when childhood trauma results in significant levels of internalized shame conceptualized as inadequacy, emptiness, self-punishment, and fear of making mistakes.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future research suggestions are discussed.

keywords
아동기외상, 관계중독, 내면화된 수치심, childhood trauma, relationship addiction, internalized shame

참고문헌

1.

김소연 (2015). 내면화된 수치심과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검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김수민 (2016). 심리적 외상경험이 관계중독에미치는 영향: 주관적 고통감내력의 매개효과.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김은경 (2016). 불안정 성인애착, 내면화된 수치심이 관계중독에 미치는 영향. 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은정, 김진숙 (2010). 아동기외상과 초기 성인기 우울수준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상담 및 심리치료, 22(3), 605-630.

5.

김환, 한수미 (2015) 어릴 적 외상경험이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7(2), 251-274.

6.

류수정 (2014). 내현적 자기애가 인터넷중독에미치는 영향: 내면화된 수치심과 회피-분산정서조절양식의 매개효과.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

박연주 (2008). 성인의 애착과 낮은 자존감이 관계중독에 미치는 영향 - 수도권 거주자를대상으로. 호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박한나 (2016). 초기대상관계와 관계중독 간의관계: 미성숙한 방어유형의 매개효과. 한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안명란 (2015). 부정적 초기대상관계가 관계중독에 미치는 영향: 자기격려와 지각된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 명지대 사회교육대학원석사학위논문.

10.

안현의, 박철옥, 주혜선 (2012). 외상관련 정서의 확장: 수치심, 죄책감, 분노를 중심으로. 상담학연구, 13(2), 839-854.

11.

우상우 (2014). 관계중독의 심리-사회적 특성과이론적 모형 개발.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2.

유은영 (2012). 내면화된수치심, 자기통제력, 공격성 및 중독가능성의 관계. 가톨릭대학원상담심리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이계선 (2013). 성인애착과 관계중독의 관계: 자기대상욕구의 매개효과.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이성애 (2015). 부모의 양육태도와 대학생의 관계중독: 자기위로능력의 매개효과.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이수현 (2009). 여대생의 대인불안, 대인관계유형, 낭만적 애착유형과 관계중독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이유경 (2006). 여대생의 아동기 외상경험이 심리적 증상과 대인관계 문제에 미치는 영향:애착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이윤연 (2017). 아동기외상과 데이트폭력 피해의 관계: 유기도식과 관계중독의 이중매개효과. 대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이인숙, 최해림 (2005). 내면화된 수치심 척도(ISS)의 타당화 연구 - 애착, 과민성자기애, 외 로움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7(3), 651-670.

19.

이지연 (2008). 내면화된 수치심과 방어유형, 정서표현의 관계. 상담학연구, 9(2), 353-373.

20.

이지원, 이기학 (2014). 불안정애착 및 심리적고통이 관계중독에 미치는 영향: 지지추구적 정서조절양식의 조절된 매개효과검증.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6(1), 65-95.

21.

이지홍 (2015). 자아분화수준이 관계중독에 미치는 영향: 기본심리욕구 매개효과.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이태영 (2011). 아동기 외상경험이 초기 성인기대인관계 문제에 미치는 영향에서 내면화된수치심의 매개효과.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장문선, 박기쁨, 정성훈, 우상우 (2011). 의존성, 회피성 성격특성의 심리적 특성과 중독성향간의 관련성. 한국동서정신과학회지. 14(1), 13-31.

24.

정남운, 유은영 (2015). 내면화된 수치심의 임상적 타당성: 자기통제력, 공격성 및 중독가능성 과의 상관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21(3), 481-496.

25.

최은영 (2010). 여대생의 아동 청소년 대인간 외상경험과 자기역량 손상의 관계에서 내면화된 수치심의 매개효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한진주 (2007). 어린시절 경험과 관계중독의패턴연구: 애니어그램과 대상관계 이론적접근. 애니어그램연구, 4(2), 135-161.

27.

Allen, J. (2005). Coping with trauma: Hope through understanding.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Publishing, Inc.

28.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13).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5th ed.).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Publishing.

29.

Bernstein, D. P., & Fink, L. (1998). Childhood trauma questionnaire: A retrospective self-report manual. San Antinio, TX: Harcourt Brace.

30.

Bireda, M. R. (1990). Love addiction: A guide to emotional independence. New Harbinger Publications.

31.

Bowlby, J. (1973). Attachment and loss. Vol. 2. Separation: Anxiety and anger. New York, NY:Basic Books.

32.

Carr, C. P., Martin, C. M. S., Stingel, A. M., Lerngruber, V. B., & Juruena, M. F. (2013). The role of early life stress in adult psychiatric disorders: A systematic review according to childhood trauma subtypes. The Journal of Nervous and Mental Disease, 201(12), 1007-1020.

33.

Chen, M. A., Hess, G. C., Whelton, W. J., & Yonge, O. J. (2005). A comparison between female psychiatric outpatients with BPD and female university students in terms of trauma, internalized shame and psychiatric symptomatology. Traumatology, 11(1), 23-40.

34.

Classon, K, & Sohlberg, S. (2002). Internalized shame and early interactions characterized by indifference, abandonment and rejection. Clinical Psychology & Psychotherapy, 9(4), 277-284.

35.

Cook, D. R. (1991). Shame, attachment, and addictions: Implications for family therapists. Contemporary Family Therapy, 13(5), 405-419.

36.

Cook, D. R. (2001). Internalized shame scale:Technical manual. New York: Multi Health System, Inc.

37.

Eagle, M. N. (2016). 애착과 정신분석[Attachment and analysis]. (이지연, 이성원 역). 서울: 학지사. (원전은 2013에 출판).

38.

Ehlers, A., & Clark, D. M. (2000). A cognitive model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Behaviour Research and Therapy, 38(4), 319-345.

39.

Erikson, E. (1970). Identity through the life cycle. New York: W. W. Norton.

40.

Flores, P. J. (2010). 애착장애로서의 중독[Addiction as an attachment disorder]. (김갑중, 박춘삼 역). 서울: NUN. (원전은 2004에 출판).

41.

Harper, F. W. K., & Arias, I. (2004). The role of shame in predicting adult anger and depressive symptoms among victims of child psychological maltreatment. Journal of Family Violence, 19(6), 367-375.

42.

Hart, A. D. (1990). Healing life's hidden addiction. Ann Arbor, MI: Servant Publications.

43.

Harter, S. (1999). The construction of the self: A developmental perspective. New York, NY: The Guilford Press.

44.

Holmes, J. (2005). 존볼비와 애착이론 [John Bowlby & Attachment theory]. (이경숙 역). 서울: 학지사. (원전은 1993에 출판).

45.

Hong, S., Malik, M. L., & Lee, M. K. (2003). Testing configural, metric, scalar, and latent mean invariance across genders in sociotropy and autonomy using non-western sample. Educational and Psychology Measurement, 63(4), 636-654.

46.

Kaufman, G. (1989). The psychology of shame: Theory and treatment of shame-based syndromes. New York, NY: Springer Publishing Company, Inc.

47.

Kohut, H. (1977). The analysis of self. New York, NY: International University Press.

48.

Lewis, H. B. (1987). Shame and narcisstic personality, In D. I. Nathanson (Ed.), The many faces of shame (pp. 133-161). New York, NY: Guilford Press.

49.

Martin, G. (1990). When good things addictions. Victor Books.

50.

Monroe, S., Rohde, P., Seeley, J., & Lewinson, P. (1999). Life events and depression in adolescence: Relationship loss as a prospective risk fact for first on set of depressive disorder.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108(4), 606-614.

51.

Peabody, S. (2011). Addiction to love: Overcoming obsession and dependency in relationships. New York, NY: Random House, Inc.

52.

Pearson, J. (1991). Relationship dependent women:Their views on symptoms recovery. Virginia Counselors Journal, 19(4), 3-13.

53.

Pollak, S. D., Cicchetti, D., Horming, K., & Reed, A. (2000). Recognizing emotion in faces:Developmental effects of child abuse and neglect. Developmental Psychology, 36(5), 679-688.

54.

Reynaud, M., Karila, L., Blecha, L., & Benyamina, A. (2010). In love passion an addictive disorder? American Journal of Drug and Alcohol, 36(5), 261-267.

55.

Russell, D. W., Kahn, J. H., Spoth, R., & Altmaier, E. M. (1998). Analyzing data from experimental studies: A latent variabl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pproach.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5(1), 18-29.

56.

Smith, D. E. (2012). The process addictions and the new ASAM definition of addiction. Journal of Psychoactive Drugs, 44(1), 1-4.

57.

Van der Kolk, B. A. (2005). Developmental trauma disorders. Psychiatric Annuals, 35(5), 401-409.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