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1229-0688
이 연구의 목적은 반추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고 침습적, 의도적 반추와 관련 변인 간의 상관관계 효과크기를 탐색 하는 것이다. 한국연구재단 등재지 및 등재후보지 대상으로 반추에 관한 연구 총 111편을 연도, 연구대상, 연구방법 등에 대해 분석했으며, 그 중 침습적, 의도적 반추 척도를 활용한 연구 30편을 대상으로 관련 변인 군에 대한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88편(79.3%)이 양적연구로 나타났으며, 반추 관련 변인이 독립변인으로 사용된 논문은 24편(21.62%), 매개변인으로 사용된 논문은 60편(54.05%)으로 나타났다. 둘째, 메타분석 결과 침습적 반추에서 부정 인지, 부정 정서, 긍정 정서, 긍정 인지 순으로 효과크기가 나타났으며, 의도적 반추에서 긍정 인지, 부정 인지, 부정 정서, 긍정 정서 순으로 효과크기가 나타났다. 셋째, 침습적, 의도적 반추의 연령대별 조절효과 분석결과, 의도적 반추와 대인관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의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research trends in the study of rumination, and explored the correlation effect sizes between invasive and intentional rumination and related variables. A total of 111 papers on rumination in the journal of the KCI’s registration and registration-candidates were analyzed for publication year, research subjects, and research methods. Additionally, a meta-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30 studies using invasive/intentional rumination scales. Eighty-eight papers (79.3%) were quantitatively analyzed, with 24 (21.62%) examining rumination-related independent variables, and 60 (54.05%) examining mediating variables. The meta-analysis indicated that effect sizes of invasive rumination-related variables from highest to lowest were negative-cognition, negative-emotion, positive-emotion, and positive-cognition; and that effect sizes for intentional rumination-related variables from highest to lowest were positive-cognition, negative-cognition, negative-emotion, and positive-emotion. Finally, the analysis of the moderating effect of invasive and intentional rumination by age-group indicat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intentional-rumination and interpersonal-relationships.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강규림, 나효정, 송제이, 현명호 (2018). 한국판 아동용 외상후 성장 척도를 이용한 아동 청소년의 외상후 성장 경험 탐색. 스트레스연구, 26(3), 193-200.
곽아름 (2015). 침습적 반추와 의도적 반추가 외상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사고통제방략의 매개효과.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권경인, 양정연 (2013). 상담학 분야의 질적연구 동향분석 (2000년∼ 2012년). 상담학연구, 14(6), 3871-3893.
김경은, 정남운 (2018). 애착과 외상 후 성장의 관계: 정신화와 성장적 반추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23(3), 739-764.
김다명, 조성호 (2015). 주관적 심각도, 사회적 지지와 성장적 반추가 유방암 여성 환자의 수술 후 신체상 위기 대처에 미치는 영향. 여성연구, 88(1), 199-237.
김아라, 이승연 (2016). 감사성향과 역경후 성장의 관계에서 의도적 반추와 긍정적 재해석의 매개효과: 관계 상실 경험 중년을 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9(1), 25-45.
김은미, 이종연 (2015). 연인과의 이별을 경험한 대학생의 애착과 자아탄력성이 이별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의도적 반추와 문제중심대처를 매개변인으로. 상담학연구, 16(1), 147-174.
김진목, 이희경 (2016). 침투적 반추와 의도적 반추, 외상 후 성장의 관계: 기본심리욕구 총족의 매개된 조절효과 조절된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17(6), 165-182.
김진영 (2000). 우울한 기분에 대한 두 가지 내부 초점적 반응양식: 반추적 반응양식 대 반성적 반응양식.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김현미, 정민선 (2015). 청소년의 자기 노출, 사회적지지 및 의도적반추가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한국재활심리학회, 22 (1), 11-24.
나현주, 최수미 (2019). 이중체계모델에 근거한 외상사건 스트레스와 부정정서의 관계: 자기조절력과 반추적사고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31(1), 217-242.
노치경, 홍혜영 (2016). 회복탄력성이 역경 후 성장에 이르는 과정에서 정서인식명확성, 의도적 반추와 문제중심대처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17(6), 1-20.
도현정, 김정민 (2014). 여자 청소년의 행동억제와 섭식태도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21(3), 57-82.
박경애, 백지은 (2017). 상담심리학 연구 동향: 상담 및 심리치료학회지 게재논문(2012∼2016) 분석 및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게재논문과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9(4), 893-913.
박선정, 정규석 (2016). 부모상실경험 대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가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가족탄력성, 의도적 반추, 적극적 대처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복지연구, 18(2), 115-140.
박지혜, 이주영 (2018). 청소년의 완벽주의적 자기제시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반추에 대한 자기자비의 조절된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19(4), 87-107.
박혜원 (2006).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 영성 및 외상관련 반추가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박혜원, 안현의 (2006).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 영성 및 외상관련 반추가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상담학 연구, 7(1), 201-214.
서영석, 조화진, 안하얀, 이정선 (2012). 청소년들의 외상사건 경험. 교육심리연구, 26(3), 787-816.
송영주, 장현아 (2016).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발표불안과의 관계에서 사후반추사고의 매개효과. 교육치료연구, 8, 351-368.
송현, 이영순 (2018). 침투적 반추와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 정서인식명확성, 정서적 자기노출, 의도적 반추의 매개효과. 재활심리연구, 25(4), 603-622.
신선영, 정남운 (2012). 삶의 의미와 사회적 지지가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성장적 반추를 매개변인으로. 인간이해, 33(2), 217-235
신용찬, 김영근 (2019). 침습적 반추, 의도적 반추, 정서지능 및 적극적 대처가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상담학연구, 20(3), 53-76.
안현의, 주혜선, 민지원, 심기선 (2013). 한국판 사건관련 반추 척도 (K-ERRI)의 타당화. 인지행동치료, 13(1), 149-172.
양귀화, 김종남 (2014). 외상 후 성장 과정에 대한 분석: 정서조절곤란, 침습적 반추, 의도적 반추의 삼중매개효과와 낙관성의 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9(4), 1041-1065.
엄미선 (2014). 핵심신념 붕괴, 침투적 및 숙고적 반추, 외상후 성장의 관계.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엄미선, 조성호 (2016). 핵심신념 붕괴, 침투적 및 숙고적 반추, 및 외상후 성장의 관계: 탈중심화의 조절효과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8(4), 1047-1071.
유희정 (2014). 탄력성과 고통지각이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지지와 의도적 반추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15 (1), 59-85.
이국화, 하은혜 (2009). 청소년의 외상경험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6(1), 1-18.
이동귀, 배병훈, 함경애, 천영아 (2015). 완벽주의와 우울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4(1), 205-333.
이영호, 이경진 (2013). 스트레스, 반추, 수면에 대한 역기능적 사고 및 경계가 대학생들의 수면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8(1), 121-142.
이은화 (2010). 분노반추와 용서,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사회적 유대감의 매개효과.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이철호, 김정애, 이민규, 윤창영 (2010). 사회의존성과 자율성이 교도소 수용자의 주관안녕에 미치는 영향: 분노와 분노반추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4(1), 63-80.
이현진, 주인석, 김명찬 (2019). 완벽주의 연구동향 및 관련변인 간의 상관관계 메타분석: 상담학 분야 주요 학술지 중심으로. 상담학연구, 20(3), 343-368.
이혜림, 최윤경 (2012). 자전적 기억의 과일반화와 반추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임상심리학, 31(2), 523-540.
장한 (2016). 외상 후 성장 및 관련변인의 상관관계 메타분석: 촉진변인군과 억제변인군을 중심으로.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장 한, 김진숙 (2017). 외상후성장과 관련 변인들 간의 관계에 대한 메타분석. 상담학연구, 18(5), 85-105.
전유진, 배정규 (2013). 자기노출, 사회적지지 및 의도적 반추가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인간이해, 34(2), 218-228.
정성한, 김완일 (2014). 재수생의 외상경험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반추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21(1), 127-147.
조선화, 강영신 (2015). 애도 회피에 따른 침투적 반추가 심리적 성장에 이르는 과정에서 의도적 반추 및 자기노출의 역할.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7(3), 641-663.
조용주, 정남운 (2009). 부모 공감이 아동에게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동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1(4), 915-941.
조한로, 정남운 (2017). 침습적 반추, 의도적 반추 및 정서인식명확성이 외상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22(2), 433-455
최승미 (2008). 외상 후 성장 관련 변인 탐색.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최정윤, 이희경 (2015). 종교성향이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반추, 적극적 대처, 삶의 의미의 매개효과-기독교를 중심으로. 종교교육학연구, 47, 137-153.
한은애 (2015). 외상후 성장에 대한 두 가지 반추 양식의 영향: 심리적 수용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황성동 (2016). R을 이용한 메타분석. 서울: 학지사.
Cann, A., Calhoun, L. G., Tedeschi, R. G., Triplett, K. N., Vishnevsky, T., & Lindstrom, C. M. (2011). Assessing posttraumatic cognitive processes: The event related rumination inventory. Anxiety, Stress, & Coping, 24(2), 137-156.
Calhoun, L. G., & Tedeschi, R. G. (1999). Facilitating posttraumatic growth: A clinician’s guide. London: Routledge.
Calhoun, L. G., & Tedeschi, R. G. (2015). 외상 후 성장 상담 및 심리치료에의 적용[Posttraumatic Growth in Clinical Practice]. (강영신, 임정란, 장안나, 노안영, 역). 서울: 학지사. (원전은 2014에 출판)
Cohen, J. (1988).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2nd ed.). Hillsdale, New Jersey: Lawrence Erlbaum Associates.
Cooper, H. (2015). Research synthesis and meta-analysis: A step-by-step approach (Vol. 2). Sage publications.
Costello, E. J., Erkanli, A., Fairbank, J. A., & Angold, A. (2002). The prevalence of potentially traumatic events in childhood and adolescence. Journal of Traumatic Stress: Official Publication of The International Society for Traumatic Stress Studies, 15(2), 99-112.
Duval, S., & Tweedie, R. (2000). Trim and fill: a simple funnel‐plot-based method of testing and adjusting for publication bias in meta analysis. Biometrics, 56(2), 455-463.
Ehlers, A., & Clark, D. M. (2000). A cognitive model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Behaviour research and therapy, 38(4), 319-345.
Higgins, J. P., & Green, S. (2011). Cochrane handbook for systematic reviews of interventions. New York: Wiley.
Kelly, O., Matheson, K., Ravindran, A., Merali, Z., & Anisman, H. (2007). Rumination copying among patients with dysthymia before and after pharmachotheraphy. Depression and Anxiety, 24, 233-243.
Kubany, E. S., Leisen, M. B., Kaplan, A. S., Watson, S. B., Haynes, S. N., Owens, J. A., & Burns, K. (2000). Development and preliminary validation of a brief broad-spectrum measure of trauma exposure: the Traumatic Life Events Questionnaire. Psychological assessment, 12(2), 210.
Meiser-Stedman, R., Dalgleish, T., Yule, W., & Smith, P. (2012). Intrusive memories and depression following recent non-traumatic negative life events in adolescents.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137, 70-78.
Martin, L. L., & Tesser, A. (1996). Some ruminative thoughts. Advances in social cognition, 9, 1-47.
Nolen-Hoeksema, S. (1991). Responses to depression and their effects on the duration of depressive episodes.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100(4), 569.
Rippere, V. (1977). What’s the thing to do when you’re feeling depressed? - A Pilot study. Behavioir Research and Therapy, 15, 185-191.
Robinson, J. S., & Larson, C. (2010). Are traumatic events necessary to elicit symptoms of posttraumatic stress?. Psychological Trauma: Theory, Research, Practice, and Policy, 2(2), 71.
Stockton, H., Hunt, N., & Joseph, S. (2011). Cognitive processing, rumination, and posttraumatic growth. Journal of traumatic stress, 24(1), 85-92.
Taku, K., Cann, A., Calhoun, L. G., & Tedeschi, R. G. (2008). The factor structure of the posttraumatic Growth Inventory: A comparison of five models using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Journal of Traumatic Stress: Official Publication of The International Society for Traumatic Stress Studies, 21(2), 158-164.
Tedeschi, R. G., & Calhoun, L. G. (2004). “Posttraumatic growth: Conceptual foundations and empirical evidence”. Psychological inquiry, 15(1), 1-18.
Triplett, K. N., Tedeschi, R. G., Cann, A., Calhoun, L. G., & Reeve, C. L. (2012). Posttraumatic growth, meaning in life, and life satisfaction in response to trauma. Psychological Trauma: Theory, Research, Practice, and Policy, 4(4), 400-4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