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대학생의 핵심역량 강화를 위한 독서지도 과목 개발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of the Reading Guidance Course for Strengthening Core Competencies among College Students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P)1225-598X; (E)2982-6292
2012, v.46 no.3, pp.79-102
https://doi.org/10.4275/KSLIS.2012.46.3.079
이명희 (상명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대학생들이 취업 후 조직 내 핵심인재로 성장하기 위하여 갖추어야 할 핵심역량과 하위요소를 파악하기 위하여 국내외 5개 기관에서 개발된 대학생 핵심역량 모형 사례와 선행연구를 분석한 후 대학생들이 갖추어야 할 핵심역량의 9개 영역을 제시하였다. 9개 영역은 논리적 사고력, 문제해결력, 정보․기술 활용능력, 의사소통능력, 협력관계 형성능력, 글로벌 역량, 자기관리능력, 가치관 및 태도, 리더십 영역이다. 그리고 9개 핵심역량을 습득하기 위하여 핵심역량 강화를 위한 독서지도 과목을 대학 교양과목으로 개발하여 학생들을 대상으로 1학기 동안 수업을 실시한 후 수업 내용과 학습효과 등에 대한 질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질적 분석 결과에 대한 일반적인 결론과 추후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keywords
Core Competency, College Students, Reading Guidance Course, K-CESA, 핵심역량, 대학생, 독서지도과목, Core Competency, College Students, Reading Guidance Course, K-CESA

Abstract

Higher educational institutions face an increasing demand for developing a renewed set of competencies of college students who will live in the knowledge-based society. However, relatively little is known about what constitutes the core competencies that college students need to develop and how we can improve them. Nine categories of core competencies required for college graduates were drawn from the previous research and examples of core competencies developed by other institutions. They are analytic thinking skills, problem-solving skills, communicating skills, collaborative working skills, and etc. A reading guidance course for strengthening core competencies, developed based on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was adapted to students of LIS for one semester. Implications of these and related findings are discussed.

keywords
Core Competency, College Students, Reading Guidance Course, K-CESA, 핵심역량, 대학생, 독서지도과목, Core Competency, College Students, Reading Guidance Course, K-CESA

참고문헌

1.

김남희. 2004. 국민의 핵심능력에 대한 진단과 교육적 시사점: 전문직 종사자의 의견을 중심으로. 『아시아교육연구』, 5(1): 175-195.

2.

김동일 외. 2009. 대학교수가 바라본 고등교육에서의 대학생 핵심역량: 서울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아시아교육연구』, 10(2): 195-214.

3.

김선애, 연진영. 1989. 대학생의 자아정체감 형성과 관련 변인. 『아동학회지』, 10(2): 45-60.

4.

김세훈. 2004. 『도서관 전문성 강화방안: 사서 전문성을 중심으로』. 서울: 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

5.

김안나, 이병식. 2003. 대학생들의 핵심능력 개발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및 환경요인 분석. 『한국교육』, 30(1): 367-392.

6.

김종희, 강정구. 대학생의 자아정체감 확립을 위한 독서교육론: 문학을 중심으로. 『한국문학이론과비평』, 46: 272-291.

7.

김헌수, 장기명, 이난. 2004. 진로탐색 프로그램의 적용이 대학생의 진로 및 자아정체감과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효과. 『교육심리연구』, 18(1): 261-278.

8.

김혜정, 조재립. 2009. 대학교육 질 향상을 위한 핵심역량과 효능감 간의 상호관련성: 프로젝트 참여수업을 중심으로. 『제9회 한국품질경영학회 추계학술대회 발표논문』.

9.

박아청. 1996. 한국형 자아정체감 검사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15(1): 140-162.

10.

서민원. 2003. 다층모형의 논리적 구조와 적용: 대학교육의 효과 측정과 분석. 『교육평가연구』,16(2): 43-63.

11.

양성은. 2005. 지방대학생의 자아정체감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3(5): 171-180.

12.

유현숙 외. 2002. 『국가수준의 생애능력 표준설정 및 학습체제 질 관리연구』.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 RR2002-19.

13.

이광우 외. 2008. 『미래 한국인의 핵심역량 증진을 위한 초․중등학교 교육과정비전 연구 II :핵심역량 영역별 하위요소 설정을 중심으로』.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4.

이명희. 2007. 독서교육 교과목의 내용구성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18(1): 23-44.

15.

이병식, 최정윤. 2008. 다층모형을 활용한 대학생 핵심능력 개발의 영향요인 분석: 대학교육과정과 대학특성 변인의 영향. 『한국교육』, 35(2): 243-266.

16.

이희정, 박옥화. 2001. 독서요법이 대학생의 자아정체감 정립에 미치는 효과.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2(3): 331-351.

17.

임철일. 2008. 국내 대기업의 인적자원개발을 위한 교육체계의 특성과 정책적 시사점에 관한 연구. 『기업교육연구』, 10(1): 139-160.

18.

『제주일보』, 2011. 제주상의, 청년실업 해소에 앞장선다, 2월 7일.

19.

주인중, 박동열, 진미석. 2010. 『직업기초능력 영역 및 성취기준 연구』. 서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연구보고 2010-13.

20.

진성희, 성은모. 2010. 공과계열 대학생을 위한 실천적 리더십 역량 분석: 기업체 경영진과 대학생의 인식차이를 중심으로. 『직업교육연구』, 29(4): 95-119.

21.

『한국대학신문』, 2012. 시론: 어떤 역량 키울 것인가?, 5월 14일.

22.

황금숙. 2010. 독서교육자 자질 함양을 위한 독서관련 교과목 교수: 학습법 개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1(4): 355-381.

23.

Campbell, C., & Van der Wende, M. 2000. International Initiatives and Trends in Quality Assurance for European Higher Education. Helsinki: ENQA.

24.

Center for Quality Assurance in International Education. 2001. Quality Assurance of Higher Education and Professional Practice in the Global Context [CD-ROM]. Washington, D.C.: CQAIE.

25.

DeSeCo. 2001. The Definition and Selection of Key Competencies: Theoretical and Conceptual Foundations. [online]. [cited 2011.11.20]. <www.oecd.org/dataoecd/48/22/41529556.pdf>.

26.

Prahalad, C. K., & Hamel, G. 1990. “The core competence of the corporation.” Harvard Business Review, 68(3): 79-91.

27.

Keller, J. M. 1999. Motivation in Cyber Learning Environments. Paper Presented at the Korean Society for Educational Technology, 1999. Seoul.

28.

Klein, S. et al. 2005. “An approach to measuring cognitive outcomes across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Research in Higher Education, 46(3): 251-276.

29.

McClelland, D. C. 1973. “Testing for competence rather than for intelligence.” American Psychologist, 29(1): 1-14.

30.

Oh, Hunseok, & Lee, Yekyung. 2010. “A study on the perceptual differences about core competencies between higher education and business sectors.” Asian Journal of Education, 11(4): 95-118.

31.

Stark, J., Lowther, M., & Hagerty, B. 1986. Responsive Professional Education: Balancing Outcomes and Opportunities. ASHE-ERIC Higher Education Report No.3.

32.

White, R. W. 1959. “Motivation reconsidered: The concept of competence.” Psychological Review, 66(5): 297-333.

33.

United Nations Competencies Future. [online]. [cited 2011.9.12]. <http://www.un.org/Depts/OHRM/examin/uncompetencies.pdf>.

한국문헌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