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문제해결 집단에서의 성격지각과 리더십 지각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s Between Personality and Leadership Perceptions in Problem-Solving Group

초록

본 연구에서는 Kenny(1994)의 사회관계모형을 적용하여 리더가 없는 문제해결 집단에서 집단과제 수행 후 구성원간의 상호평가를 통해 리더십 출현과 관련된 몇 가지 연구물음을 다루기 위한 것이다. 연구대상자는 남녀 대학생 4명을 한 집단으로 구성한 총 56집단이었다. 측정도구는 성격의 5요인에 근거한 자기평가 및 타인평가, 외모, 및 두 종류의 리더십 평가이었다. 피험자들은 서로 모르는 사람들로서 무작위로 구성된 4명 단위의 집단이었으며, 이들은 라운드 로빈 방식으로 자신과 타인들을 서로 평가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로는 첫째, 전체적으로 자기고양 편향보다는 자기겸양 편향이 나타났으나, 두 종류의 리더십 평가에서는 자기고양 편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전체적 지각자 효과는 약 27%, 표적인물 효과는 약 10%, 관계성 효과는 약 29%이었다. 즉 리더십을 포함한 여러 측면의 평가에서 표적의 효과가 가장 낮았다. 이는 집단내 구성원간의 리더십 평가에서 의견일치가 예상보다 낮음을 의미한다. 셋째, 표적의 성은 리더십 평정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나이가 많은 사람일수록 구성원들로부터 과제리더십 평정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마지막으로 대부분의 평가차원에서 구성원들의 표적에 대한 평가는 상당히 적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두 종류의 리더십 중 인간관계 리더십에 비해 과제리더십의 평가는 매우 정확한 것으로 밝혀졌다.

keywords
사회관계모형, 과제리더십, 인간관계 리더십, 성격의 5요인, 자기고양 편향, 지각자 효과, 표적인물 효과, 관계성 효과

Abstract

Leadership emergences and several related questions in leaderless group problem solving situation were examined applying Kenny's Social Relations Model(1994) through mutual evaluation among members after a brief group activity in the improvised group for problem-solving. Participants were randomly organized into Fifty six 4-person groups and evaluated oneself and others in each group by round robin method. Self and other evaluations based on Big Five personality, physical appearance, and two types of leadership were measured. Generally self-abasement bias rather than self-enhancing bias were dominant, but such self-enhancing bias was not shown in two types of leadership evaluations. Secondly, variances of the perceiver effect, the target effect, and the relationship effect was 27%, 10%, and 29%, respectively. That the target effect was the lowest in several aspects of evaluations including leadership rating suggests that there are low consensus among members in leadership evaluations. Thirdly, the older participants got higher credits in task leadership while no gender effects of target were evidenced. Finally, members' evaluations on target were substantially accurate in most of the evaluation dimensions. Especially evaluation was more accurate on task leadership rating than that on relationship leadership rating.

keywords
Social Relations Model, task leadership, relationship leadership, Big 5 personality, self-enhancement, perceiver effect, target effect, relationship effect
투고일Submission Date
2003-08-26
수정일Revised Date
2003-11-11
게재확정일Accepted Date
2003-11-24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