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 access
메뉴ISSN : 1229-0688
본 연구는 이공계 여성 대학원생의 진로선택과 대학원에서의 경험을 탐색하여 이공계 여성 대학원생들의 적응을 돕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이공계 연구 환경의 특성과 참여 경험을 탐색하기 위해 상위권 대학 석사 4학기 이상에 재학 중인 여성 대학원생 8명을 연구 참가자로 모집하였다. 학생들의 진로선택과 대학원 경험을 탐색하기 위하여 합의적 질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였으며, 반구조화된 형식으로 평균적으로 약 1시간의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의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외부전문가 2인에게 연구를 통해 도출된 전체영역 및 범주의 적절성에 대한 의견을 받았으며 최종적으로 ‘대학원 진학 동기’, ‘남성 중심적 문화로의 적응’, ‘여성이기 때문에 겪은 부정적 경험’, ‘긍정적인 대학원 경험’, ‘다중역할’, ‘역할 모델’의 6개 영역과 23개 범주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이공계 여성 대학원생들의 적응을 조력하기 위한 방안과 시사점을 기술하였으며,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이공계 여성 대학원생들을 대상으로 한 후속연구를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plore female graduate students’ career choices and their experiences as women in Science and Engineering. Eight female graduate students, who have enrolled more than 4 semesters in Science and Engineering at top ranked universities in South Korea, were recruited as participants.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CQR) was used to explore participants’ career choices and graduate program experiences.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participants for an average of 1 hour. As a result of CQR, six domains including “motivation for entering graduate programs”, “adjustment to the male-centered culture”, “negative experiences as a woman”, “positive experiences in graduate program”, “multiple-role”, and “role model”, and 23 categories emerged. Based on findings, interventions and suggestions to assist with adjustment of female graduate students in Science and Engineering were presented, and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were further discussed.
구수연, 김동익 (2014). 여학생 공학교육 지원사업이 공대 여성 졸업생의 취업과 경력유지에 미치는 영향. 한국공학교육학회, 17(6), 3-11.
교육통계조사 (2013). 대학통계.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조사 (2014). 대학통계. 한국교육개발원.
김동익, 이영화 (2009). 공대 여학생의 전공 관련 심리적 특성에 미치는 WIE 프로그램의 영향. 공학교육연구, 12(4), 46-55.
김정자 (1998). 여성과학기술인력 개발을 위한정책과제. 한국과학재단.
김지현, 오명숙, 정윤경 (2007). 현장 적응력향상을 위한 여성 공학인력 양성방안 연구. 한국산업기술재단 연구보고서.
도승이 (2008). 공대생의 진로관련 변인에 대한 성별 및 학년별 차이분석 연구. 교육심리연구, 22(3), 519-535.
도승이 (2009). 여성공학도의 역할모델과 성역할기대, 학업동기, 진로동기 간의 구조적관계. 교육심리연구, 23(4), 769-785.
민무숙, 이정희 (2005). 공학 분야 전공 여성들의 교육과 직업경험 분석. 교육사회학연구, 15(2), 65-93.
민무숙, 이정희, 송현주 (2002). 공학분야 여성고급인적자원 개발 지원방안. 한국여성개발원.
박선희, 김형수 (2008). 삼각측정법을 적용한여성 공학도 인식에 관한 기초조사. 공학교육연구, 11(2), 79-89.
박선희, 신동은, 최금진 (2010). 공학윤리 및철학: 여성공학도 진로장벽에 관한 남녀인식 비교. 공학교육연구, 13(4), 77-86.
신선미, 김남희 (2006). 차세대 성장동력 산업분야 여성고급과학기술인력 양성 방안. 한국여성개발원.
송효진, 신동주 (2014). 여성기술인력과 공학교육, 성인지적 관점에서의 평가: 교수전략, 학습자 참여, 그리고 문화를 중심으로. 여성연구, 86, 103-136.
정윤경, 오명숙, 김지현 (2008). 공대 여학생의전공 관련 심리적 특성의 탐색. 공학교육연구, 11(4), 34-45.
진미석, 신선미, 이영민 (2007). 여성연구원의연구단절 최소화 방안 연구. 한국직업능력 개발원.
안상수, 박성정, 최윤미, 김금미 (2011). 성평등실천 국민실태조사 및 장애요인 연구(Ⅲ):대학생활 영역을 중심으로.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규진, 양지웅, 이정선, 장애경, 김정기 (2013). 학부생과 대학원생의 성별에 따른 진로장벽의 차이: 이공계 대학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 여성, 18(2), 295-316.
임춘희, 김동익 (2011). 공대 여학생의 남자교수 상담에 대한 만족도와 요구도. 공학교육연구, 14(1), 3-15.
오혜영, 지승희 (2013). 상담 분야의 CQR 연구 동향: 2001~2010년 상담관련 국내 학술지게재논문을 중심으로. 상담학연구, 14(4), 2327-2349.
윤대희, 한경희 (2003). 공학분야 여학생 교육의 현황과 과제. 공학교육, 10(4), 77-82.
윤종태, 한현우, 최송아 (2014). 공학계 여학생의 중도탈락 요인에 관한 연구. 공학교육연구, 17(6), 46-52.
한경희, 박준홍, 강호정 (2010). 공학과 젠더:공학교육에 어떻게 적용할 것인가? 공학교육연구, 13(1), 38-51.
한국산업기술진흥원 (2013). 산업기술인력 수급 실태조사 부가조사. 산업통상자원부.
조경호 (2012). 공학분야 여성 참여 확대 및활용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여성과학 기술인 지원센터.
주혜진 (2008). 공대 여학생 사례를 통해 본소수자의 사회심리학적 경험. 담론 201, 11(3), 117-150.
최금진, 박선희 (2009). 여성공학도의 동기와자기효능감에 관한 연구. 공학교육연구, 12(2), 3-13.
Bandura, A. (1986).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 A social cognitive theory.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Inc.
Darisi, T., Davidson, V., Korabik, K., & Desmarais, S. (2010). Commitment to Graduate Studies and Careers in Science and Engineering: Examining Women’s and Men’s Experiences. International Journal of Gender, Science and Technology, 2(1), 48-64.
Drew, T. L., & Work, G. G. (1998). Gender-based differences in perception of experiences in higher education. Journal of Higher Education, 69, 542-555.
Evetts, J. (1996). Gender and career in science and engineering. London: Taylor & Francis.
Glomb, T. M., Richman, W. L., Hulin, C. L. Drasgow, F., Schneider, K. T., & Fitzgerald, L. F. (1997). Ambient sexual harassment:An integrated model of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Decision Processes, 71, 309-328.
Hill, C. E., Knox, S., Thompson, B. J., Williams, E. N., Hess, S. A., & Ladany, N. (2005).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An update.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52(2), 196-205.
Hill, C. E., Thompson, B. J., & Williams, E. N. (1997). A guide to conducting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The Counseling Psychologist, 25, 517-572.
Lane, K. A., Goh, J. X., & Driver-Linn, E. (2012). Implicit science stereotypes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gender and academic participation. Sex Roles, 66, 220-234.
Lather, P. (1991). Getting smart: Feminist research and pedagogy with/in the post modern. New York: Routledge.
Lent, R. W., Brown, S., & Hackett, G. (2000). Contextual supports and barriers to career choice: A social cognitive analysi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7, 36-49.
Lent, R. W., Brown, S. D., Nota, L., & Soresi, S. (2003). Testing social cognitive interest and choice hypotheses across Holland types in Italian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62, 101-118.
McWhirter, E. H., Hackett, F., & Bandalos, D. L. (1998). A causal model of the educational plans and career expectations of Mexican American high school girl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5, 166-181.
Mitchell, L. K., & Krumboltz, J. D. (1996). Krumboltz’s learning theory of career choice and counseling. In D. Brown and L. Brooks (Eds.), Career choice and development (3rd ed., pp. 233-280). San Francisco: Jossey-Bass.
Parkin, D., & Maddock, S. (1995). A gender typology of organizational culture. In C. Itzin and J. Newman (eds), Gender and Organizational Change: Putting Theory into Practice (pp. 89-105). London: Routledge.
Seymour, E. (1995). The loss of women from science, mathematics, and engineering undergraduate majors: An explanatory account. Science Education, 79(4), 437-473.
Seymour, E., & Hewitt, N. M. (1994). Talking about leaving: Factors contributing to high attrition rates among science, mathematics, and engineering undergraduate majors. Boulder: University of Colorado, Bureau of Sociological Research.
Shih, M., Pittinsky, T. L., & Ambady, N. (1999). Stereotype susceptibility: Identity salience and shifts in quantitative performance. Psychological Science, 10, 80-83.
Williams, W. M., & Ceci, S. J. (2012). When scientists choose motherhood. American Scientist, 100(2), 138-145.
Willness, C. R., Steel, P., & Lee, K. (2007). A meta-analysis of the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workplace sexual harassment. Personnel Psychology, 60, 127-1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