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권호 목록

조직 내 정치적 행동 지각과 이직의도 간의 관계: 스트레스, 조직몰입의 매개효과와 정직성의 조절효과
장진혁(광운대학교) ; 유태용(광운대학교) pp.413-436 https://doi.org/10.24230/ksiop.26.3.201308.41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조직 내 정치적 행동 지각과 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둘째, 스트레스와 조직몰입이 조직 내 정치적 행동 지각과 이직의도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지 살펴보고, 셋째, 조직 내 정치적 행동 지각이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정직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었다. 이를 위하여 국내 기업에서 근무하는 종업원들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총 203명의 응답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를 분석한 결과, 조직 내 정치적 행동 지각과 스트레스는 이직의도와 정적으로, 관련이 있었다. 스트레스와 조직몰입은 조직 내 정치적 행동 지각과 이직의도 간의 관계에서 순차적인 매개역할을 하였다. 또한 정직성이 낮을 때 보다 높을 때 조직 내 정치적 행동 지각과 스트레스 간의 정적 관계가 더 강하게 나타났기 때문에 정직성이 조직 내 정치적 행동 지각과 스트레스 간의 관계를 조절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시사점, 제한점 및 추후 연구과제에 대해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first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politics and stress on turnover intention. The second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stres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politics and turnover intention. The third was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hones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politics and stress. Data were gathered from 203 employees who were working in various organizations in Korea. As results,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politics and stress had positive relationship with turnover intention. Stres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sequentially media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politics and turnover intention. Also, honesty had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politics and stress because the relationship was more positive when honesty was high than low. Finally, implication of results and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tasks were discussed.

조직 SNS(Social Networking Service) 사용의 선행변인과 결과변인에 대한 연구
나빛나리(광운대학교) ; 탁진국(광운대학교 산업심리학과) pp.437-461 https://doi.org/10.24230/ksiop.26.3.201308.43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조직 SNS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특성 및 환경특성 선행변인과 조직 SNS 사용의 결과변인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그 동안 SNS 사용과 관련된 다양한 연구들이 있었으나, 조직 차원에서의 연구는 없었다. 또한 긍정적 측면에서의 사용효과만을 검증했으나, 본 연구에서는 부정적 측면의 사용 효과 역시 검증하였다. 연구를 위해 기존의 문항과 개방형 설문을 통해 만들어진 문항을 토대로 직장인 314명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해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혁신문화, 학습조직, 관계지향성, 지적호기심으로 이루어진 선행변인이 모두 조직 SNS 사용과 유의미한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직커뮤니케이션, 팀응집력, 업무집중도, SNS 스트레스로 이루어진 결과변인 역시 조직 SNS 사용과 유의미한 관계를 가졌으며, 조직 SNS 사용이 많을수록 조직커뮤니케이션과 팀응집력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업무집중도는 떨어지고 SNS 스트레스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연구의 학문적 의의 및 실무적 시사점, 그리고 제한점과 추후 연구과제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antecedents and outcome variables of using an organization social networking service. Data were collected from 314 work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as antecedents innovative culture, learning organization, relationship orientation, and curiosity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social networking Service use. Also, social networking service use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all the outcome variables such as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team cohesion, work intensity, and social networking service stress.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가정에 의한 직장방해가 기혼여성근로자의 직무태도와 행동에 미치는 영향
최규현(서강대학교) ; 박경규(서강대학교) pp.463-488 https://doi.org/10.24230/ksiop.26.3.201308.463
초록보기
초록

직장-가정갈등은 기혼여성들의 원활한 직장생활을 제한하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본 연구의 목적은 기혼여성근로자를 대상으로 직장-가정갈등의 두 유형인 직장에 의한 가정방해(work interference with family: WIF)와 가정에 의한 직장방해(family interference with work: FIW) 중 FIW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가정에서의 역할부담이 직장에서의 역할 수행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FIW가 기혼여성근로자의 직무 관련 태도와 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각각 살펴보았다. 또한 FIW와 직무탈진 간의 관계에 있어 상사지원과 긍정심리자본의 조절효과를 살펴봄으로써 조직 입장에서 FIW를 완화시키기 위한 방안을 수립하는데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 기혼여성근로자와 해당 근로자의 팀장을 대상으로, 팀원과 팀장을 쌍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해 최종적으로 193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FIW는 기혼여성근로자의 직무탈진에 영향을 미쳤다. 둘째, FIW는 직무탈진을 매개로 구성원의 역할내 행동(in-role behavior)과 역할외 행동(extra-role behavior)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직무탈진은 기혼여성근로자의 FIW와 역할내 행동 간의 관계를 부분매개하고, 역할외 행동 간의 관계를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셋째, FIW와 직무탈진 간의 관계에 있어서 상사지원과 긍정심리자본이 조절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고, 추후 연구방향 등을 제시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has following objectives. (1) examining the effects of role pressure at home on work performance for married working women by focusing on FIW(family interference with work). (2) investigating relationship between FIW and employee’s behavior(in-role behavior and extra role behavior) that affects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3) exploring the moderating effects of supervisor support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the relation between FIW and job burnout. This research was undertaken using data from 193 married women employees and 67 relevant team managers who have the rights to allocate team tasks and to evaluate employee’s performance.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FIW has effect on job burnout of married womon employees. (2) job burnout related with FIW has effect on both in-role behavior and extra-role behavior. Especially, job burnout has fully mediating role between FIW and extra-role behavior, compared to partially mediating role between FIW and in-role behavior for married woman employees. (3) moderating effect was shown from supervisor support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in relationship between FIW and job burnout. This research provides implications on how to understand the married woman employees’ FIW and resolve it.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research and the directions for future study were discussed.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