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미국, 영국, 캐나다, 호주의 15개 정부연구비지원기관에서 제공하는 데이터관리 정책을 분석하여 국내 데이터 정책 개발을 위한 참고사항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데이터 정책의 내용 분석을 위해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1) 데이터의 정의, 2) 데이터관리 원칙, 3) 데이터관리 계획, 4) 데이터관리 실행, 5) 법적․윤리적 측면의 5가지 기준을 제시하였다. 분석 결과 이러한 내용들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데이터정책은 존재하지 않았지만 다수의 기관들이 분석기준으로 제시된 내용들을 정책에서 공통적으로 다루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제시된 데이터 정책 개발을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비를 지원하는 학문 분야의 데이터 생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데이터의 정의와 유형을 제시하여 관리대상을 명확히 한다. 둘째, 국내 연구데이터 관리에 적용할 수 있는 데이터관리 원칙을 수립하고 이를 정책에 제시한다. 셋째, 연구자들의 데이터관리에 대한 책임을 강화할 수 있는 데이터관리계획 도입을 검토한다. 넷째, 연구자들의 데이터 공유를 촉진하고 지원할 수 있는 데이터관리 실행 내용을 정책에 명시한다. 다섯째, 데이터 공유의 근거가 되는 법제도의 적용 및 개선방안을 검토하여 데이터 공유와 관련된 법적․윤리적 문제를 최소화하는 정책을 마련한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data management policies offered by 15 government funding agencies in the U.S., UK, Canada, and Australia, and to make recommendations for developing data management policies in Korea. For the analysis of data management policies, five criteria were suggested based on literature review as follows: 1) the definition of research data, 2) principles of data management, 3) data management plan, 4) the implementation of data management, 5) legal and ethical issues. It was found that there was no policy that covers all the criteria for the analysis. Several funding agencies, however, commonly dealt with each criteria in their data management policies. Based on the findings from the analysis, this study made the following suggestions: First, data policies provide definitions and types of research data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data creation in the fields of funding interests. Second, data policies include principles of data management applicable to data practices in Korea. Third, data policies implement data management plans to promote responsibility of researchers for managing data. Fourth, data policies specify data management implementations to facilitate and support data sharing practices. Fifth, data policies should minimize legal and ethical challenges in data sharing through the review of the applicability of related laws and regulations and their improvement.
김지현. 2012. 대학 내 연구자들의 연구데이터 관리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3(3): 433-455.
박동진. 2011. 오스트레일리아의 과학데이터 서비스 체제(ANDS) 분석과 시사점. ..디지털정책연구.., 9(3): 1-10.
신영란, 정연경. 2012. 국내 인문사회 연구데이터 아카이브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2(3): 93-115.
윤종민, 김규빈. 2013. 과학데이터에 대한 입법례와 관리정책 그리고 대응방안: 호주, 미국, 중국을중심으로. ..기술혁신학회지.., 16(1): 63-100.
Borgman, C. 2008. “Data, Disciplines, and Scholarly Publishing.” Learned Publishing, 21: 29-38.
Donnelly. M., Jones, S., & Pattenden-Fail, J. W. 2010. “DMP Online: The Digital Curation Centre’s Web-based Tool for Creating, Maintaining and Exporting Data Management Plans.” International Journal of Digital Curation, 5(1): 187-193.
Haendel M.A., Vasilevsky, N.A., & Wirz, J.A. 2012. “Dealing with Data: A Case Study on Information and Data Management Literacy.” PLoS Biol 10(5): e1001339.
Johnston, L., Lafferty, M., & Petsan, B. 2012. “Training Researchers on Data Management: A Scalable, Cross-Disciplinary Approach.” Journal of eScience Librarianship, 1(2). [cited 2013.7.15]. <http://dx.doi.org/10.7191/jeslib.2012.1012>.
Jones, S. 2009. A Report on the Range of Policies Required for and related to Digital Curation. Digital Curation Centre, University of Glasgow.
Jones, S. 2012. “Developments in Research Funder Data Policy.” International Journal of Data Curation, 7(1): 114-125. [cited 2013.7.15]. <http://www.ijdc.net/index.php/ijdc/article/view/209>.
National Science Foundation. 2011. Digital Research Data Sharing and Management. Task Force on Data Policies, Committee on Strategy and Budget, National Science Board.
Research Data Strategy Working Group. 2011. Mapping the Data Landscape: Report of the 2011 Canadian Research Data Summit.
Treloar, Andrew. 2009.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 Australian National Data Service.” International Journal of Digital Curation, 1(4): 125-1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