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Job Stress of the Private Security Guards, Mental Health and Stress-Coping

Abstract

The present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job stress of the private security guards, mental health and coping strategy. The subject was the 107 employees of private security company located in Seoul. They were gathered to be entrained job-specific skills in the training institute. The measurement scale for the job stress was KOSS(Korean Occupational Stress Scale) developed by Kim etc.(2005), for mental health was MMPI-2(Minnesota Multiphasic Psychological Inventory-2) and for coping strategy was the Coping Checklist developed by Folkman & Lazarus(1985).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 First, The physical environment, job demand and insufficient job control were perceived high level as the job stressors among the private security guards. Second, overall job stress level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psychosomatic symptoms and interpersonal conflict represented as the increased scores of Hs(Hypochondriasis), D(Depression), H(Hysteria), Pd(Psychopathic Deviate), Si(Social Introversion) scale of MMPI-2. Third,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Ma(Hypomania) and Problem solving, Wishful Thinking, Emotion-Focused coping. And D(Depression), Pd(Psychopathic Deviate), Pa(Paranoia) scale ha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Problem solving, Seeking social support. Finally, as the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Pd(Psychopathic Deviate) and Ma(Hypomania) scale of MMPI-2 were identified as important variables affecting stress coping strategy, and these two scales seem to represent personal characteristic of private security guards. Further and mord detailed study needs to be conducted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mental health and coping strategy of private security guards.

keywords
민간경비원, 직무스트레스, 정신건강, MMPI-2, 대처방식, private security guard, job stress, mental health, MMPI-2, coping strategy

Reference

1.

강민완, 박기범, 전용태 (2006). 민간경비조직 구성원간의 커뮤니케이션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호경비학회지, 제11호, 1-20.

2.

강병우 (2009). 소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와 사회심리적 스트레스와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한국응급구조학회논문지, 13(1), 35- 48.

3.

김상균, 조성호 (2002). 한국경찰의 직업적 성격특성에 관한 연구. 경호경비연구, 제5호, 71-88.

4.

권선영, 이은정, 김희철 (2009). 대구 지역 남자 소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와 다면적 인성검사(MMPI) 상의 임상척도와의 관련성. 생물치료정신의학, 15(1), 96-104.

5.

김 구 (2005). 경찰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요인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치안센터 민원담당관을 중심으로.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16(3), 59-87.

6.

김의철, 박영신 (1997). 스트레스 경험, 대처와 적응 결과: 토착심리학적 접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2(1), 96-126.

7.

김정희 (1987). 지각된 스트레스, 인지세트 및 대처방식의 우울에 대한 작용: 대학 신입생의 스트레스 경험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8.

김정희, 이장호 (1985).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구성요인 및 우울과의 관계. 행동과학연구, 17(1), 127-138.

9.

김중술 (1988). 다면적 인성검사: MMPI의 임상적 해석. 서울대학교출판부.

10.

김중술, 한경희, 임지영, 이정흠, 민병배, 문경주 (2005). 다면적 인성검사 Ⅱ 매뉴얼. 서울: (주)마음사랑.

11.

김진환 (2006). 경호직무분야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경호경비분야 의식구조와 가치관에 관한 연구 - 민간경비원 신임교육생들을 중심으로. 국제경호협회 정기학술발표회, 73-86.

12.

김진환 (2009). 민간경호원의 스트레스 유발요인에 관한 질적연구. 한국경호경비학회지, 제18호, 89-105.

13.

김진환, 송상욱 (2006). 민간 경호경비원의 직무스트레스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스포츠리서치, 17(5), 395-404.

14.

김순양, 구종태, 윤기찬 (2002). 일선 경찰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 수준 및 유발요인 분석. 행정논총, 40(1), 123-147.

15.

김태민 (2002). 민간경비 업무 수행 절차 및 방법에 관한 연구. 용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김항석, 한광현 (1991). 직무스트레스의 영향요인에 관한 이론적 고찰. 산업개발연구, 제10호, 83-104.

17.

김환철, 권근상, 고대하, 임종한, 박신구, 신주연, 이의철, 김용규 (2006). 한 대학병원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사회심리적 스트레스와의 관련성. 대한산업의학회지, 18 (1), 25-34.

18.

김혜온 (1999). 스트레스 대처양식과 심리적 안녕감. 여성연구, 7(1), 129-142.

19.

나명흔 (2002). 경호전문가의 스트레스요인이 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이직결정의사에 미치는 영향. 한국안전교육학회지, 5(2), 73- 87.

20.

박 석, 정석현, 최무현 (2008). 민간 경호 경비원들의 근무시간이 피로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호경비학회지, 제17호, 131-141.

21.

박영진, 안황권 (2006). 민간경비원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리서치, 17(1), 239-248.

22.

박영진, 안황권, 왕석원 (2006). 민간경비원의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사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호경비학회지, 12, 177-200.

23.

박인만 (2006). 근로자의 직무스트레스와 대응양식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4.

신성원 (2006). 경찰공무원의 일상적․직업적 경험이 스트레스 수준에 미치는 영향. 원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5.

안성조, 안황권 (2005). 경비원의 직무환경과 사기 및 이직의사와의 관계. 경호경비연구, 제9호, 155-175.

26.

안황권 (2004). 특수경비원의 직무만족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경호경비학회지, 제7호, 212-230.

27.

유정이 (1999). MBTI를 통해서 본 직장인의 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방식. 한국심리유형학회지, 6(1), 107-120.

28.

이근춘, 송강영 (2010). 민간경비원의 여가제약이 직무스트레스 및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0(4), 359- 366.

29.

이동수, 김지혜 (2001). 직무스트레스가 정신과적 증상에 미치는 영향: 성별에 따른 자존감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신경정신의학, 40(2), 282-291.

30.

이동혈, 전현준, 신동훈, 정인성, 이미영 (2009). 소방관의 직무스트레스와 다면적 인성검사의 연관성. 대한산업의학회지, 21(4), 324-336.

31.

이상철 (2003). 경호심리학. 도서출판 홍경.

32.

이승욱, 이종태, 손혜숙, 김성준 (2002). 근로자들의 직종별 직무스트레스. 인제의학, 23 (5), 677-689.

33.

장경문 (2003). 자아탄력성과 스트레스대처방식 및 심리적 성장환경의 관계. 청소년학연구, 19(4), 143-161.

34.

장세진 (2002). 스트레스의 사회심리적 요인. 한국역학회지, 24(2), 148-163.

35.

장세진, 고상백, 강동묵, 김성아, 강명근, 이철갑, 정진주, 조정진, 손미아, 채창호, 김정원, 김정일, 김형수, 노상철, 박재범, 우종민, 김수영, 김정연, 하미나, 박정선, 이경용, 김형렬, 공정욕, 김인아, 김정수, 박준호, 현숙정, 손동국 (2005). 한국인 직무 스트레스 측정도구의 개발 및 표준화. 대한산업의학회지 17(4), 297-317.

36.

정대용, 김춘광, 이원행 (2009). 민간경비업체에서 상사의 지원이 조직성과 변수에 미치는 영향. 상업교육연구, 23(3), 469-487.

37.

정대용, 이원행, 김춘광 (2009). 민간경비업체 상사의 리더십이 경비원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모형에 관한 연구. 한국경영학회 통합학술대회, 1-15.

38.

정한귀 (2006). 민간수행경호의 실태 및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국제문화대학원대학교 학위논문.

39.

조민상, 명도현, 박한호 (2009). 한국민간경비학회의 연구경향 분석. 한국민간경비학회보, 제14호, 195-210.

40.

주영수, 권영준, 강희태, 김용규 (2003). 한국의 직업별 직무스트레스 수준 평가: 일부 직종을 대상으로. 대한산업의학회지, 15(4), 422-435.

41.

주일엽, 조광래 (2009). 민간경비원의 의사소통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민간경비학회보, 제14호, 243-271.

42.

최미리 (1999). 직무스트레스가 직장인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 경기전문대학 논문집, 제27호, 249-254.

43.

통계청 (2007). 한국표준직업분류 제 6차 개정판. http://kostat.go.kr/kssc/stclass/StClassAction. do?method=ksscTree&classKind=2&kssc= popup.

44.

하재혁, 김동일, 서병성, 김원술, 유승호, 김수근 (2008). 소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와 사회심리적 건강. 대한산업의학회지, 20 (2), 104-111.

45.

한국산업안전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2004). 한국인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의 개발 및 표준화 연구(2차년도): 부록 1. 한국형 직무스트레스요인 측정도구 사용법. 127- 135.

46.

한상암 (2004). 경찰공무원의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행정논집, 제30호, 211-236.

47.

한성열, 허태균, 김동직, 채정민 (2001). 스트레스상황 특성에 따른 적응적인 대처양식: 대처양식의 유연성 제안.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6(2), 123-143.

48.

현명선, 정향인, 강희선 (2009). 군인들의 군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요인. 정신간호학회지, 18(3), 305-312.

49.

Abdollahi, M. K. (2002). Understanding Police Stress Research. Journal of Forensic Psychology Practice, 2(2), 1-24.

50.

Alfredsson, L., ÅAkerstedt, T., Mattsson, M., & Wilborg, B. (1991). Self-reported health and well-being amongst night security guards: a comparison with the working population. Ergonomics, 34(5), 525-530.

51.

Ben-Porath, Y. S. (1992). 8. Topics in MMPI-2 and MMPI-A Interpretation Edited by James N . Butcher and John R. Graham (NOTES): Assessing Coping Styles with the MMPI-2. 한국심리학회, 92WORKSHOP, 142-144.

52.

Bernstein, I. H. (1980). Security Guards' MMPI Profiles: Some Normative Data.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44(4), 371-380.

53.

Bernstein, I. H. (1981). One Way To Screen Security Guards: Using a Standard Format To Test for Maladjustment. Security Management, 25(9), 35-38.

54.

Bernstein, I. H., Schoenfeld, L. S., & Costello, R. M. (1982). Truncated Component Regression, Multicollinearity And The MMPI's Use In A Police Officer Selection Setting. Multivariate Behavioral Research, 17(1), 99—116.

55.

Brown, J. M., & Campbell, E. A. (1990). Sources of occupational stress in the police. Work & Stress, 4(4), 305-318.

56.

Carpenter, B. N., & Raza, S. M. (1987). Personality characteristics of police applicants: Comparisons across subgroups and with other populations. Journal of Police Science and Administration, 15(1), 10-17.

57.

Conley, S., & Woosley, S. A. (2002). Teacher role stress, higher order needs and work outcomes.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38(2), 179-197.

58.

Cooper, C. L., & Marshall, J. (1976). Occupational sources of stress: A review of the literature relating to coronary heart disease and mental ill health. Journal of Occupational Psychology, 49(1), 11-28.

59.

Cortina, J. M., Doherty, M. L., Schmitt, N., Gary K., & Smith, R. G. (1992). The “Big Five” personality factors in the IPI and MMPI Predictors of police performance. Personnel Psychology, 45, 119-140.

60.

Davidson, M. J., & Cooper, C. L. (1981). A Model of Occupational Stress. Journal of Occupational Medicine. 23(8), 564-574.

61.

Detrick, P. (2001). Minnesota Multiphasic Personality Inventory—2 in police officer selection: Normative data and relation to the Inwald Personality Inventory. Professional Psychology: Research and Practice, 32(5), 484- 490.

62.

Evans, B. J., Coman, G. J., & Stanley, R. O. (1992). The Police Personality: Type A Behavior and Trait Anxiety. Journal of Criminal Justice, 20, 429-441.

63.

Fleishman, J. A. (1984). Personality Characteristics and Coping Patterns.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25(2), 229-244.

64.

Folkman, S., & Lazarus, R. S. (1985). If it changes it must be a process: Study of emotion and coping during three stages of a collage examin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8, 150-170.

65.

Folkman, S., Lazarus, R. S., Gruen, R. J., & DeLongis, A. (1986). Appraisal, coping, health status, and psychological symptom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0(3), 571-579.

66.

Hiatt, D., & Hargrave, G. E. (1988). MMPI Profiles of Problem Peace Officers.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52(4), 722-731.

67.

Hovanitz, C. A. (1986). Life Event Stress and Coping Style as Contributors to Psychopathology.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42(1), 34-41.

68.

Hovanitz, C. A., & Kozora, E. (1989). Life Stress and Clinically Elevated MMPI Scales: Gender Differences in the Moderating Influence of Coping.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45(5), 766-777.

69.

Lazarus, R. S., & Folkman, S. (1980). An analysis of coping in a middle-aged community sample.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21, 219-239.

70.

Lipman, I. A. (1988). Personnel Selection in the Private Security Industry: More Than a Résumé. Annals of the American Academy of Political and Social Science, Vol. 498, The Private Security Industry: Issues and Trends, 83-90.

71.

Meadows, R. J. (1987). Negligence in the Private Guard Industry. Journal of Security Administration, 10(2), 12-20.

72.

Parkes, K. R. (1990). Coping, Negative Affectivity, and the Work Environment: Addictive and Interactive Predictors of Mental Health.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75(4), 399-409.

73.

Pearlin, L. I., & Schooler, C. (1978). The Structure of Coping.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12(1), 1-21.

74.

Stewart, J. K. (1985). Public Satety and Private Police.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45, 758- 765.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