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여성 텔레마케터의 사고양식과 성격, 맥락수행 및 수행간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Thinking Style, Personality, Contextual Performance and Job Performance of Female Telemarketer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Sternberg(1988)의 사고양식 척도를 재구성하고 이와 성격, 수행 및 맥락수행간의 관계를 검증하는데 있다. 877명의 영업관리자 자료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원 척도의 13개 요인 중 무정부형(anarchic) 요인을 제외한 12개 요인이 추출되었다. 요인분석과 요인 간 상관분석 결과를 토대로 요인 당 문항수가 적은 요인을 제외시키고, 유사요인을 통합하고, 모든 요인을 서로 대비되는 쌍으로 구성한다는 원칙하에 사고양식 척도를 재구조화하였다. 재구조화된 척도는 10개 요인으로 5개의 대비되는 쌍으로 이루어졌다. 424명의 여성 텔레마케터에게서 수집된 자료를 토대로 사고양식과 HEXACO 모델의 성격요인간의 상관분석 결과 두 척도에 포함된 유사 구성개념들 간의 상관(예, 사고양식 척도의 외부형 vs HEXACO 모델의 외향성)이 유사하지 않은 다른 구성개념들과의 상관보다 높게 나타났다. 사고양식과 맥락수행간의 상관분석 결과, 전반적으로 입법형이 행정형보다, 과두형이 군주형보다, 외부형이 내부형보다, 자유형이 보수형보다 상관이 높게 나타났다. 맥락수행척도의 조직규범준수 요인은 사고양식 척도에서 유사요인인 행정형과 보수형과 상관이 높게 나타났다. 상사역량평가와 최근 6개월간 업무수행평균과 사고양식 요인들간의 다중 상관은 각각 .25와 .36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제한점과 추후 연구방향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keywords
thinking style, HEXACO model, contextual performance, thinking style, HEXACO model, contextual performance, 사고양식, HEXACO 모형, 맥락수행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1) to reconstruct items of the Sternberg(1988)'s thinking style inventory and 2)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inking style, personality, contextual performance and job performance of female telemarketer. As a results of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using 877 sales managers, 12 factors were extracted. These 12 factors were identical to the 13 factors of the Sternberg's original inventory except for the anarchic factor. Then, the thinking style inventory was reconstructed based on the results of a factor analysis and inter-factor correlation analysis (i.e., we eliminated factors which had insufficient number of items, combined similar factors and constituted 5 fairs of factors which contrasted with each other in meaning). The results of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newly developed thinking style inventory and the HEXACO model revealed that the correlation between similar constructs in these two inventories (ex., the external style of the thinking style inventory and extroversion of the HEXACO) was higher than the correlation between other dissimilar constructs. Also, contextual performance was correlated higher with the legislative, oligarchic, external and liberal style than the executive, monarchic, internal and conservative style, respectively. One of the factors in the contextual performance scale which related to one's intention to follow the organizational rules showed higher correlation with executive and conservative style than legislative and liberal style, respectively. Multiple correlation between factors in the thinking style inventory and supervisors' competency ratings and average task performance in recent 6 months were .25 and .36, respectively.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directions for future study were discussed.

keywords
thinking style, HEXACO model, contextual performance, thinking style, HEXACO model, contextual performance, 사고양식, HEXACO 모형, 맥락수행

참고문헌

1.

김도영, 유태용 (2002). 성격의 5요인과 조직에서의 맥락수행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15(2), 1-24.

2.

김성일, 윤미선 (2004). 학업성취 및 성취동기 예측변인으로서의 사고양식 프로파일. 교육심리연구, 18(1), 351-366.

3.

김소연 (2000). Sternberg의 지능 및 사고양식 이론의 타당화. 숙명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

배미란, 한기순, 박인호 (2003). 과학영재들의 사고양식과 5요인성 요인간의 관계. 영재교육연구, 13(1), 43-63.

5.

서미옥 (2004). 대학생의 사고양식과 다섯 가지(Big Five) 성격특성들의 관계. 아시아교육연구, 5(3), 115-140.

6.

유태용, 이기범, Ashton, M. C. (2004). 한국판 HEXACO 성격검사의 구성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18(3), 61- 75.

7.

윤미선 (1997). 사고양식과 학업성취에 관한 연구: Sternberg의 정신자치제 이론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8.

윤미선 (1999). 사고양식 검사 도구의 타당화 연구: 초․중등 교사들을 대상으로. 안암교육학연구, 5(1-2), 181-197.

9.

윤미선 (2003). 사고양식에 따른 학습동기 및 교과흥미가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0.

윤미선, 김성일 (2004). 학업성취 및 성취동기 예측변인으로서의 사고양식 프로파일. 교육심리, 18(1), 351-366.

11.

이정규 (2007). 교사의 성격 5요인과 사고양식과의 관계. 교육학연구, 45(2), 81-103.

12.

이종구, 권은아 (2008). 사고양식과 업무수행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 발표대회 논문집, pp.296-297. 8월 21일. 서울: 육균사관학교 흥무관.

13.

최경숙 (1990). 직관적, 분석적 사고의 발달 특성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 30(1), 187-200.

14.

Bruner, J. (1963). The process of education. NY: Vintage Books.

15.

Grigorenko, E. L., & Sternberg, R. J. (1997). Styles of thinking, ability, and academic performance. Exceptional Children, 63(3), 295- 312.

16.

Hurtz, G. M., & Donovan, J. J. (2000). Personality and job performance: The big five revisited.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85, 869-879.

17.

Lee, K., & Ashton, M. C. (2004).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HEXACO personality inventory. Multivariate Behavioral Research, 39, 329-358.

18.

Sternberg, R. J. (1988). Mental self-government: A theory of intellectual styles and their development. Human Development, 31, 197-224.

19.

Sternberg, R. J. (1990). Thinking styles: Keys to understanding student performance. Phi Delta Kappan, 71, 366-371.

20.

Sternberg, R. J. (1992). CAT: A program of comprehensive abilities testing. In B. R. Gifford & M. C. O'Connor (Eds.), Changing assessments: Alternative views of aptitude, achievement and instruction (pp.213-274). Boston: Kluwer Academic Publishers.

21.

Sternberg, R. J. (1994a). Allowing for thinking styles. Educational Leadership, 52(3), 36-40.

22.

Sternberg, R. J. (1994b). Thinking styles: Theory and assessment at the interface between intelligence and personality. In R. J. Sternberg & P. Ruzgis (Eds.), Personality and intelligence (pp.169-187). N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3.

Sternberg, R. J. (1997). Thinking styles. N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4.

Sternberg, R. J., & Wagner, R. K. (1991). MSG thinking styles inventory. Unpublished manual.

25.

Van Scotter, J. R., & Motowidlo, S. J. (1996). Interpersonal facilitation and job dedication as separate facets of contextual performance.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81(5), 525-531.

26.

Zhang, L. F. (2000). Are thinking styles and personality types related. Educational Psychology, 20(3), 271-283.

27.

Zhang, L. F. (2002a). Measuring thinking styles in addition to measurung personality trait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33, 445- 458.

28.

Zhang, L. F. (2002b). Thinking styles and modes of thinking: Implication for education and research. Journal of Psychology, 136(3), 245-261.

29.

Zhang, L. F. (2006). Thinking styles and the big five personality traits revisited.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40, 1177-1187.

30.

Zhang, L. F., & Huang, J. (2001). Thinking styles and the five factor model of personality. European Journal of Personality, 15, 465-476.

31.

Zhang, L. F., & Sachs, J. (1997). Assessing thinking styles in the theory of mental self-government: A Hong Kong validity study. Psychological Report, 81, 915-928.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