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메뉴

권호 목록

육군 초급간부의 관계갈등과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이 방어적 침묵에 미치는 영향: 집단자존감의 조절된 매개효과
임정인(연세대학교) ; 손영우(연세대학교) pp.123-146 https://doi.org/10.24230/ksiop.30.2.201705.12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육군 초급간부의 관계갈등과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이 방어적 침묵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것이었으며, 구체적으로 관계갈등과 방어적 침묵의 관계에서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또한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이 방어적 침묵에 영향을 미칠 때 집단자존감의 조절효과와 관계갈등이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을 거쳐 방어적 침묵에 미치는 간접효과에 대한 집단자존감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가설들을 검증하기 위해 육군의 다양한 부대에 근무 중인 초급간부 202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관계갈등,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방어적 침묵 및 집단자존감 등이 측정되었다. 측정변인들에 대하여 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육군 초급간부의 관계갈등은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에,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은 방어적 침묵에 각각 정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이 관계갈등과 방어적 침묵의 사이에서 매개변인으로 투입되었을 때 간접효과가 유의하게 확인되었고, 구체적으로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또한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방어적 침묵의 관계에서 집단자존감의 조절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구체적으로 집단자존감이 낮을 때,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이 방어적 침묵에 미치는 정적 영향이 더욱 컸다. 추가적으로 조절된 매개모형 분석이 실시되었으며, 이 때 관계갈등이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을 거쳐 방어적 침묵에 미치는 간접효과를 집단자존감이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나 조절된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논의에서 본 연구결과에 대한 해석과 의의, 시사점, 한계 및 향후 연구 방향 등이 논의되었다.

Abstract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ROK Army junior leader’s relationship conflict and fear of negative evaluation (FNE) on defensive silence and to specifically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FN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elationship conflict and defensive silence. The secondary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moderating effect of collective self-esteem (CS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NE and defensive silence an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CSE on the conditional direct effect of FNE. A total of 202 ROK Army junior leaders participated in this survey and we measured relationship conflict, FNE, defensive silence, and CSE. Using IBM SPSS 21.0 program, results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showed that relationship conflict was positively related to FNE and FNE was positively related to defensive silence. FNE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relationship conflict and defensive silence. Also, the moderating effect of CS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NE and defensive silence was significant, suggesting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FNE and defensive silence was stronger when CSE was low than high. Additionally,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was significant, suggesting that CSE moderated the mediating effect of FN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elationship conflict and defensive silence. Lastly, the results,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개인-직무 부합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조절효과
정유선(전남대학교) ; 박형인(전남대학교) pp.147-176 https://doi.org/10.24230/ksiop.30.2.201705.14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개인-직무 부합과 이직의도 간의 관계에서 심리적 임파워먼트가 조절효과를 보이는지를 검정하였다. 개인-직무 부합은 사회관계 차원과 리더십 차원에서의 요구-능력 부합으로 측정하였고, 심리적 임파워먼트는 의미, 유능감, 결정력, 그리고 영향력의 네 가지 하위차원으로 측정하였다. 먼저 개인 능력과 직무 요구가 서로 불일치할 때 이직의도가 증가하는지 조사하고, 나아가 그러한 관계를 심리적 임파워먼트가 완화하는지를 살펴보았다. 전일제 근무 직장인 415명을 대상으로 다항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요구-능력 부합과 이직의도 간의 관계는 개인 능력과 직무 요구의 불일치 방향에 따라 각각 다른 양상을 보였다. 요구-능력 부합과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상호작용 효과를 알아본 결과, 사회관계 차원에서의 요구-능력 부합과 유능감의 상호작용 효과만 제외하고 나머지 일곱 개의 결과에서 예측한 방향대로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개인과 직무가 불일치할 때 심리적 임파워먼트를 부여하는 것이 개인-직무 불일치의 부정적 결과인 이직의도를 경감시키는 자원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oderating effects of psychological empowerment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person-job (P-J) fit and turnover intention. P-J fit was measured using demands-abilities (D-A) fit on two job dimensions: social interaction and leadership. Psychological empowerment was assessed using four sub-types: meaning, competence, self-determination, and impact. First, we investigated whether mismatch between job demands and personal abilities would be related to increased turnover intention. We also examined whether psychological empowerment would mitigate these relationships. Data were collected from 415 full-time workers. The results from polynomial regressions showed that the relationships of D-A fit with turnover intention we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direction and the dimensions of misfit. The interaction between D-A fit and psychological empowerment was found as expected in seven out of eight cases in total, except for the interaction between D-A fit in social interaction and competence. These results imply that psychological empowerment, as a job resource, could ameliorate the negative impacts of P-J misfit on turnover intention.

불확실성에 대한 적응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역할모호와 직무만족의 매개효과
박지훈(가톨릭대학교) ; 정승철(가톨릭대학교) pp.177-194 https://doi.org/10.24230/ksiop.30.2.201705.17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불확실성에 대한 적응성이 조직 환경에 대한 인식과 직무만족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과정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차적으로 역할모호가 직무만족의 매개를 통하여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확인하였고, 2차적으로 불확실성에 대한 적응성이 이러한 모형에 선행하는 개인특성적 요인이 될 수 있는지를 검증하였다. 분석의 결과, 1차 매개모형에서 역할모호의 이직의도에 대한 직접효과와 직무만족의 매개를 통한 간접효과 모두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1차 모형에 불확실성에 대한 적응성을 추가한 2차 매개모형에서, 불확실성에 대한 적응성은 이직의도를 줄이는 직접효과는 유의했지만 직무만족에 대한 직접효과는 유의하지 않았으며, 1차 모형에서 검증된 직접효과와 간접효과 모두에 대해서는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서 불확실성에 대한 적응성이 역할모호에 대한 인식의 수준에 영향을 주고, 역할모호가 다시 직접적으로 혹은 직무만족의 매개를 통하여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이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이 논의되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the meaning of psychological adaptability in uncertain work environment. At first, we verified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ole ambiguity and turnover intention. To this mediating effect model, then, we added adaptability for uncertainty as an antecedent variable: a serial multiple mediating effect of role ambiguity and job satisfaction.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was verified and the serial multiple mediation effect of role ambiguity and job satisfaction was significant as well as the direct effect of adaptability for uncertainty on turnover intention. In addition, role ambiguity had mediation effect between adaptability and turnover intention, but job satisfaction did not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daptability for uncertainty and turnover intention. These results mean that, on the one hand, adaptability for uncertainty reduces turnover intention directly, and on the other hand, indirectly through role ambiguity alone or role ambiguity and job satisfaction in serial. The implication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완벽주의가 능동-수동 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목표지향성의 매개효과
최민식(광운대학교) ; 유태용(광운대학교) pp.195-219 https://doi.org/10.24230/ksiop.30.2.201705.19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개인의 완벽주의가 능동-수동 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학습목표지향성과 회피목표지향성의 매개효과를 밝히는 데 있다. 연구를 위해 다양한 기업에서 일하는 직장인 22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결과, 완벽주의의 하위차원 중 개인기준 완벽주의는 학습목표지향성과 정적인 관계, 회피목표지향성과 부적인 관계를 보였다. 반면 평가염려 완벽주의는 회피목표지향성과 정적인 관계, 학습목표지향성과 부적인 관계를 보였다. 목표지향성과 능동-수동 지연행동과의 관계에서 학습목표지향성은 능동 지연행동과 정적인 관계, 수동 지연행동과 부적인 관계를 보였으며, 회피목표지향성은 수동 지연행동과 정적인 관계, 능동 지연행동과는 부적인 관계가 나타났다. 개인기준 완벽주의와 평가염려 완벽주의가 능동-수동 지연행동에 미치는 과정에서 회피목표지향성은 완전매개효과를 보였다. 또한 개인기준 완벽주의가 능동-수동 지연행동에 미치는 과정에서 학습목표지향성은 완전매개효과를 나타내었다. 마지막으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시사점, 제한점과 향후 연구과제를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goal orient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ployee’s perfectionism and active-passive procrastination. Data were collected from 227 Korean employees who were working in various organization. First,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ly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standards perfectionism and learning goal orientation, and significantly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standards perfectionism and avoiding goal orientation.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evaluative concerns perfectionism and learning goal orientation, and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evaluative concerns perfectionism and avoiding goal orientation. Second, the learning goal orientation positively related with active procrastination and negatively related with passive procrastination. On the other hand, the avoiding goal orientation positively related with passive procrastination and negatively related with active procrastination. Third, there were full mediating effects of avoiding goal orient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ectionism and active-passive procrastination. Based on the results, we discussed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the directions for the future research.

강점코칭프로그램이 직장인의 강점자기효능감, 긍정정서, 자기효능감, 직무열의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선혜영(광운대학교) ; 김수연(광운대학교) ; 이미애(광운대학교) ; 탁진국(광운대학교) pp.221-246 https://doi.org/10.24230/ksiop.30.2.201705.22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강점인식 및 활용을 돕는 코칭이 직장인들의 강점자기효능감, 긍정정서, 자기효능감, 직무열의와 조직몰입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소재 직장인 43명이 참여하였고, 실험집단 21명과 통제집단 22명으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실험집단 21명을 대상으로는 일대일 강점코칭프로그램을 주 1회 60분씩 5회기 과정으로 진행하였다. 코칭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전체에게 사전, 사후, 추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을 통하여 두 집단의 동질성을 확인한 후 사전, 사후에 대한 시점과 실험, 통제집단 간 상호작용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일대일 강점코칭프로그램 실시 후 강점자기효능감, 긍정정서, 자기효능감, 직무열의와 조직몰입이 유의미하게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프로그램 종료 후 3개월 시점에서도 프로그램의 효과가 지속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직장인의 강점 인식 및 활용을 돕는 강점코칭은 직장인의 강점자기효능감을 높이고, 긍정정서, 자기효능감, 직무열의 및 조직몰입을 향상시킨다는 것이 검증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추후연구를 위한 제안 등에 관하여 논의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effects of strengths coaching program on strengths self efficacy, positive affect, self efficacy, work engage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based on Korean employees. Participants were 43 Korean employees, 21 for the experiment group and 22 for the control group. Data were collected across three times(pre, post, follow-up). To measure overall effects, strengths self efficacy, positive affect, self efficacy, work engage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ere measured.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 between time interval and groups for all the dependent variables, confirming the effects of the coaching program. Also, there were non significant effects of time interval(post and follow-up) for all the dependent variables, confirming the duration of the program effect across time. Finally,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공감모듈과 긍정심리자본이 직무만족과 행복에 미치는 영향
김현희(대전대학교) ; 김민숙(대전대학교) ; 엄미아(대전대학교) ; 허순향(대전대학교) ; 남승규(대전대학교) pp.247-273 https://doi.org/10.24230/ksiop.30.2.201705.247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행복교육을 실현하기 위한 전제조건으로서 교사의 삶의 질을 제고하기 위한 방안을 찾고자 대전광역시 공립유치원 및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교사 249명을 대상으로 하여 공감모듈과 긍정심리자본이 그들의 직무만족과 행복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자료는 공감모듈, 긍정심리자본, 직무만족, 및 행복에 대한 척도들로 구성된 질문지를 통하여 수집하였다. 통계분석은 사용된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는 내적일관성계수와 요인분석을 통하여 확인하였고, 포함된 4가지 변수의 관련성은 상관분석을 통하여 확인하였으며, 공감모듈과 긍정심리자본에 따른 교사의 직무만족과 행복의 차이는 이원분산분석으로 알아보았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감성형 공감모듈을 사용하는 교사집단이 이성형 공감모듈을 사용하는 교사집단보다 직무만족도가 더 높을 것이다.’라는 가설 I과 ‘긍정심리자본이 높은 교사집단이 낮은 교사집단보다 직무만족도가 더 높을 것이다.’라는 가설 II는 지지되었지만, ‘감성형 공감모듈을 사용하고 긍정심리자본이 높은 교사집단이 다른 교사집단보다 직무만족도가 더 높을 것이다.’라는 가설 III는 지지되지 않았다. 또한 ‘감성형 공감모듈을 사용하는 교사집단이 이성형 공감모듈을 사용하는 교사집단보다 행복도가 더 높을 것이다.’라는 가설 IV와 ‘긍정심리자본이 높은 교사집단이 낮은 교사집단보다 행복도가 더 높을 것이다.’라는 가설 V는 지지되었지만, ‘감성형 공감모듈을 사용하고 긍정심리자본이 높은 교사집단이 다른 교사집단보다 행복도가 더 높을 것이다.’라는 가설 VI는 지지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교사의 직무만족과 행복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교류와 소통과정에서 감성형 공감모듈을 더 많이 사용하고, 긍정심리자본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기 때문에, 감성형 공감모듈을 더 많이 활용하고, 긍정심리자본을 제고시킬 수 있는 다양한 교육과 실무방안을 마련하여 제공하여야 할 것이다. 끝으로, 연구의 제한점과 앞으로의 연구방향을 논의하였다.

Abstract

This research aims to study the effects of sympathy module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happiness. The research was conducted to seek a way to improve quality of teacher's lives, precondition of education for teachers and students' happiness, with 249 teachers of public kindergartens, elementary schools, middle schools and high schools in Daejeon city. The data was collected based on questionnaires consisting of some scales such as sympathy module, psychological capital, job satisfaction and happiness. In statistical analysis, reliability and validity on that scale were conducted through internal consistency coefficient and factor analysis, the relationship among 4 scales was found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ir job satisfaction and happiness by sympathy module and psychological capitals was seen by performing the two-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 The research result shows that hypothesis Ⅰ'teacher group with affective sympathetic module has more job satisfaction than that group with reasonable sympathetic module' and hypothesis Ⅱ 'teacher group with higher levels of psychological capital has more job satisfaction than that group with lower levels of one' were supported. However, the result indicated that hypothesis Ⅲ 'teacher group with affective sympathetic module and higher levels of psychological capital has more job satisfaction than the other group was not supported. Furthermore, hypothesis Ⅳ'teacher group with affective sympathy module has higher level of happiness than that group with reasonable sympathetic module and hypothesis Ⅴ' teacher group with higher levels of psychological capital has more happiness than that group with lower one were supported. However, the result found that hypothesis Ⅵ 'teacher group with affective sympathetic module and higher levels of psychological capital has more happiness than the other group was not supported. The research result demonstrates that the more affective sympathetic module and improved psychological capital enables to increase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happiness in exchange and communication process. The result gives an opportunity to seek a variety of education and practical method for more effective sympathetic module and increased psychological capital. In conclusion, limitation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through this research.

군 생활 적응 증진을 위한 멘탈 휘트니스 긍정심리 프로그램의 효과
김민순(고려대학교) ; 김현진(고려대학교) ; 고영건(고려대학교) pp.275-298 https://doi.org/10.24230/ksiop.30.2.201705.27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군 생활 적응 증진을 위한 멘탈 휘트니스 긍정심리(Mental Fitness Positive Psychology; MFPP) 프로그램의 효과를 살펴보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해 멘탈 휘트니스 긍정심리 프로그램(고영건, 김진영, 2012)을 한국군 실정에 맞추어 재구성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78명의 병사들은 MFPP 집단 35명과 통제집단 43명이었다. 본 연구 결과, MFPP 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군 생활 적응기능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였으며 군 생활 스트레스도 감소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본 MFPP 프로그램이 6회기의 단기 개입이었음에도 불구하고 병사들의 군 생활 적응을 향상 시키는 데 효과가 있음을 시사한다. 끝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 및 앞으로의 연구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s of Mental Fitness Positive Psychology; MFPP) program for improvement of adjustment to military life. In the present study, the Mental Fitness program (Kim & Ko, 2009) was adapted for the Korean Army. A total of 78 military soldier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he MFPP group (n=35) and control group (n=43).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are as follows: relative to the comparison group, the MFPP group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of military life stress and a significant improvement of adjustment to military life.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 spite of a short-term intervention consisting of 6 weekly sessions, the MFPP program adapted for military soldiers was effective in enhancing soldiers' adjustment to military life. Lastly, the implications of the present study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addressed.

다자간 협상에서 목표 설정과 피드백 효과
노혜경(숙명여자대학교) pp.299-328 https://doi.org/10.24230/ksiop.30.2.201705.299
초록보기
초록

집단이나 조직 내 갈등의 중요한 원인 중 하나는 상충하는 이해관계이다. 선행 연구들이 주로 양자 간의 갈등해결에 집중하였다면 본 논문은 다수의 의사결정자들이 서로의 이해관계를 인식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협상방식을 살펴보았다. 다자 협상은 양자 협상에 비해 복잡성이 현저히 높기 때문에 양자 협상에서 흔히 사용하는 전략으로는 원만한 타결이 어렵다. 본 연구는 다자간의 복합적 이해구조의 상황에서 목표 설정과 피드백이 협상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세 차례의 실험 연구를 통해 이해관계가 복잡한 조건에서 실제로 원만한 협상 타결이 더 어려우며, 높은 목표의 설정이 다자간 협상에서는 오히려 부정적 결과를 초래하며, 대안 옵션을 유연하게 비교하도록 유도하는 피드백은 적절한 협상 전략을 찾고 더 좋은 협상 결과에 도달하는데 도움이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의의와 추후 기초 및 응용 연구의 필요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Abstract

Multilateral negotiation is a difficult task for the amicable settlement because of its structural complexity. Therefore, the strategy of problem solving which is commonly used in bilateral negotiation is not readily applicable. This study tries to find an integrative strategy in multilateral negotiations that brings all win-win benefts rather than competition or coaltion for some.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multilateral negotiation, the effects of Goal Setting and Feedback were tested. With the 3 studies it was found that amicalbe netotiation is really difficult if the interest structure is incompatible, higher Goal Setting bring rather negative negotiation results, and feedbacks, which lead to the flexible search to the alternative options, are very helpful for good results. We discussed the theoretical extension and the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se studies.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