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 access
메뉴ISSN : 1229-0688
최근 국민들의 심리상담에 대한 요구가 급증함에 따라 심리상담센터가 기하급수적으로 개소하고 있다. 이에 따른 부작용으로 비전문 심리상담사들로 인한 피해보고 수치 역시 함께 증가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비전문 심리상담사들로부터 내담자를 보호하는 국내의 현행 심리상담 법령을 점검하고 그 한계점을 분석하였다. 나아가 미국, 독일, 말레이시아, 대만, 일본의 해외 심리상담 관련 법령을 상호 비교 및 분석하여 국내의 심리상담 법령 제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함의를 도출하였다. 미국과 같이 인구가 많은 나라의 경우는 전문상담사법, 심리사법, 결혼및가족치료사법, 임상사회복지사법 등 다양한 심리상담 관련 법이 존재하나 우리나라와 같이 작은 국가의 경우, 너무 많은 심리상담 관련 법은 행정적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 그러기에 본 원고에서는 미국의 법령보다는 독일, 대만, 일본과 같은 통일된 성문법 국가의 법령을 우리나라에 적용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은 국내의 심리상담 영역분야 종사자들 스스로의 자정작업의 중요성과 전공 교과와 수련의 표준화 등의 개선점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As the need for psychological counseling services has increased in South Korea, psychological counseling centers have proliferated. As such, concerns about unprofessionalism and potential ethical problems have also increased. This manuscript examined and analyzed the limitations of current statues for psychological counseling in South Korea. Additionally, statutes for psychological counseling in the United States, Germany, Malaysia, Taiwan, and Japan were compared and analyzed to derive information that could help with the enactment of statutes in South Korea. It was determined that models from smaller countries with unified laws such as Germany, Taiwan, and Japan would provide the best road-map for statute implementation in South Korea. Finally, the author discusses the importance of self-reflection and self-improvement by individuals in the psychological counseling field as well as standardization of education and training.
김영근, 김현령, 이정인, 신재훈, 신동미, 이상민 (2012). 한국 상담사법 제정에 관한 예비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4(3), 641-670.
김인규 (2018). 국내 상담자격의현황과 발전방안.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30 (3), 475-493.
김정진 (2016). 상담사 등의 처우 및 지위 향상을 위한 법률(안) 제안. 입법과 정책, 8 (2), 247-271
상담인적자원개발위원회 (2019). 상담사법 입법추진과 상담분야의 시사점. 서울: 상담인적자원개발위원회.
민간자격정보서비스 (2019). 민간자격검색. https://pqi.or.kr/inf/qul/infQulList.do에서 검색.
이상민, 김은하, 선혜연, 김지연 (2018). 상담심리학의 현재와 미래과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30(3), 463-474.
한국일보 (2018, 09, 19). 성폭력 트라우마 치료해준다며 성폭행한 유명 심리상담사.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 201809181627749020에서 검색.
Chang, S. & Bhat, C. S. (2013). Counselling licensure in Taiwan. Asia Pacific Journal of Counselling and Psychotherapy, 4(1), 57-65.
KBS (2019, 07, 19). 실태점검 심리상담소가 위험하다. http://vod.kbs.co.kr/index.html?source =episode&sname=vod&stype=vod&program_ code=T2000-0088&program_id=PS-2019099969-01-000§ion_code=05&broadcast_complete_yn=N&local_station_code=00§ion_sub_code=06에서 검색.
Lee, A. (2017). Comparative study of the legal provisions regarding to counseling profession in the US and Korea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orea University, Seoul, South Korea.
Lee, S. M., Suh, S., Yang, E., & Jang, Y. (2012). History, current status, and future prospects of counseling in South Korea. Journal of Counseling and Development, 90, 494-499.
See, C. M., & Ng, K.-M. (2010). Counselling in Malaysia: History, current status, and future trends. Journal of Counseling and Development, 88(1), 18-22.
Seo, Y. S., Kim, D. M., & Kim, D. I. (2007). Current status and prospects of Korean counseling psychology: Research, clinical training, and job placement. Applied Psychology: An International Review, 56, 107-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