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메뉴

상담자의 전문성 발달 과정에 대한 연구: 자기성찰 경험을 중심으로

Phenomenological Study on Counselor's Professional Development with a Focus on Self-Reflection

초록

본 연구는 상담자들이 전문성 발달 과정에서 체험하게 되는 자기성찰 경험을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으로 분석한 질적 연구이다. 연구대상은 자기성찰에 관심을 갖고 있는 상담자로 상담경력 15년 이하의 상담전문가 10명으로 선정하였다. 연구결과 총 764개의 의미단위와 96개의 의미단위 요약, 22개의 하위구성요소가 도출되었으며 최종적으로 7개의 상위범주를 생성하였다. 이 7개 상위범주는 ‘상담자로서 적합성을 고민하며 불안과 혼란을 느낌’, ‘의식하지 못했던 자기문제가 자각됨’, ‘불편함을 버티어 내며 새로운 시도를 함’, ‘다양한 수련과정에서 문제회복의 반복적 노력을 통해 자기신뢰가 형성됨’, ‘관점의 한계를 넘어 의미가 재발견 됨’, ‘자기에 대한 수용이 타인의 수용으로 확장됨’, ‘일상과 상담에서 자기다움의 태도를 체화해 나감’이었다. 연구결과는 현상에 따라 일관된 구조로 통합하였으며, 본 연구를 통해 발견된 상담자 자기성찰 경험의 본질은 상담자에게 요구되는 이상화된 외적 가치 기준을 주체적으로 통합하고 확장시켜 나가는 현상으로 자기의 개념을 재구성해 가는 것이었다. 마지막으로 상담자 발달에 기여하는 자기성찰의 의미를 기존연구와 비교하고 연구의 제한점과 추후 연구를 위한 제안을 논하였다.

keywords
상담자, 자기성찰, 상담자 발달, Giorgi 현상학적 연구, 질적연구, counselor, self-reflection, development of counselor, Giorgi’s phenomenological study, qualitative study

Abstract

This study was a qualitative analysis applying Giorgi’s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ology to investigate counselors' self-reflection which could be experienced in the process of the development of their professionalism. As a result, 7 upper categories were found as follows: ‘feeling the sense of unrest and chaos while considering about the adaptability as a counselor’, ‘being aware of my own problem that I was not conscious of’, ‘making a new attempt while persevering in the discomfort’, ‘the formation of self-trust through the repetitive effort of recovery of a problem in the course of various training’, ‘going beyond the existing perspective and rediscovering the meanings’, ‘the extension of self acceptance toward the acceptance of others’, and ‘learning self-identity through one's life and counselling’. The essence of counselors' self-reflection experience is the phenomenon that counselors independently integrate and extend the idealized external value criteria required for themselves, which, in turn, would reconstruct their self-concepts.

keywords
상담자, 자기성찰, 상담자 발달, Giorgi 현상학적 연구, 질적연구, counselor, self-reflection, development of counselor, Giorgi’s phenomenological study, qualitative study

참고문헌

1.

김진숙 (2005). 상담자교육에서 성찰적 실천의의미와 적용.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7(4), 813-831.

2.

김진숙 (2006). 성찰적 슈퍼비전 접근에 대한이론적 고찰.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8(4), 673-693.

3.

문보경 (2001). 상담에 대한 내담자의 불만경험: 질적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3(2), 33-49.

4.

박혜준, 이승연 역 (2009). 질적 연구 방법으로서의 면담. 서울: 학지사. [Seiman, I. (2006). Interviewing as qualitative research: A guide for researchers in education and the social sciences. Williston, VT: Teachers College Press.

5.

배연욱 (2007). 상담자 발달 과정에 대한 연구:자기성찰 및 슈퍼비전을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

손은정, 유성경, 심혜원 (2003). 상담자의 자기성찰(reflection)과 전문성 발달. 상담학연구, 4(3), 367-380.

7.

신교숙 (2001). 놀이치료자의 경력, 훈련경험 및자의식과 역전이 관리 능력과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

신경림, 장연집, 박인숙 역 (2004). 현상학과 심리학 연구. 서울: 현문사. Giorgi, A.(ed.) (1994).

9.

심혜원 (2005). 상담자 발달 및 불안수준에 따른자기 대화 내용의 차이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0.

이장호, 정남운, 조성호 (2005). 상담심리학의기초. 학지사.

11.

이재용 (1998). 다산의 심성론과 수양론을 적용한자기 성찰적 상담.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이현주 (2005). 노인부부가구에서 치매배우자를돌보는 남편의 수발경험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3.

정은선 (1999). 상담자의 성취목표와 자의식이 상담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4.

허재경 (2009). 성찰중심 슈퍼비전을 통한 상담자발달 사례연구. 서울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5.

홍현미라, 권지성, 장혜경, 이민영, 우아영 (2008). 사회복지 질적 연구방법론의 실제. 서울. 학지사.

16.

황주연 (2011). 자기성찰 척도개발 및 자기관과자기성찰, 안녕감간의 경로모형 검증. 가톨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7.

황주연, 정남운 (2010). 상담자 자기성찰(Self-Reflection)에 대한 고찰.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9(2), 241-263.

18.

Crits-Christoph, P., & Mintz, J. (1991). Implication of therapist effects for the design and analysis of comparative studies of psychotherapies.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59, 20-26.

19.

Conway, M. A., & Pleydell-Pearce, C. W. (2000). The construction of autobiographical memories in the self-memory system. Psychological Review, 107(2), 261-288.

20.

Dreyfus, H. L., & Dreyfus, S. E. (1986). Mind over machine: The power of human intuiton and expertise in the era of the computer. New York:Free Press.

21.

Elliott, D. M., & Guy, J. D. (1993). Mental health professionals versus non-mental-health professionals: Childhood trauma and adult functioning. Professional Psychology: Research and Practice, 24(1), 83-90.

22.

Ericsson, K. A., & Lehmann, A. C. (1996). Expert and exceptional performance: Evidence of maximal adaptation to task. Annual Review of Psychology, 47, 273-305.

23.

Grosch, W. N., & Olsen, D. C. (1994). When helping starts to hurt; A new look at burnout among psychotherapists. New York: Norton.

24.

Glickauf-Hughes, C., & Mehlaman, E. (1995). Narcissistic issues in therapists: diagnostic and treatment considerations. Psychotherapy, 32(2), 213-221.

25.

Huppert, J. D., Bufka, L. F., Barlow, D. H., Gorman, J. M., Shear, M. K., & Woods, S. W. (2001). Therapists, therapist variables, and cognitive-behavioral therapy out-come in a multicenter trial for panic disorder.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69, 747-755.

26.

Kaam, A. (2009). 실존주의 상담학[The art of existential counseling.] (이정기, 윤영선 역). 서울: 상담신학연구소(원저는 1966년 출판).

27.

Luborsky, L., McClellan, A. T., Diguer, L., Woody, G., & Seligman, D. A. (1997). Clinical Psychology: Science and Practice, 4, 53-65.

28.

Mahoney, M. J. (1997). Psychotherapists`personal. Psychology: Research and Practice, 28, 14-16.

29.

Morrissette, P. J. (2002). Self-supervision. New York:Taylor & Francis Group.

30.

Neufeldt, S. A., Karno, M. P., & Nelson, M. L. (1996). A Qualitative study of expert's condeptualization of supervisee reflectivity.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8(3), 301-309.

31.

Neufeldt, S. A. (2004). Critical factors in supervision: The patient, th therapist, and the supervisior. In D. P. Chareman, Core processes in brie psycho dynamic psychotherapy: Advancing effective practice, (pp.325-341). Mahwah, NJ:Lawrence Erlbaum Associates, INC.

32.

Reich, A. (1960). Further remarks on countertransference. International Journal of Psychoanalysis, 41, 398-395.

33.

Rodes, H. R, Hill, C. E., Thompson, B, J., & Elliott, R. (1994). Client Retrospective Recall of Resolved and Unresolved Misunderstanding Event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1, 473-483.

34.

Schön, D. A. (1983). The reflective practitioner: How professional think in action. NY: Basic books.

35.

Schön, D. A. (1987). Educating the reflective practitioner: Toward a new design for teaching and learning in profession. New York: Basic Books.

36.

Skovholt, T. M., & Rønnestad, M, H. (1992). Themes in therapist and counselor development. Journal of Counseling and Development, 70, 505-515.

37.

Skovholt, T. M., & Rønnestad, M. H. (1995). The evolving professional self: Stages and themes in therapist and counselor development. New York:John Wiley & Sons.

38.

Stoltenberg, C. D. (1981). Approaching supervision from a developmental perspective: The counselor complexity model. Journal of Counseling Plychology, 28, 59-65.

39.

Wampold, B. E. (2001). The great psychotherapy debate: Models, methods and findings.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40.

Ward, C. C., & House, R. M. (1998). Counseling supervision: A reflective model. Counselor Education and Supervision, 38(1), 23-34.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