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메뉴

Effects of Mental Fitness Positive Psychology Program for Improvement of Adjustment to Military Life

Abstract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s of Mental Fitness Positive Psychology; MFPP) program for improvement of adjustment to military life. In the present study, the Mental Fitness program (Kim & Ko, 2009) was adapted for the Korean Army. A total of 78 military soldier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he MFPP group (n=35) and control group (n=43).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are as follows: relative to the comparison group, the MFPP group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of military life stress and a significant improvement of adjustment to military life.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 spite of a short-term intervention consisting of 6 weekly sessions, the MFPP program adapted for military soldiers was effective in enhancing soldiers' adjustment to military life. Lastly, the implications of the present study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addressed.

keywords
군 생활, 긍정심리치료, 멘탈 휘트니스, 스트레스, 긍정적 정신건강, military life, mental fitness, positive psychotherapy, stress, positive mental health

Reference

1.

고영건, 김진영 (2012). 멘탈 휘트니스 긍정심리 프로그램. 서울: 학지사.

2.

구승신 (2006). 신세대 병사의 정신건강 실태와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정신보건과사회사업, 24, 64-93.

3.

국민일보 (2014, 08, 09). [기획-윤일병 폭행사망 파장] 軍 부적응 원인 1위는 ‘선임병 횡포’. 국민일보.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922757712&code=11122100&cp=nv에서 2016, 08, 05 자료 얻음.

4.

국방부 (2009). 자살예방 종합시스템 정립. 서울: 국방부.

5.

권석만 (2008). 긍정심리학-행복의 과학적 탐구. 서울: 학지사.

6.

김근향 (2011). 정신과 입원환자의 적응기능 향상을 위한 긍정심리치료 프로그램의 효과.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7.

김윤근 (2007). 병사들의 군 적응유연성에 영향을 주는 보호요인과 위험요인의 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김진영, 고영건 (2009). 긍정 임상심리학: 멘탈 휘트니스(mental fitness)와 긍정심리치료(positivpsychotherapy).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5(1), 155-168.

9.

김현정 (2012). 긍정적 정신건강 모형의 타당화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0.

나현주, 정영주, 유경원 (2010). 긍정심리 프로그램이 청년들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동강대학 논문집, 33, 55-63.

11.

문장옥 (2011). 긍정기도문쓰기가 군 생활 만족도 및 자아 존중감, 군 생활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2.

민 진 (2010). 군대조직의 구조적 특성에 관한 연구. 국방연구, 53(3), 97-123.

13.

민 진 (2011). 군대조직문화 특성의 도출과 분석. 한국조직학회보, 8(3), 91-121.

14.

박 일 (2012). 정신전력과 긍정적 정신건강이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박 일, 고영건 (2012). 정신전력이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 산업 및 조직, 25(1), 105-124.

16.

박정조 (2013, 08, 27). [오피니언] 긍정의 나비효과. 국방일보. http://kookbang.dema.mil.kr/kookbangWeb/view.do?parent_no=2&bbs_id=BBSMSTR_000000000251&ntt_writ_date=20130828에서 2016, 08, 05 자료 얻음.

17.

박정화, 유성모 (2013). 군인의 개인적 특성과 셀프 리더십, 긍정심리자본, 오센틱 리더십, 심리적 웰빙, 정서적 웰빙이 조직웰빙에 미치는 영향. 뇌교육연구, 11(단일호), 21-46.

18.

박찬빈, 고영건 (2014). 대학생의 방어기제 유형에 따른 멘탈 휘트니스 긍정심리상담 및 치료 프로그램의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9(3), 673-693.

19.

박현철 (2001). 군인의 삶의 질 향상에 관한 연구: 스트레스원, 사회적 지지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

신태수 (1981). 군대 조직 구성원의 자아정체감과 군대 생활에의 적응과의 연계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1.

연합뉴스 (2015, 09, 06). 백군기 “군, 자살병사 절반은 자살가능성 미리 알아”. 연합뉴스.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5/09/05/0200000000AKR20150905048700001.HTML?input=1195m에서 2016, 08, 05 자료 얻음.

22.

윤성민, 신희천 (2010). 한국판 긍정심리치료 척도의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2(3), 707-732.

23.

이윤희 (1963). 군대생활의 적응.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이정애 (2012). 우울한 노인들을 대상으로 한 집단 긍정심리치료 프로그램의 효과.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5.

이현희, 김은정, 이민규. (2003). 한국판 정적 정서 및 부적 정서 척도 (Positive Affect and Negative Affect Schedule; PANAS) 의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2(4), 935-946.

26.

임영진 (2010). 성격 강점과 긍정심리치료가 행복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7.

임영진, 고영건, 신희천, 조용래 (2010). 특별 심포지엄: 한국인의 행복 및 정신건강지수: 한국인의 정신건강. 연차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010(단일호), 233-257.

28.

임영진, 고영건, 신희천, 조용래. (2012). 정신적 웰빙 척도 (MHC-SF) 의 한국어판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1(2), 369-386.

29.

정원철, 박영주 (2011). 연구논문: 병사의 군부적응 및 적응력향상 관련 국내 연구동향의 개관. 한국청소년학회, 18(1), 49-71.

30.

조용학 (2016, 04, 18). 자율 씨앗’ 뿌렸더니 ‘자긍 열매’ 주렁주렁. 국방일보. http://kookbang.dema.mil.kr/kookbangWeb/view.do?ntt_writ_date=20160419&parent_no=1&bbs_id=BBSMSTR_000000000006에서 2016, 08, 05 자료 얻음.

31.

최유연, 손정락 (2012). 긍정심리치료가 사회 공포증 경향이 있는 대학생의 사회 불안, 낙관성 및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7(3), 573-588.

32.

최은진, 박희현 (2012). 병사의 군 생활 스트레스와 군 생활 적응과의 관계에서 희망의 중재효과. 한국 인간발달학회, 19(3), 129- 146.

33.

최혜란, 박숙희 (2009). 군 생활 적응에 영향을 주는 위험요인과 보호요인 연구. 상담학연구, 10(3), 1743-1756.

34.

탁진국, 임그린, 정재희 (2014). 행복증진을 위한 긍정심리기반 코칭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3(1), 139-166.

35.

황순택, 김지혜, 박광배, 최진영, 홍상황. (2012). K-WAIS-Ⅳ 기술 및 해석요강. 대구: 한국심리주식회사.

36.

현명선, 정향인, 강희선 (2009). 군인들의 군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요인. 정신간호학회지, 18(3), 305-312.

37.

Boehm, J. K., & Lyubomirsky, S. (2009). The promise of sustainable happiness. In C. R. Snyder & S. J. Lopez (Eds.), The Oxford handbook of positive psychology (pp. 667-677). Oxford, UK: Oxford University Press.

38.

Bolier, L., Haverman, M., Westerhof, G. J., Riper, H., Smit, F., & Bohlmeijer, E. (2013). Positive psychology interventions: a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studies. BMC Public Health, 13(1), 119.

39.

Dunst, C. J., Hamby, D. W., & Trivette, C. M. (2004). Guidelines for calculating effect sizes for practice-based research syntheses. Centerscope, 3(1), 1-10.

40.

Fredrickson, B. L. (2001). The role of positive emotions in positive psychology: The broaden-and-build theory of positive emotions. American Psychologist, 56(3), 218-226.

41.

Fredrickson, B. L., & Losada, M. F. (2005). Positive affect and the complex dynamics of human flourishing. American Psychologist, 60(7), 678-686.

42.

Graham, J. R. (2012). MMPI-2: 성격 및 정신병리 평가 (이훈진, 문혜신, 박현진, 유성진, 김지영 역). 서울: 시그마프레스. (원전은 2005에 출판).

43.

Kelly, D. R., Matthews, M. D., & Bartone, P. T. (2014). Grit and hardiness as predictors of performance among West Point cadets. Military Psychology, 26(4), 327-342.

44.

Keyes, C. L. M. (2002). The mental health continuum: From languishing to flourishing in life.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43(2), 207-222.

45.

Keyes, C. L. M. (2003). Complete mental health: An agenda for the 21st century. In C. L. M. Keyes & J. Haidt (Eds.), Flourishing: Positive psychology and the life well-lived (pp. 293-312).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46.

Keyes, C. L. M. (2004). The nexus of cardiovascular disease and depression revisited: The complete mental health perspective and the moderating role of age and gender. Aging and Mental Health, 8(3), 266-274.

47.

Keyes, C. L. M. (2005). Mental illness and/or mental health? Investigating axioms of the complete state model of health.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73(3), 539-548.

48.

Keyes, C. L. M. (2007). Promoting and protecting mental health as flourishing: A complementary strategy for improving national mental health. American Psychologist, 62(2), 95-108.

49.

Keyes, C. L. M., & Lopez, S. J. (2002). Toward a science of mental health: Positive directions in diagnosis and interventions. In C. R. Snyder & S. J. Lopez (Eds.), Handbook of positive psychology (pp. 45-59).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50.

Larner, B., & Blow, A. (2011). A model of meaning-making coping and growth in combat veterans. Review of General Psychology, 15(3), 187-197.

51.

Lyubomirsky, S., Dickerhoof, R., Boehm, J. K., & Sheldon, K. M. (2011). Becoming happier takes both a will and a proper way: an experimental longitudinal intervention to boost well-being. Emotion, 11(2), 391-402.

52.

McCarthy, D. (1964). Mental Fitness. American Psychologist, 19(3), 201-202.

53.

Peterson, C., Park, N., & Castro, C. A. (2011). Assessment for the US Army Comprehensive Soldier Fitness program: The Global Assessment Tool. American Psychologist, 66(1), 10-18.

54.

Peterson C., & Seligman M. E. P. (2004). Character strengths and virtues. Oxford, UK: Oxford University Press.

55.

Rashid, T., & Anjum, A. (2008). Positive psychotherapy for young adults and children. In J. R. Z. Abela & B. L. Hankin (Eds.), Handbook of depression in children and adolescents (pp. 250-287). New York: Guilford Press.

56.

Seligman, M. E. P. (2002). Authentic happiness: Using the new positive psychology to realize your potential for lasting fulfillment. New York: Free Press.

57.

Seligman, M. E. P. (2011). 플로리시 (우문식과 윤상윤 역). 서울: 물푸레. (원전은 2011에 출판).

58.

Seligman, M. E. P., & Csikszentmihalyi, M. (2000). Positive psychology: an introduction. American Psychologist, 55, 5-14.

59.

Seligman, M. E. P., Steen, T. A., Park, N., & Peterson, C. (2005). Positive psychology progress: empirical validation of interventions. American psychologist, 60(5), 410-421.

60.

Seligman, M. E., Rashid, T., & Parks, A. C. (2006). Positive psychotherapy. American psychologist, 61(8), 774.

61.

Sin, N. L., & Lyubomirsky, S. (2009). Enhancing well‐being and alleviating depressive symptoms with positive psychology interventions: A practice‐friendly meta‐analysis.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65(5), 467-487.

62.

Stouffer, S. A., Suchman, E. A., DeVinney, L. C., Star, S. A., & Williams, R. B., Jr. (1949). The American soldier: Adjustment during military life. New Jersey: Princeton University Press.

63.

Vaillant, G. E. (2010). 행복의 조건 (이덕남 역). 서울: 프런티어. (원전은 2008에 출판).

64.

Watson, D., Clark, L. A., & Tellegen, A. (1988).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brief measures of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The PANAS scal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4(6), 1063-1070.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