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정보사회에서 갖추어야 하는 필수능력인 의사소통역량이 정보활용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규명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첫째, 의사소통역량 중 수용력은 정보활용능력 중 정보요구, 정보검색, 정보평가 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의사소통역량 중 전달력은 정보활용능력 중 정보통합, 정보표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마지막으로 의사소통역량 중 조정력은 정보요구, 정보검색, 정보평가, 정보통합, 정보표현, 정보윤리 등 정보활용능력의 전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전반적으로 의사소통역량과 정보활용능력은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개인이 새로운 정보를 수용하고 자신의 의견을 전달하며 긍정적으로 조정할 수 있는 능력이 정보를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능력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분석한 것은 본 연구의 긍정적 결과물이라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n empirical investigation of the effects of communicative competence on information literacy of undergraduates. The research results were found as follows; First of all, receptive competence has a significant effect on information needs, information retrieval and information evaluation. Secondly, transmission competence has a significant effect on information integration and information representation. Finally, adjustment competence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overall information literacy, that is, information needs, information retrieval, information assessment, information integration, information representation and information ethics. Therefore, we can understand communicative competence has a closed relationship with information literacy.
고영만. 2010. 정보문해론. 개정판. 서울: 한국도서관협회.
김성원. 2011. 정보활용능력에 대한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도간 상관관계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28(3), 31-46.
김종규, 한상우, 원만희. 2015. 의사소통역량 평가를 위한 자기 진단 모형 개발. 수사학, 23:389-422.
백평구. 2013. 대학생 핵심역량 수준과 대학생 개인 변인의 관계 및 특성. 교양교육연구, 7(3):349-387.
유현숙, 고장완, 임후남. 2011. 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 및 종합적 사고력에 영향을 주는 학습과정요인 분석. 교육행정학연구, 29(4), 319-337.
이병기. 2012. 정보활용교육론. 개정판. 서울: 조은글터.
이병기. 2013. 길포드의 지능구조모형에 의한 정보활용능력 검사도구 개발 및 타당성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7(2), 181-200.
이석재 외. 2003. 생애능력 측정도구 개발연구: 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능력,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을 중심으로.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RR 2003-15-3.
이정연, 최은주. 2006. 정보활용능력 교육의 효용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0(1), 315-334.
이혜영. 2008. 대학생을 위한 정보활용능력 척도개발 연구. 박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대학원문헌정보학과.
장선영. 2014. 프로젝트 중심학습에서 학습자의 의사소통능력, 리더십, 비판적 사고력, 정보활용능력이 반성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 교육방법연구, 26(3), 391-407.
진미석, 손유미, 주휘정. 2011. 대학생 핵심역량 진단체계 구축 방안 연구. 교육행정학연구, 29(4), 461-486.
최은주, 박남진. 2005. 대학생의 정보활용능력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22(4), 153-172.
한상우, 김종규, 원만희. 2015. 대학생의 자기효능감과 의사소통역량 간의 관계에 대한 실증적연구. 수사학, 24, 337-358.
허경호. 2003. 포괄적 대인 의사소통 능력 척도개발 및 타당성 검증. 한국언론학보, 47(6):380-408.
Chu, H. 2010. Information Representation and Retrieval in the Digital Age. 장혜란 옮김. 2011. 디지털 시대의 정보 표현과 검색. 개정판. 서울: 한국도서관협회.
American Association of School Librarian and Association for Educational Communications and Technology. 1998. Information Power: Building Partnership for Learning. Chicago, IL:American Library Association.
Breivik, P. S. 1989. Information Literacy. New York: Macmillan.
Lemke, Cheryl. 2003. enGauge 21st Century Skills: Literacy in the Digital Age. Naperville, Illinois: North Central Regional Educational Laboratory. [online] [cited 2016. 1. 7.]<http://files.eric.ed.gov/fulltext/ED463753.pdf>
The Partnership for 21st Century Learning. 2015. Framework for 21st Century Learning. [online] [cited 2016. 1. 7.] <http://www.p21.org/about-us/p21-framewo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