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225-598X
  • E-ISSN2982-6292
곽동철(청주대학교) ; 윤정옥(청주대학교) ; 김용환(청주대학교) pp.21-39 https://doi.org/10.4275/KSLIS.2020.54.3.021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의 목표는 강원도 교육청 소속 22개 교육문화관(도서관)이 지역사회 내 교육, 지식과 문화공간으로서 공공도서관 입지를 더욱 확고히 하고, 지역 발전에 기여하는 데 필요한 중․장기 발전계획을 수립하고, 미래를 향한 정책적 지향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문헌 및 웹사이트 조사, 각종 공공도서관 통계 분석, 2019년 11월부터 12월 사이 도서관 이용자 설문조사와 전문가 심층인터뷰를 통해 강원도 교육문화관(도서관)의 현황 및 요구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사명을 도출하고, 비전, 목표, 전략, 핵심과제를 체계화하여 교육문화관(도서관) 정책 기반 강화, 교육 중심 특화장서 개발 및 구성, 이용자 친화적인 공간 재구성 및 지자체 도서관과 차별화된 서비스 제공이라는 4개 전략목표 및 16개 핵심 추진사업을 제안하였다. 강원도 교육문화관(도서관)의 운영 활성화에는 도서관 건물과 시설, 장서와 서비스, 사서 전문인력을 핵심으로 하는 하드웨어(HW), 소프트웨어(SW), 및 휴먼웨어(HW)의 3개 요소 전반의 개선 및 강화가 필요하였다. 본 연구는 이를 위해 미래에 지속 가능한 발전방안을 제시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build a mid- and long-term strategic plan for strengthening the status of Gangwon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as public libraries with the main functions of education, knowledge and culture in the community and helping facilitate the local growth. The current status and needs of Gangwon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was analyzed with a review of literature and websites, various library statistics, and user surveys and professional focus group interviews conducted during November and December 2019. Based on this analysis, a mission, vision, objectives, strategies, and main tasks of Gangwon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were established, and 4 strategic goals and 16 major projects were drawn to strengthen the strategic basis of 22 libraries, build specialized collections with a focus on education, recreate user-friendly spaces, and promote services, distinguished from public libraries under the supervision of Gangwon local government. It was necessary for Gangwon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to enhance and strengthen all of Hardware, Software and Human-ware, equipped with well-organized library building and facilities, collection and services, and professional librarians. In this research, the direction of a mid- and long-term strategic plan was presented for its dynamic operation and sustainable development in the future.

조현양(경기대학교) pp.41-69 https://doi.org/10.4275/KSLIS.2020.54.3.041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이용자 선호도 및 관심분야 정보 수집을 위한 웹 기반의 프로파일링 모델을 활용하여 이용자 선호도 기반의 대체자료 추천 시스템의 개발과 정보 추천 모델의 핵심이 되는 도서자동분류엔진을 설계하고 시범 구축하는 것이다. 이용자 선호도 기반의 대체자료 선정 방법론을 개발하기 위해 국가대체자료공유시스템인 DREAM의 이용자 대체자료 이용 내역을 분석하여 KDC의 10개 주제 분야별 대체자료에 대한 이용자 선호도를 조사하였다. 이용 내역 데이터의 표제 정보를 분석하여 주제 분야별로 그리고 조사대상 기간별로 관심 키워드를 도출하였으며, 도출된 키워드를 주제 분야별로 순위화하였다. 주제별과 기간별로 순위화된 키워드는 이용자 선호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출판된 도서 가운데 대체자료 제작 대상을 선정하는데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이용자 선호도 기반의 대체자료 선정을 위하여 국립장애인도서관의 내부 데이터뿐만 아니라 타 도서관이나 다양한 유관 기관의 서비스 및 이용 내역을 반영하기 위한 연계방안을 제안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and develop a alternative material recommendation system using automatic classification, based on user preference. Details of usage data by users from DREAM was analysed in order to develop the way of a method on selecting proper alternative material, and then the data by user preference were allocated under each category of 10 KDC categories. The keyword, selected from the title of users’ usage data from a certain period of time, were divided into 10 subject categories and ranked by the order of frequency of appearance. Books including high frequency of the keyword in title can be selected as a preferred target for producing alternative materials. Lastly, a dynamic linkage for sharing usage data among National Library for the Disabled and other libraries is proposed to produce more proper alternative materials, based on user preference.

노영희(건국대학교) ; 최만호(건국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김윤정(건국대학교 GLOCAL(글로컬)캠퍼스 지식콘텐츠연구소) ; 장로사(중앙대학교 문헌정보학과) pp.71-95 https://doi.org/10.4275/KSLIS.2020.54.3.071
초록보기
초록

국내 작은도서관이 가장 많이 소재하고 있는 경기도에는 공동주택단지 내 작은도서관의 비율이 42%에 이르고 있으나, 법적 의무에 의해 설립된 도서관들이 자발적 의지에 의존하여 관리․운영됨에 따라 휴관․폐관되는 사례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공동주택단지 내 작은도서관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단지 내 마을 공동체의 구심점 역할을 통해 활성화의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타당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작은도서관의 현황 조사, 경기도 및 31개 시군의 공동주택단지 내 작은도서관 운영자 및 관계자 대상의 설문조사와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공동주택단지내 작은도서관 운영의 실제적인 활성화 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작은도서관에 대한 공동체 인식 개선, 자체 운영 능력 배양, 법․제도 개선, 지자체의 지원 강화의 4가지 목표를 설정하여 실천방안을 도출하였다. 사회의 변화에 따른 경기도 공동주택단지 내 작은도서관 뿐 아니라 타 사립작은도서관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한 연구도 수행될 필요가 있다.

Abstract

In Gyeonggi-do(province), where the largest number of small libraries are located in Korea, 42% of small libraries are located in apartment complexes. However, as libraries established under legal obligations are managed and operated on voluntary will, there have been numerous ongoing cases of temporary closure or permanent shut down. To revitalize small libraries in apartment complexes, it is reasonable to seek ways to revitalize them through the role of the central point of the village community in the complex. To that end, this study surveyed the current status of small libraries in Gyeonggi-do, a survey of small library operators and related persons in apartment housing complexes and similar residential communities in Gyeonggi-do and 31 cities and counties. Based on this, this study was intended to derive practical measures to revitalize the operation and preservation of small libraries in such residential communities. Four goals were set to improve community awareness of small libraries, cultivate self-operating abilities, improve laws and systems, and strengthen support for local governments. Research needs to be carried out not only for small libraries in apartment complexes in Gyeonggi-do but also for the continued development of other small private libraries.

장윤금(숙명여자대학교) ; 이혜은(숙명여자대학교) ; 모영규(숙명여자대학교) ; 전경선(숙명여자대학교) pp.97-114 https://doi.org/10.4275/KSLIS.2020.54.3.09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국내 대학도서관진흥종합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는 주요 정책과제 개발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외 대학도서관 발전계획 관련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대학도서관의 비전 및 역할, 정보자원, 연구지원, 교수학습 및 서비스 등의 기본 요인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요인을 기반으로 14개 대학 도서관 사서를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한 결과 1계층 4개 분야, 2계층 12개 추진과제, 3계층 24개 세부과제가 도출되었다. 인터뷰에서 도출된 정책과제에 대한 중요도 및 우선순위를 파악하기 위하여 학계 및 현장 전문가 6명을 대상으로 계층적 분석 방법(AHP)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중요도가 높은 분야 및 추진과제를 중심으로 ‘학술정보자원 확충 및 공동 활용’, ‘학습․연구지원 큐레이션 서비스 확대’, ‘이용자 중심의 스마트 도서관 서비스 강화’, ‘법․제도적 기반 고도화’ 등 4대 분야 및 대학도서관 진흥 및 가치 제고를 위한 분야별 11개 추진과제, 23개 세부과제가 도출되었다.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plore key strategy areas for academic library development planning in Korea. This study started with components of an academic library development plan that were identified in a literature review; those components included among others the major roles, functions, resources, and teaching and research support services of academic libraries. Upon interviewing library staff from 14 academic libraries, this study initially categorized those components into 4 overarching strategy areas and further subdivided them into 12 key components and 24 sub-components. That initial categorization was then reviewed by 6 scholars and practitioners, applying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by which this study analyzed the level of importance and priority of the strategy areas and various components.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ultimately outlines 11 key components and 23 sub-components under the 4 strategy areas for academic libraries in Korea to take into consideration in their development planning.

백지원(숭의여자대학교 문헌정보과) ; 표순희(성균관대학교 정보관리연구소) pp.115-139 https://doi.org/10.4275/KSLIS.2020.54.3.11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점차 보편화되고 있는 공공도서관 테마 컬렉션 서비스의 효과를 이용자 관점에서 평가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테마 컬렉션의 효과 요소들을 서비스 이용, 사서, 도서관 차원에서 도출하였고, 테마 컬렉션 서비스를 주요한 도서관 서비스로 제공하고 있는 A공공도서관 이용자 294명을 대상으로 효과 인식에 대한 설문 조사를 수행하였다. 조사 결과, 테마 컬렉션을 알고 있는 이용자들의 장서 만족도가 그렇지 않은 이용자에 비해 높게 나타났고 생각지 못한 새로운 도서의 이용에 대한 만족에 높은 효과 인식을 보였다. 또한, 테마 컬렉션 효과 인식도 긍정적인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긍정적 인식은 오래전부터 도서관을 이용해왔던 이용자, 자주 이용하는 핵심 이용자들이 높은 경향을 보였고 브라우징을 많이 하는 이용자들일수록 사서의 역량에 대한 효과 인식도가 높았다. 이러한 테마 컬렉션에 대한 이용자 인식과 평가를 바탕으로 테마 컬렉션의 효과와 의의를 반영하여 장서개발, 장서의 활용 및 정보서비스 제공, 이용자 중심의 분류, 도서관 및 사서에 대한 인식 개선의 관점에서 테마 컬렉션 서비스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theme collection service in public library from the user's perspective. To this end, based on prior research, the effect elements of the theme collection were derived from the service use, librarian, and library level.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294 users of A public library. The collection satisfaction of users who know the theme collection was higher than those who did not, and showed high recognition for the satisfaction with the use of new and unexpected book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positive recognition tended to be high among users who have been using the library for a long time and frequently use the library service. Based on the users’ perception and evaluation of the theme collection,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of the theme collection service was suggested in terms of collection development, collection use and information service, user-centered classification, and awareness improvement of libraries and librarians.

강필수(㈜채움씨앤아이) ; 최시내(충남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곽승진(충남대학교) pp.141-163 https://doi.org/10.4275/KSLIS.2020.54.3.14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책이음서비스의 개선 및 발전 방향을 설정하기 위하여 책이음서비스 참여 지역센터 및 참여 도서관을 대상으로 한 현황조사와 이용자를 대상으로 한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이용자가 책이음서비스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했으나, 이용자와 관리자 측면에서의 서비스 개선과 다양한 고려사항이 존재하였다. 특히 미들웨어 서버의 불안정 문제 해결과 규정 개정의 필요성, 이용자 서비스의 확대와 실무 지원의 필요성이 확인되었다. 이를 위하여 책이음서비스 기능 개선과 신규 서비스 제공, 규정 개정과 관련 지침 개정 등 정책 지원과 서비스 운영을 위한 구체적 방안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책이음서비스 중장기 발전의 로드맵 제시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In this study, to set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and development Library One Service, a current status survey was conducted for regional centers and libraries participating in Library One Service, and satisfaction surveys were conducted for users. As a result, it confirms that the user had a positive perception of the Library One Service, but there were various considerations and service improvements from the user and manager side. In particular, the need to solve the problem of instability in the middleware server and to revise the regulations, and to expand the user service and support practical work was confirmed. So, this study proposed to improve the function of the Library One Service, provide new services, support policies such as revision of regulations and related guidelines, and provide practical support for a service operation. Through this study, it expects to be able to present a road map for mid- to long-term development of Library One Service.

임수인(중앙대학교) ; 이승민(중앙대학교) pp.165-186 https://doi.org/10.4275/KSLIS.2020.54.3.165
초록보기
초록

BIBFRAME은 기존의 MARC 구조를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서지 표준으로 인식되고 있으나, 기술항목의 방대함으로 인해 도서관계 현장에서 실제적으로 적용하는데 있어서는 여러 가지 한계를 보이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도서관 현장에서의 BIBFRAME의 적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BIBFRAME의 기술 수준 구분을 제안하였다. BIBFRAME의 기술 수준은 ISBD 2011 통합판의 서지영역을 기준으로 핵심, 표준, 상세 수준의 3단계로 구분하였으며, RDF/RDFS 구문을 적용하여 구분한 기술 수준을 의미적으로 구현하였다. BIBFRAME의 3단계 기술 수준은 Class Granularity 및 Class Element로 정의하였으며, Property Relation을 정의하여 각각의 기술 수준으로 구분된 Class와 BIBFRAME 기술항목을 연계할 수 있는 구문적 환경을 구현하였다. 이를 통해 BIBFRAME을 이용한 서지데이터의 생성과 공유에 있어서의 적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lthough BIBFRAME is recognized as a new bibliographic standard that can replace the existing MARC structure, the vastness of the descriptive items shows many limitations to be applied in library communities. Thus this study proposed separating the descriptive levels of BIBFRAME as a way to enhance the applicability of BIBFRAME. The descriptive level of BIBFRAME was divided into three stages: core, standard, and detailed levels based on the bibliographic area of ISBD 2011. This separation was semantically implemented using RDF/RDFS syntax. The levels of description in BIBFRAME was defined as Class Granularity and Class Element, and the Property Relation was defined for the linkage between the Classes defined and the BIBFRAME. By applying this syntactic structur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BIBFRAME descriptive items separated by each descriptive level could be linked with each other. This approach is expected to ensure applicability in the creation and sharing of bibliographic data using BIBFRAME.

한승희(서울여자대학교) ; 이혜원(서울여자대학교) pp.187-208 https://doi.org/10.4275/KSLIS.2020.54.3.187
초록보기
초록

오픈 에듀케이션이란 디지털 기술을 기반으로 교육 장벽을 해소하기 위해 전세계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운동이다. 점차 확산되고 있는 오픈 에듀케이션 환경에서 도서관의 교육적 기능을 어떻게 수행할 것인가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오픈 에듀케이션의 개념과 구성요소를 고찰하고, 오픈 에듀케이션 환경에서 도서관이 어떻게 교육적 기능을 수행할 것인지 그 접근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 연구의 결과는 도서관의 교육적 기능의 관점에서 도서관이 오픈 에듀케이션의 실행과 확산의 주체가 되고, 이를 위한 역할과 방향을 설정하는 데 있어 지침이 될 것이다.

Abstract

Open education is a worldwide movement to overcome educational barriers based on digital technology. It is necessary to discuss how to carry out the educational function of the library in the increasingly widespread open education environment. This study examines the concept and components of open education, and proposes an approach to how the library performs educational functions in an open education environ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serve as a guide in setting the role and direction for the library to become the subject of the implementation and spread of open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the library's educational function.

전정현(연세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이지연(연세대학교) pp.209-236 https://doi.org/10.4275/KSLIS.2020.54.3.20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이용자 경험의 관점에서 지식정보자원시스템을 평가하기 위한 이용자 경험 지표를 개발하였다. 선행연구에서 도출된 이용자 경험요인을 검증하고 지표로 개발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수행하였으며, 사전조사 158명, 본 조사 480명을 대상으로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는 기술통계, 탐색적 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경로분석을 통해 분석을 수행하였다. 수행결과 총 7개 경험요인, 37개 세부 경험요인, 105개 시스템 지각요인이 최종 지식정보자원시스템 이용자 경험 지표로 도출되었다. 도출된 이용자 경험 지표는 지식정보자원시스템 이용자들이 지각하는 이용자 경험 정도를 측정할 수 있으며, 검증된 평가지표로서 활용하여 각 경험요인에 대한 단순 비교가 아닌 상관관계가 반영된 실효성 있는 평가를 진행해 볼 수 있다는데 의의가 있다.

Abstract

This study describes a set of user experience indicators developed for the evaluation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resource systems. The user experience perspectives had emerged as a new analysis standard in the field of information media and information service research. The study included a survey conducted to verify the derived experience factors and developed them as indicators. The survey data was gathered from 158 participants in the preliminary and 480 participants in the main study. The applied analysis techniques were descriptive statistics,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correlation analysis, and the path analysis. The results introduced seven user experience factors, 37 detailed user experience factors, and 105 system perception factors as the final user experience indicators. The developed and verified indicators should measure the degree of user experience perceived by users of the knowledge and information resource system and conduct effective evaluations that reflect correlation rather than a simple comparison of each experience factor.

오선경(경상대학교) pp.237-262 https://doi.org/10.4275/KSLIS.2020.54.3.237
초록보기
초록

대학에서 시간강사는 교육과 연구를 통해 유능한 인재 배출, 연구 경쟁력 강화, 그리고 국가와 사회의 지식 및 학문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그러므로 시간강사를 위한 국가 및 대학의 학술연구정보서비스는 그들의 교육․연구 활동에 필수적이다. 이에 본 연구는 시간강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 방식을 적용하여 그들이 처한 정보환경과 정보요구 그리고 교육학술정보에 대한 인식도와 이용행태 등을 조사․분석하여 효율적인 교육학술정보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Abstract

Part-time instructors are contributing to the production of excellent human resources through education and research, strengthening research competitiveness, and national and social knowledge and academic development. Therefore, academic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s for part-time instructors are essential for their educational and research activities. In this study, researcher suggested various methods for providing efficient educational and academic information services by surveying and analyzing their information environment, information needs, and educational and academic information recognition and usage behavior by applying the survey method to part-time instructors.

박진호((주) 리스트) pp.263-283 https://doi.org/10.4275/KSLIS.2020.54.3.263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ISO/IEC 11179 표준을 준수하는 메타데이터 레지스트리(MDR) 시스템의 재설계와 구현에 관한 것이다. 재설계의 핵심은 MDR 시스템을 유지하면서 이용자들에게 실제로 필요한 핵심이라 할 수 있는 클래스(class), 속성(property), 값 영역(vlaue domain)의 코드값을 중심으로 시스템을 재편하는 것에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표준을 준수하는 운영 시스템이 필요하여, 그 대상을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의 MDR 시스템으로 하였다. 그 결과 재설계한 시스템은 표준에서 제시하고 있는 개념영역, 메타데이터 요소 개념, 메타데이터 요소, 값영역에 대한 이해 없이도 쉽게 특정 메타데이터의 검색과 활용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proposed a method to redesign the search system by extracting the class, property, and code values of value domain from the key elements of the MDR system that conforms to the ISO/IEC 11179 standard. To implement this, an operating system conforming to the standard is required. Therefore, this study targeted the MDR system of the Korea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ssociation.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redesigned MDR system can easily search and utilize specific metadata without understanding the conceptual domain, metadata element concept, metadata element, and value domain proposed in the standard.

정다희(동덕여자대학교) pp.285-314 https://doi.org/10.4275/KSLIS.2020.54.3.285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The healthcare environment is becoming increasingly dependent on health information technology (HIT), with healthcare providers, patients, and other people engaged in the field producing and sharing information to improve healthcare delivery. This focus has raised the issue of Health Information Infrastructure (HII) to the forefront of policy, design, and law. While several studies have examined each element of HII, little attention has been paid to the overall infrastructure as a collection of technologies, institutions, standards, and practices. In order to fill the gap, this study focuses on medication reconciliation as an example of the wider phenomenon of HII. In particular, the study examines a medication reconciliation process (MRP) as an example to understand the key challenges facing the development of HII, how the challenges are interrelated, and how they can be met as a whole. Following a mixed methodology, involving workflow study, focus group discussions, and in-depth interviews, the study examines “data friction” along technical, institutional, regulatory, and legal dimensions. This study constitutes one of the first efforts to comprehensively investigate health information infrastructure and how technology and other dimensions in infrastructure are interrelated. The study therefore contributes to a better understanding of HII and the practical challenges that hinder the seamless flow of information in the healthcare environment.

한국문헌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