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 Study on the Effects of Communicative Competence on Information Literacy of Undergraduat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P)1225-598X; (E)2982-6292
2016, v.50 no.1, pp.377-394
https://doi.org/10.4275/KSLIS.2016.50.1.377


  • Downloaded
  • Viewed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n empirical investigation of the effects of communicative competence on information literacy of undergraduates. The research results were found as follows; First of all, receptive competence has a significant effect on information needs, information retrieval and information evaluation. Secondly, transmission competence has a significant effect on information integration and information representation. Finally, adjustment competence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overall information literacy, that is, information needs, information retrieval, information assessment, information integration, information representation and information ethics. Therefore, we can understand communicative competence has a closed relationship with information literacy.

keywords
Communicative Competence, Information Literacy,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의사소통역량, 정보활용능력, 정보문해, 정보교육

Reference

1.

고영만. 2010. 정보문해론. 개정판. 서울: 한국도서관협회.

2.

김성원. 2011. 정보활용능력에 대한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도간 상관관계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28(3), 31-46.

3.

김종규, 한상우, 원만희. 2015. 의사소통역량 평가를 위한 자기 진단 모형 개발. 수사학, 23:389-422.

4.

백평구. 2013. 대학생 핵심역량 수준과 대학생 개인 변인의 관계 및 특성. 교양교육연구, 7(3):349-387.

5.

유현숙, 고장완, 임후남. 2011. 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 및 종합적 사고력에 영향을 주는 학습과정요인 분석. 교육행정학연구, 29(4), 319-337.

6.

이병기. 2012. 정보활용교육론. 개정판. 서울: 조은글터.

7.

이병기. 2013. 길포드의 지능구조모형에 의한 정보활용능력 검사도구 개발 및 타당성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7(2), 181-200.

8.

이석재 외. 2003. 생애능력 측정도구 개발연구: 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능력,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을 중심으로.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RR 2003-15-3.

9.

이정연, 최은주. 2006. 정보활용능력 교육의 효용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0(1), 315-334.

10.

이혜영. 2008. 대학생을 위한 정보활용능력 척도개발 연구. 박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대학원문헌정보학과.

11.

장선영. 2014. 프로젝트 중심학습에서 학습자의 의사소통능력, 리더십, 비판적 사고력, 정보활용능력이 반성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 교육방법연구, 26(3), 391-407.

12.

진미석, 손유미, 주휘정. 2011. 대학생 핵심역량 진단체계 구축 방안 연구. 교육행정학연구, 29(4), 461-486.

13.

최은주, 박남진. 2005. 대학생의 정보활용능력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22(4), 153-172.

14.

한상우, 김종규, 원만희. 2015. 대학생의 자기효능감과 의사소통역량 간의 관계에 대한 실증적연구. 수사학, 24, 337-358.

15.

허경호. 2003. 포괄적 대인 의사소통 능력 척도개발 및 타당성 검증. 한국언론학보, 47(6):380-408.

16.

Chu, H. 2010. Information Representation and Retrieval in the Digital Age. 장혜란 옮김. 2011. 디지털 시대의 정보 표현과 검색. 개정판. 서울: 한국도서관협회.

17.

American Association of School Librarian and Association for Educational Communications and Technology. 1998. Information Power: Building Partnership for Learning. Chicago, IL:American Library Association.

18.

Breivik, P. S. 1989. Information Literacy. New York: Macmillan.

19.

Lemke, Cheryl. 2003. enGauge 21st Century Skills: Literacy in the Digital Age. Naperville, Illinois: North Central Regional Educational Laboratory. [online] [cited 2016. 1. 7.]<http://files.eric.ed.gov/fulltext/ED463753.pdf>

20.

The Partnership for 21st Century Learning. 2015. Framework for 21st Century Learning. [online] [cited 2016. 1. 7.] <http://www.p21.org/about-us/p21-framework>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