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메뉴

사회인지 진로 자기관리 모형에 따른 부모진로지지와 대학생의 성실성ㆍ개방성 및 진로탐색 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Career Support, College student Personality and Career Exploration: Social Cognitive Career Self-management Model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인지 진로 자기관리모형을 우리나라 대학생의 진로탐색에 적용할 수 있는지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부모의 진로지지, 대학생의 성실성․개방성 성격요인과 결정효능감, 결정결과기대를 예측변인으로 설정하여 진로탐색과정에서 목표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수도권과 충청권의 9개 4년제 대학에서 대학생 448명(남: 203명, 여: 245명)의 설문자료를 수집하여 상관 및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예측변인으로 설정한 부모 진로지지, 성실성과 개방성, 결정효능감, 결정결과기대는 모두 준거변인인 목표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 진로지지는 결정효능감과 결정결과기대를 통하여, 성실성은 결정효능감을 통하여 목표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완전매개 효과가 나타났다. 개방성은 결정효능감을 통하여 목표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상담 및 교육장면에서 부모 진로지지, 성격 및 효능감의 개인차에 대한 이해를 통하여 대학생의 진로 탐색 자기관리를 촉진하는 방안과 추후 연구를 위한 제한점이 논의되었다.

keywords
career self-management, parental career support, personality, brief decisional self-efficacy, goals, 진로 자기관리, 부모 진로지지, 성격요인, 결정효능감, 목표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firm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career support, college students' personality, and career exploration based on the career self-management model from Social Cognitive Career Theory. This study was designed to do a brief decisional self-efficacy and outcome expectation regarding career decision-making behavior to determine the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career support, the big five traits of conscientiousness in college students, openness, and goals. Vi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data from 448 current students attending four-year metropolitan universities were analyzed. Results are as follows: parental career support, conscientiousness, openness, brief decision self-efficacy, and outcome expectation regarding career decision-making behaviors have positive influences on the exploratory intentions of Korean students. It is suggested that parental career support and conscientiousness have indirect influences on college students' goals. Openness influences goals both directly and indirectly. Brief decisional self-efficacy serves as a mediating variable.

keywords
career self-management, parental career support, personality, brief decisional self-efficacy, goals, 진로 자기관리, 부모 진로지지, 성격요인, 결정효능감, 목표

참고문헌

1.

구본용, 유제민 (2010). 진로상담: 부모의 긍정적 관여와 자기효능감이 대학생의 진로결정과 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상담학연구, 11(1), 171-187.

2.

김가희 (2015). 대학생의 분리개별화와 진로적응성의 관계에서 자기개념명확성의 매개효과.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

김민선 (2008). 공과대학 학생들의 공학흥미와 사회인지적 요인들과의 관계. 연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4.

김보영, 양나연, 양혁, 양준영, 정숭훈, 이상민 (2016). 계획된 우연이론에 기반한 성격 5요인과 우연 기술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8(2), 491-508.

5.

김영혜, 안현의 (2012). 사회인지 진로 자기관리이론적 관점에 근거한 국내 진로발달연구의 동향 분석: 대학생 연구를 중심으로. 진로교육연구, 25(4), 1-18.

6.

김지근, 이기학 (2011). 부, 모의 자율성 지지와 진로결정에의 몰입의 모형 검증: 자기성장주도성과 환경에 대한 진로탐색행동 및 자신에 대한 진로탐색행동을 매개변인으로. 상담학연구, 12(1), 81-97.

7.

김진관 (2014). 공학계열 대학생의 학업유지와 정서적 특성, 사회인지요인, 학업만족의 인과적 관계.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8.

김태환 (2013). 대학생의 진로선택몰입과 가족지지, 진로결정자율성,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인과적 관계.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9.

민지애, 유금란 (2015). 대학생의 부모-자녀간 의사소통과 진로결정몰입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9(1), 45-63.

10.

배병렬 (2014). AMOS 21 구조방정식 모델링-원리와 실제. 서울: 도서출판 청람.

11.

서미옥. (2010). 성취목표지향과 성격, 자기효능감 및 내-외적 동기의 관계. 교육학연구, 48(2), 21-44.

12.

서수균, 전지혜, 안정신, 정영숙 (2015). 중년부모와 대학생 자녀 간 갈등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34(4), 971-990.

13.

서영석 (2010). 상담심리 연구에서 매개효과와 조절효과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2(4), 1147-1168.

14.

선혜연 (2008). 청소년 진로의사결정 상황에 따른 부모의 관여방식 차이. 진로교육연구, 21(3), 49-67.

15.

선혜연, 김계현 (2007). 진로상담: 청소년 진로선택 및 발달에 있어 부모의 영향에 관한 연구 분석-1997년∼2006년. 상담학연구, 8(4), 1467-1483.

16.

성하은 (2014). 진로결정자기자기 효능감과 관련변인의 메타분석: 국내 대학생 대상 연구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7.

손향신, 유태용 (2011). 개방성, 외향성, 핵심자기평가가 변화몰입과 적응수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24(2), 281-306.

18.

송보라, 이지원, 최혜승, 허준경, 이기학 (2015). 성인의 전생애적 진로만족 연구: 생애주기별 사회인지진로변인과 삶의 만족에 대한 메타분석. 상담학연구, 15(5), 1791-1810.

19.

송지은, 이정윤 (2014). 대학생의 성격 및 동기변인에 기초한 군집유형별 진로준비행동에서의 차이. 상담학연구, 15(3), 1183-1198.

20.

양난미 (2006). 한국 대학생의 사회인지 진로 선택모형 검증.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1.

유민봉, 심형인 (2013). 한국 사회의 문화적 특성에 관한 연구: 문화합의이론을 통한 범주의 발견,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19(3), 457-485.

22.

유태용, 이기범, Ashton, M. C. (2004). 한국판 HEXACO성격검사의 구성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8(3), 61-75.

23.

유현실 (2014). 대학 진로교과목 수강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대학생활적응에 대한 성격 및 성별의 종단적 효과. 열린교육연구, 22(1), 89-111.

24.

이득연, 홍경자 (2004). 가족의 심리 사회적 변인과 진로탐색행동과의 관계: 합리적 진로의사결정과 진로결정효능감을 매개로. 청소년상담연구, 12(1), 109-120

25.

이미진 (2012). 진로준비행동 관련 변인의 메타분석. 대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6.

이상희 (2009). 대학생의 부모 진로지지 척도개발 연구. 상담학연구, 10(3), 1539-1553.

27.

이상희, 최춘희, 신상수 (2011). 재취업구직자의 성격 5요인이 구직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고용지원집단 프로그램 참가자를 대상으로. 인간이해, 32(1), 85-102.

28.

이영란 (2006). 상담자의 소진과 5요인 성격특성과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9.

이정애 (2009). 자기효능감과 직업가치 및 직업획득가능성이 진로목표 추구활동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0.

이지현, 김수영 (2016). 문항묶음.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5(2), 327-353.

31.

이현주 (2010). 부모의 진로관련행동 및 애착과 남녀 대학생의 진로정체감의 관계. 진로교육연구, 23(2), 41-59.

32.

전미리, 김봉환 (2015a). 대학생의 성격 5요인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진로결정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7(2), 445-461.

33.

전미리, 김봉환 (2015b).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에 대한 성격 5 요인과 인지·행동적 변인의 영향. 진로교육연구, 28(4), 41-57.

34.

정미예, 조남근 (2012). 사회인지 진로 자기관리이론을 적용한 대학생의 주관적 안녕 예측 모형. 상담학연구, 13(2), 401-415.

35.

주영주, 고경이, 정유진 (2015). 대학생의 긍정적 정서, 사회적지지, 진로결정자기효능감, 결과기대가 진로준비행동 및 진로만족에 미치는 영향. 진로교육연구, 28(3), 65-83.

36.

Anderson, J. C., & Gerbing. D. W. (1988).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practice: a review and recommanded two-step approach. Psychological Bullitin, 103(3), 411-423.

37.

Bentler, P. M., & Bonett, D. G. (1980). Significance tests and goodness of fit in the analysis of covariance structures. Psychological Bulletin, 88(3), 588-606.

38.

Betz, N. E., & Voyten, K. K. (1997). Efficacy and outcome expectations influence career exploration and decidedness. The Career Development Quarterly, 46(2), 179-189.

39.

Brown, S. D., & Hirschi, A. (2013). Personality, career development, and occupational attainment. In S. D. Brown & R. W. Rent (Eds.), Career Development and Counseling: Putting Theory and Research to Work(2nd ed., pp. 299-328). New York, NY: Wiley.

40.

Brown, S. D., Krane, N. E. R., Brecheisen, J., Castelino, P., Budisin, I., Miller, M., & Edens, L. (2003). Critical ingredients of career choice interventions: More analyses and new hypothese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62(3), 411-428.

41.

Bullock-Yowell, E., Andrews, L., & Buzzetta, M. E. (2011). Explaining career decision‐making self efficacy: Personality, cognitions, and cultural mistrust. The Career Development Quarterly, 59(5), 400-411

42.

Cheung, M. W. (2007). Comparison of approaches to constructing confidence intervals for mediating effects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14(2), 227-246.

43.

Curran, P. J., West, S. G., & Finch, J. F. (1996). The robustness of test statistics to nonnormality and specification error in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Psychological methods, 1(1), 16-29.

44.

DeYoung, C. G. (2006). Higher-order factors of the Big Five in a multi-informant sampl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91(6), 1138-1151.

45.

Digman, J. M. (1997). Higher-order factors of the Big Fiv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6(6), 1246-1256.

46.

Gati, I. (2013). Advances in career decision making. In W. B. Walsh, M. L. Savickas & P. J. Hartung(Eds.), Handbook of Vocational Psychology: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4th ed., pp. 183-215). New York: Routledge.

47.

Goldberg, L. R. (1999). A broad-bandwidth, public domain, personality inventory measuring the lower-level facets of several five-factor models. Personality Psychology in Europe, 7, 7-28.

48.

Harren, V. A. (1979). A model of career decision making for college student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14(2), 119-133.

49.

Jin, L., Watkins, D., & Yuen, M. (2009). Personality,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commitment to the career choices process among Chinese graduate student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74(1), 47-52.

50.

Kelloway, E. K. (1998). Using LISREL for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 Researcher’s Guide. Sage.

51.

Kline, R. B. (2010). 구조방정식모형: 원리와 적용 (이현숙, 김수진, 전수현 공역), 서울: 학지사. (원전은 2004년에 출판)

52.

Leal-Muniz, V., & Constantine, M. G. (2005). Predictors of the career commitment process in Mexican American college students.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13(2), 204-215.

53.

Lent, R. W., & Brown, S. D. (2008). Social cognitive career theory and subjective well-being in the context of work.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16(1), 6-21.

54.

Lent, R. W., & Brown, S. D. (2013). Social cognitive model of career self-management: Toward a unifying view of adaptive career behavior across the life span.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60(4), 557-568.

55.

Lent, R. W., Brown, S. D., & Hackett, G. (1994). Toward a unifying social cognitive career theory of career and academic interest, choice, and performance.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45(1), 79-112.

56.

Lent, R. W., Ezeofor, I., Morrison, M. A., Penn, L. T., & Ireland, G. W. (2016). Applying the social cognitive model of career self-management to career exploration and decision-making.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93, 47-57.

57.

Lent, R. W., & Fouad, N. A. (2011). The self as agent in social cognitive career theory. In P. J. Hartung & L. M. Subich (Eds., pp. 71-87), Developing self in work and career: Concepts, cases, and contexts. Washington, D. 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58.

Lim, R. H., Lent, R. W., & Penn, L. T. (2016). Prediction of job search intentions and behaviors: Testing the social cognitive model of career self-management.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63(5), 594-603.

59.

Little, T. D., Rhemtulla, M., Gibson, K., & Schoemann, A. M. (2013). Why the items versus parcels controversy needn’t be one. Psychological Methods, 18(3), 285-300.

60.

Macho, S., & Ledermann, T. (2011). Estimating, testing, and comparing specific effects in structural equation models: the phantom model approach. Psychological Methods, 16(1), 34-43.

61.

McCrae, R. R., & Costa Jr, P. T. (2008). A five-factor theory of personality. Handbook of personality: Theory and research (3rd ed.), 178-203.

62.

Reed, M. B., Brunch, M. A., & Haase, R. F. (2004). Five-factor model of personality and career exploration.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12(3), 223-238.

63.

Roche, M. K., Daskalova, P., & Brown, S. D. (2017). Anticipated multiple role management in emerging adults: A test of the social cognitive career self-management model.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25(1), 121-134.

64.

Rossier, J. (2015). Personality assessment and career intervention. In P. J. Hartung, M. L. Savickas, & W. B. Walsh(Eds.), APA handbook of career Intervention; volume 1 foundations(1st ed., pp. 327-350). Washington,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65.

Savickas, M. L. (2011). New questions for vocational psychology: Premises, paradigms, and practices.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19(3), 251-258.

66.

Shrout, P. E., & Bolger, N. (2002). Mediation in experimental and nonexperimental studies: New procedures and recommendations. Psychological Methods, 7(4), 422-445.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