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 access
메뉴ISSN : 1229-0688
본 연구는 반려동물을 상실한 사람들의 애도와 심리적 성장의 관계에서 애도에 대한 의미재구성의 매개효과가 나타나는지 확인하고, 의미재구성의 매개효과를 긍정적 사회적 반응이 조절하는지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국내 일반 성인남녀 중 반려동물을 죽음으로 상실한 지 6개월 이상 경과한 369명에게 지속애도, 애도에 대한 의미재구성, 긍정적 사회적 반응, 외상 후 성장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고, 수집된 자료로 빈도분석, 의미재구성의 매개효과 검증, 긍정적 사회적 반응의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각 변인들 간에 유의한 상관이 있었고, 반려동물 상실로 인한 애도가 의미재구성을 통하여 심리적 성장에 미치는 영향이 긍정적 사회적 반응의 수준에 따라 달라지는 조절된 매개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반려동물 상실로 인해 심리적 고통을 겪는 사람들로 하여금 상실의 의미를 재구성하고 심리적 성장에 이르도록 조력하기 위해 긍정적 사회적 반응을 충분히 제공하는 치료적 개입이 도움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meaning reconstruction and positive social reaction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anion animal loss grief and psychological growth or posttraumatic growth. A total of 369 adults, who had lost their companion animals at least six months ago, participated in this study. Participants were asked to complete a questionnaire on Prolonged Grief Disorder, Grief and Meaning Reconstruction Inventory, Social Reactions Questionnaire, and Posttraumatic Growth Inventory. SPSS 23.0 and SPSS PROCESS Macro were used to analyze the results. The level of positive social reactions had a different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longed grief and posttraumatic growth as mediated by meaning reconstru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rapeutic interventions that provide sufficient positive social reactions can be helpful in helping people who are suffering from psychological pain as a result of the loss of companion animal in reconstructing the meaning of loss and achieving psychological grow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