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 access
메뉴ISSN : 1229-0688
본 연구에서는 동성애자 및 양성애자의 긍정적 정체성을 다차원적으로 측정하기 위하여 Riggel, Mohr, Rostosky, Fingerhut, & Balsam(2014)이 개발한 동성애자/양성애자 긍정적 정체성 척도(Lesbian, Gay, Bisexual Positive Identity Measure; LGB-PIM)를 국내 20세 이상의 남녀 동성애자와 양성애자를 대상으로 타당화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원척도를 한국어로 번안하여 한국판 척도를 제작하고 요인구조를 확인하였으며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동성애자와 양성애자의 긍정적 정체성을 다차원적으로 측정하는 척도를 번안, 타당화하여 국내 동성애자 및 양성애자를 대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기존의 연구들은 주로 부정적 정체성을 통해 성소수자의 정체성을 측정하고 관련 변인과의 연구에 있어서도 부정적 측면에 치우쳐 있었으나, 긍정적 정체성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가 국내에 도입됨으로써 성소수자의 긍정적 측면에 대한 연구를 활성화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뿐만 아니라 본 척도는 긍정적 정체성의 다양한 측면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상담 실제에서도 내담자의 강점을 발견하고 자원을 활용하는 등 여러 장면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Lesbian, Gay, Bisexual Positive Identity Measure (K-LGB-PIM). The LGB-PIM was developed by Riggle, Mohr, Rostosky, Fingerhut & Balsam(2014) to measure the positive lesbian, gay, and bisexual (LGB) identity. To validate the Korean LGB-PIM, item translation, item analysis,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EFA) were conducted. Identical to the original scale, five factors were extracte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 supported the factor structure of the K-LGB-PIM and all five factors showed adequate internal consistency. Criterion validity was good with other identity related scales (LGBIS, AS, SIS) as well as the well-being related scale (MHC-F). In conclusion, the K-LGB-PIM is a valid measure of positive lesbian, gay, and bisexual identity for utilization with the Korean population. Implications, practical use,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are discussed.
김남걸 (2001). Likert 척도 개발을 위한 문항선정 방법의 비교 분석.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성연 (2013). 대인관계 심리학적 모형으로 본 동성애자의 자살.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은경, 권정혜 (2004). 동성애 관련 스트레스가 남성 동성애자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3(4), 969-981.
김진이 (2016). 가족의 태도가 성소수자의 커밍아웃 후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질적연구.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나영정, 김지혜, 류민희, 이승현, 장서연, 정현희, 조혜인, 한가람, 성적지향 성별정체성법정책연구회 (2014). 한국 LGBTI 커뮤니티 사회적 욕구조사 최종보고서. 서울: 친구사이.
나영정, 정현희 (2015). 성소수자 인구, 커뮤니티를 그리는 작업에서 마주치는 문제들 - 한국 LGBTI 커뮤니티 사회적 욕구조사를 중심으로. 여/성이론, 32, 92-108.
박수현 (2010). 동성애자의 소수자 스트레스와 대처 전략에 따른 심리사회적 적응의 차이.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은실 (2010). 양성애 여성의 횡단적 주체성 형성과 도전.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박의주 (2012). 남성 동성애자의 내재화된 동성애혐오와 심리적 안녕감, 드러내기 간의 관계: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백은정, 유영권 (2004). 기독 남성동성애자의 스트레스와 적응과정: 근거이론적 접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6(4), 825-842.
서영석, 이정림, 차주환 (2006). 성역할태도, 종교성향, 권위주의 및 문화적 가치가 대학생의 동성애혐오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8(1), 177-199.
성한기 (2001). 한국판 사회정체화 척도의 개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5(3), 33-48.
신승배 (2013). 한국 동성애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보건사회연구, 33(1), 380-416.
엄명용, 조성우 (2005). 사회복지실천과 척도개발: 표준화된 척도를 중심으로. 서울: 학지사.
우사라, 유성경 (2017). 상담자의 동성애에 대한 부정적 태도와 동성애자 상담 유능감에 따른 임상적 판단 및 반응.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9(2), 311-334.
윤가현 (1997). 동성애의 심리학. 서울: 학지사.
이순묵 (2000). 요인분석의 기초. 서울: 교육과학사.
이향숙 (2011). 진실성과 주관적 안녕감과의 관계에서 기본 심리적 욕구의 매개효과 검증. 상담학연구, 12(5), 1561-1577.
이호림 (2015). 소수자 스트레스가 한국 성소수자(LGB)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임민경 (2014). 남녀 동성애자의 내면화된 성적낙인 척도 타당화 연구. 고려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임영진, 고영건, 신희천, 조용래 (2012). 정신적 웰빙 척도(MHC-SF)의 한국어판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1(2), 369-386.
탁진국 (2007). 심리검사 개발과 평가방법의 이해. 서울: 학지사.
해밀튼 (2013). 대한민국 20대 남성의 성적 정체성과 퀴어성적 연구: 양성애자 정체성 및 수행성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011). Definition of Terms: Sex, Gender, Gender Identity, Sexual Orientation. Retrieved from http://www.apa.org/pi/lgbt/resources/guidelines.aspx
Bauer, J. J., McAdams, D. P., & Pals, J. L. (2008). Narrative identity and eudiamonic well-being. Journal of Happiness Studies, 9(1), 81-104.
Brady, S., & Busse, W. J. (1994). The gay identity questionnaire: A brief measure of homosexual identity formation. Journal of Homosexuality, 26(4), 1-22.
Cass, V. C. (1979). Homosexuality identity formation: A theoritical model. Journal of Homosexuality, 4(3), 219-235.
Erikson, E. H. (1968). Identity, Youth and Crisis. NY: Norton.
Gorsuch, R. L. (1983). Factor Analysis.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Harrison, T. W. (2003). Adolescent homosexuality and concerns regarding disclosure. Journal of School Health, 73(3), 107-112.
Hu, L. T., & Bentler, P. (1999). Cutoff criteria for fit indexes in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Conventinal criteria versus new alternativ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6(1), 1-55.
Keyes, C. L. M. (1998). Social well-being. Social Psychology Quarterly, 61(2), 121-140.
Keyes, C. L. M. (2002). The mental health continuum: From languishing to flourishing in life.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43(2), 207-222.
Lingiardi, V., Baiocco, R., & Nardelli, N. (2012). Measure of internalized sexual stigma for lesbians and gay men: A new scale. Journal of Homosexuality, 59(8), 1191-1210.
Martin, J., & Dean, L. (1987). Ego-dystonic homosexuality scale (Unpublished manuscript). Colombia University, New York.
Mayfield, W. (2001). The development of an internalized homonegativity inventory for gay men. Journal of Homosexuality, 41(2), 53-76.
Mohr, J. J., & Fassinger, R. E. (2000). Measuring dimensions of lesbian and gay male experience. Measurement and Evaluation in Counseling and Developmnet, 33(2), 66-90.
Mohr, J. J., & Kendra, M. S. (2011). Revision and extension of a multidimensional measure of sexual minority identity: The lesbian, gay, and bisexual identity scale.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58(2), 234-245.
Philips, J. C., Ingram, K. M., Smith, N. G., & Mindes, E. J. (2003). Methodological and content review of lesbian-, gay-, and bisexual-related articles in counseling journals: 1990-1999. The Counseling Psychologist, 31(1), 25-62.
Reich, J. W., Zautra, A. J., & David, M. (2003). Dimensions of affect relationships: Models and their integrative implications. Review of General Psychology, 7(1), 66-83.
Riggle, E. D. B., & Mohr, J. J. (2015). A proposed multi factor measure of positive identity for transgender identified individuals. Psychology of Sexual Orientation and Gender Diversity, 2(1), 78-85.
Riggle, E. D. B., Mohr, J. J., Rostosky, S. S., Fingerhut, A. W., & Balsam, K. F. (2014). A multifactor lesbian, gay, and bisexual positive identity measure (LGB-PIM). Psychology of Sexual Orientation and Gender Diversity, 1(4), 398-411.
Riggle, E. D. B., & Rostosky, S. S. (2012). A Positive View of LGBTQ: Embracing Identity and Cultivating Well-being. Lanham, MD: Rowman & Littlefield.
Schnerider, M. S., Brown, L. S., & Glassgold, J. M. (2002). Implementing the resolution on appropriate therapeutic responses to sexual orientation: A guide for the perplexed. Professional Psychology: Research and Practice, 33(3), 265-276.
Troiden, R. R. (1989). The formation of homosexual identities. Journal of Homosexuality, 17(1), 43-74.
West, S. G., Finch, J. F., & Curran, P. J. (1995).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nonnormal variables: Problems and remedies. In R. H. Hoyle (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Concepts, Issues and Applications (pp. 56-75). Thousand Oaks, CA: Sage.
Wood, A. M., Linley, P. A., Maltby, J., Baliousis, M., & Joseph, S. (2008). The authentic personality: A theoretical and empirical conceptualization and the development of the authenticity sclae.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55(3), 385-3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