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한국전래동화에 의한 독서치료적 상황을 살펴보기 위하여 미국과 한국에 현존하는 이중언어(한국-영어)로 된 27편의 한국전래동화 내용을 분석하여 5가지 상황적 요소로 나누었다. 생물학적(성별/연령), 공간적(가정, 또래, 사회), 관계적(수평, 수직, 단독, 기타)요소들과, 사건해결방식(자력, 조력, 자연, 미해결)과 8개 주제별로 분석하였다. 얻은 결과는 (1) 한국전래동화 내용에는 생물학적 요소에서 남자 주인공이 많으며, 연령별로는 어른이 가장 많이 등장하였고, (2) 공간적 요소로는 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이 많았으며, (3) 수직적 관계 요소에서 갈등을 많이 보였고, (4) 문제해결 요소에서는 외부의 조력에 의해 문제가 해결되는 경우가 많았으며, (5) 주제 요소에서는 신념과 가족구성을 다룬 것이 많았는데, 신념 중에는 욕심과 지혜 등의 주제를 많이 다루고 있었고, 가족구성 중에는 효성과 계모에 대해 많이 다루고 있었다. 이런 것들은 한국문화의 원형적인 가치들이며 다문화 가족과 한국문화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독서치료적 가치가 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extract and analyze the bibliotherapeutic values/situations of Korean folk-tales for multi-cultural families in Korea. By analyzing 27 stories in the Korean folk-tale picture book written in two languages(Korean & English), we can find out 5 kinds of situational analysis as follows: (1) There are more men than women by the biological sex factor, whereas there are more adults than younger persons by the biological age discrimination. (2) For the space concept, there are a lot of socially related stories in their surroundings. (3) In the vertical relationship, there are more conflict elements than in the horizontal one. (4) There are more helpers from the outside than in the inside circle for the solution of their problems. (5) As a story theme, greed, wisdom, belief and family component elements are greatly involved in the stories. Among their beliefs, there are a lot of wisdom and greed themes, while piety and royalty to parents and conflict against stepmothers are among the family components. All of these would be an archetype of Korean culture, which can play an important role not only to understand Korean lifestyle for the multi-cultural families, but also to learn and practice bibliotherapeutic values.
고숙희. 2008. 한국의 다문화사회 진행에 따른 접근방안 모색: 한국인과 외국인 여성 결혼이민자의 태도조사를 중심으로.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19(1): 213-234.
구선희, 유승금. 2008. 결혼이민자를 위한 한국어․문화교육 방안 연구: 전래동화를 활용하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제18차 국제학술대회 발제논문집』, 625-639.
김갑선. 2006. 독서치료 관련 학위논문의 연구경향 분석: 1984-2006. 『독서문화연구』, 6: 153-187.
김경중. 1997. 한국과 독일의 전래동화에 대한 비교연구. 『한국아동문학학회』, 7(1): 114-116.
김금희. 1999. 영어로 편찬된 한국전래동화에 나타난 어린이의 이미지에 대한 연구. 『유아교육학논집』, 3(2): 175-195.
김세진. 2006. 『설화의 전래동화적 변모양상과 교수학습론 연구』. 석사학위논문, 전북대학교 대학원.
김숙자. 2006. 『R-E-J-A법에 의한 아동문학치료 방법론 연구: 전래동화 독서지도를 통한 형제간갈등의 해소과정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서경대학교 대학원.
김현경. 2007. 『비디오를 활용한 집단 독서요법이 정신분열병 환자의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강원대학교 대학원.
베델하임, 브루노. 2000. 『옛이야기의 매력 1, 2』. 김옥숙, 주옥 옮김. 서울 :시공사.
봉서윤. 2008. 『초등학생과 대학생의 전래동화 인물 특성에 따른 독서치료 원리반응 비교: 동일시, 카타르시스 및 통찰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명지대학교 대학원.
오성배. 2005. 코시안(Kosian) 아동의 성장과 환경에 관한 사례 연구. 『韓國敎育』, 32(3): 61-83.
오성배. 2006. 한국 사회의 소수민족(ethnic minority), ‘코시안’(Kosian) 아동의 사례를 통한 다문화교육의 방향 탐색. 『교육사회학연구』, 16(4): 137-157.
유소영. 2003. 우리나라 전래동화연구의 서지적 고찰.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7(2): 254-268.
이지혜, 채재은. 2007. 다문화가정시대 문해교육의 대안적 접근: 영미의 가족문해 사례를 중심으로. 『비교교육연구』, 17(1): 29-52.
임성규. 2007. 초등학교 전래동화 교육의 논리와 구비문학 교육의 시각: 이동중심 접근과 이야기문화의 회복. 『한국초등국어교육』, 34: 381-407.
조수선. 1997. 『한국전래동화와 독일 전래동화의 정신분석학적 비교 연구: Freud와 Jung의 이론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조영달. 2006. 『다문화가정의 자녀교육 실태조사』. 서울: 교육인적자원부.
조현미, 배유리. 2008. 재미한인의 교육성취도를 통해 본 모델 마이너리티개념의 한계. 『地理學論究』, 29: 1-15.
조희숙. 1995. 한국전래동화의 발달심리학적 분석: 입사적 성격을 중심으로. 『유아교육논총』, 5: 47-65.
조희숙. 1998. 한국전래동화의 사회심리학적 해석: 등장인물을 중심으로. 『유아교육논총』, 8: 1-15.
조희연. 2006. 전래동화를 통한 다문화교육의 가능성탐구. 『혜전논집』, 24: 301-316.
천희영 외. 2008. 유아의 다문화교육매체로서의 동남아시아 3개국 전래동화의 비교분석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5(3): 21-47.
최권진. 2006. 전래동화를 활용한 한국어 교수: 학습 방법 연구. 『한국어교육』, 17(2): 237-266.
최태산 외. 2006. 국내 독서치료 연구 동향: 독서치료 관련 논문을 중심으로(1988-2005). 『놀이치료연구』, 9(1): 17-31.
『한겨레신문』, 2004. 깊은 애도와 함께 우리를 되돌아 볼 때, 4월 19일.
한대규. 2006. 『아이 주인공 전래동화 연구: 한국전래동화에 나오는 아이상과 교육적 활용방안』.석사학위논문,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한윤옥. 2003. 독서치료를 위한 상황별 독서목록의 기초적 요건에 관한 연구: 상황설정 및 분류체계와 관련하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7(1): 6-25.
한윤옥. 2004. 독서치료를 위한 상황별 독서목록의 기초적 요건에 관한 연구 Ⅱ: 사례분석을 통한 상황설정 및 분류체계 예시.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8(3): 250-275.
한윤옥 외. 2008. 『도서관의 다문화서비스 개발에 관한 연구: 다문화가정의 자녀를 위한 도서관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서울: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
한진상. 2007. 다문화가정 아이들의 학습권 침해 실태연구: 코시안집 아동을 중심으로. 『제3회 경기다문화교육포럼 및 인문과학연구소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91-108.
홍원표. 2008. 타인의 시선: 미국 교실 안의 아시아, 우리의 시선은? 『敎育課程硏究』, 26(4): 253-274.
황금숙. 2005a. 국내 독서치료 연구동향 분석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6(1): 117-130.
황금숙. 2005b. 외국 독서치료 연구 동향.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9(2): 306-317.
황지은. 2003. 『전래동화를 활용한 초등영어지도 방안』.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Bauer, Robert C. 1977. Effects of Folktales as Bibliotherapeutic Aids in Changing Attitudes of Seventh Grade Remedial Readers. M.A. thesis, Rutgers, The State University of New Jersey.
Barker, Gwendolyn C. 1994. Planning and Organizing for Multicultural Instruction. Menlo Park, Calif.: Addisson-Wesley.
Bettelheim, B. 1976. The Uses of Enchantment: The Meaning of Fairy Tales. New York: Vintage.
Coleaman, Marilyn, & Ganong, Lawrench H. 1988. Bibliotherapy with Stepchildren. Springfield: Charles C. Thomas.
Doll, Beth, & Doll, Carol. 1997. Bibliotherapy with Young People. Englewood: Libraries Unlimited.
Ediger, Marlow. 2002. Children's Literature in the Language Arts.
Forder, Donna Y., Tyron, Cynthia A., Howard, Tyrone C., & Harris, J. John, Ⅲ. 2000. “Multicultural literature and gifted black student: Promoting self-understanding, awareness and pride." Roeper Review, 22(4): 235-240.
Heuscher, J. E. 1963. A Psychiatric Study of Fairy Tales. Springfield, IL: Charles Thomas.
Haldeman, Edward G., & Idstein, Sandra. 1979. Bibliotherapy. Washington, D.C.: University Press of America.
Hynes, A. M., & Hynes-Berry, M. 1994. Biblio/Poerty Therapy: Interactive Process. St. Cloud, MN: North Star Press.
Mohr, Carolyn, Nixon, Dorothy, & Vickers, Shirley. 1991. Books That Heal: A Whole Language Approach. Englewood: Teacher Ideas Press.
Pardeck, Jean A., & Pardeck, John T. 1984. Young People with Problems: A Guide to Bibliotherapy. Westport: Greenwood Press.
Philpot, Jan Grubb. 1997. Bibliotherapy for Classroom Use. Nashville: Incentive Publications.
Wardle, F. 1996. “Proposal: Anti-bias and ecological model for multicultural education." Childhood Education, 72(3): 152-1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