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2466-2542
  • KCI
조용완(대구가톨릭대학교) pp.1-25 https://doi.org/10.16981/kliss.46.3.201509.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이동도서관의 인력, 차량, 장서 등 서비스 인프라를 중심으로 전반적 운영실태를 조사하여그 문제점들을 파악하고 개선방안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8개의 외국 이동도서관 관련 기준 및 지침들을활용하여 이동도서관의 기본 정보, 이동도서관 직원, 이동도서관 차량, 이동도서관 장서, 정보통신기술 등 서비스 인프라에대한 설문조사를 개발하고, 전국 77개의 공공도서관 소속 이동도서관과 새마을 이동도서관들을 대상으로 조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국내 이동도서관의 인력, 차량, 장서 등 서비스 인프라는 많은 항목에서 각국의 이동도서관 기준과 지침에부합하지 않는 상황이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이동도서관은 움직이는 또 하나의 분관이라는 인식 하에 인력, 차량, 장서 등 이동도서관의 서비스 인프라를 혁신하고, 국가적 차원에서 이동도서관 지원 정책을 강화해야 하며, 이동도서관을경제적 관점에서만 바라볼 것이 아니라 정보복지적 관점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bookmobile services in Korea, especially focusing on human resources, vehicles, and collections. To do this, a questionnaire that contained questions on basic information, human resources, vehicles, collections an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was developed on the basis of 8 standards and guidelines related to bookmobile services and 77 bookmobiles belonging to public libraries and Saemaul bookmobiles were surveyed. As a result, many parts of human resources, vehicles, and collections of bookmobiles in Korea were inadequate to standards and guidelines related to bookmobile services. At the end of this study, some suggestions are made for improving bookmobile services in Korea. First, the human resources, vehicles, and collections of bookmobiles need to be innovated. Second, national policies for bookmobile services need to be reinforced. Third, perspectives on bookmobile need to be modified from economic approach to information welfare approach.

이창수(경북대학교) pp.27-49 https://doi.org/10.16981/kliss.46.3.201509.27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RDA를 중심으로 FRAD, DACS2, KCR2 등을 분석한 것을 토대로 하여, 한국목록규칙에 있어가계의 속성과 관계의 기술에 대한 규정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가계의 속성 기술은 가계의 이름, 유형, 날짜, 장소, 저명인사, 세습칭호, 언어, 가계사, 식별기호에 관한 사항에 대해 분석하였다. 가계의 관계 기술은 저작과 관련된 가계, 표현형과 관련된 가계, 구현형과 관련된 가계, 개별자료와 관련된 가계 등 각각의 자원과 관련된 가계에 관한 기술을분석하였고, 가계와 개인 간의 관계, 가계와 가계 간의 관계, 가계와 단체 간의 관계에 대한 기술을 분석하였다. 이연구는 RDA를 중심으로 목록규칙들에서의 가계의 속성과 관계의 기술에 대하여 분석한 내용을 토대로 추후 한국목록규칙에 이를 적용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ways to apply describing attributes and relationships of families to Korean Cataloging Rules.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the FRAD conceptual model, and the cataloging rules such as RDA, DACS2 and KCR2 were analyzed. For describing attributes of families, this study analyzed name, type, date, place, prominent member, hereditary title, language, history, and identifier of families. For describing relationships of families, this study investigated describing relationships to families associated with each resource, such as a work, an expression, a manifestation, and an item, and describing relationships between families, relationships between families and persons, and relationships between families and corporate bodies. Based on these analyses, this study suggested the application methods of describing attributes and relationships of families in Korean Cataloging Rules.

김영기(경성대학교) ; 장덕현(부산대학교) ; 이용재(부산대학교) pp.51-70 https://doi.org/10.16981/kliss.46.3.201509.51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부산광역시 대표도서관인 부산대표도서관의 조직과 효율적인 운영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부산대표도서관은 ‘부산광역시 차원의 거점 도서관’, ‘정책도서관이자 연구도서관’, ‘부산학 도서관’ 등 복합적 성격을 갖는 도서관으로 그 성격을 규정하였으며, 부산대표도서관의 5대 핵심 기능은 도서관정책 수립, 지원협력, 자료보존, 정보서비스, 행정지원이다. 부산대표도서관의 기능과 역할의 원활한 수행을 위해서는 도서관정책과, 지원협력과, 자료보존팀, 정보서비스과, 행정지원과 등의 4과 1팀의 운영 조직이 필요하며, 관장은 3급 또는 개방형 직급으로, 각 과장은 4급 또는 5급으로, 그리고팀장은 5급 또는 6급의 직급으로 제안하였다. 부산대표도서관의 최소 필요 인력은 기반조성단계에서 행정직 10명, 사서직31명, 전산직 2명 등 모두 43명의 인력이, 정착단계에서는 각각 12명, 44명, 5명 등의 61명이 필요할 것으로 산출되었으며, 연간 운영 예산은 인건비 1,527,360천원, 자료구입비 735,000천원, 기타 운영비 2,130,000천원 등으로 연간 4,392,360 천원의 예산이 필요할 것으로 추정되었다.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organization and management plan for the new main library in Busan metropolitan city. The characteristics of the Busan Library was defined as follows: stronghold library of Busan, policy and research library, and research hub for Busan studies. The five core functions of the library are to be library policy making, support and collaboration, preservation, information services, and administrative support. In order to fulfill the duties and the roles of the library, it has been suggested to maintain 4 departments along with 1 team including the department of library policy, the department of support and collaboration, the department of information services, the department of administrative support, and the preservation team. It has also been suggested to secure proper number of personnel including 43 staff members for the opening of the library, which consist of 10 administrative staff, 31 librarians and 2 computer specialists. The annual operating budget has been estimated to 4.33 billion won including labor cost (1.53 billion won), acquisitions (.735 billion won) and, other operating cost (2.13 billion won).

임형연(경일대학교) pp.71-88 https://doi.org/10.16981/kliss.46.3.201509.71
초록보기
초록

러닝코먼스는 정보코먼스의 기반에서 도서관의 사명 달성을 위한 실천을 전제하고 있다. 이는 도서관의 미래에 대한 비전을 확장시킬 수 있는 개념이다. 러닝코먼스의 핵심 콘텐츠의 하나가 독서교육 서비스이다. 이를 위해서는 도서관 현장에서 독서지도를 지원하는 독서지도사 양성이 중요하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일본의 도서관에 있어서 독서교육 서비스 진작의 사례로서 독서관련 지도사 양성과정 사례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일본의 도서관은 독서교육 여건을 개선시키기 위해 독서교육을 위한 독서지도사를 양성함으로서 독서교육 서비스의 질을 개선하고 프로그램 이용도를 높여가고 있다. 둘째, 일본 도서관은 독서지도라는 사회적 필요를 도서관, 지방자치단체, 주민들이 협력하여 독서지도사 양성을 통해 해결해가고 있다. 이러한 사례는 한국에서도 도서관내 독서교육 서비스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프로그램을 적극적으로 담당하고 독서를 지도할 수 있는 인력 양성제도가 활성화 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Abstract

It had been said that reading education in Japan has a goal to ‘Lead children's character to a desirable direction’. Since the 2000s, Japan's reading activity was directly linked with an education program to improve children's education ability. These movements for reading in Japan is made more concrete by the ‘Promotion Act on Children's Reading Activities’. For improving the reading skills of the younger generation in Japan, cooperation among homes, regions, and schools is needed. As a result, Japan has an opportunity to build an educational infrastructure for reading support services. The library has also been given an enhanced role as a learning commons. In this background, this study tried to analyze the current state of Japan's reading instruction qualification system, and show their efforts to foster reading specialists for improving the reading skills of the younger generation. This will generate the momentum needed to have the library evolve into learning commons.

노영희(건국대학교) pp.89-118 https://doi.org/10.16981/kliss.46.3.201509.8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문헌정보학 교육과정에 캡스톤 디자인 과목을 개설하고 강의계획서 및 매뉴얼을 개발하여 적용하였으며, 교육전후 설문을 통하여 교과목 성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필요요소는 수행기대효과와 0.414의 정적(+) 상관관계를 보여주었으며 학습성과기대와는 0.452의 정적(+)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수행기대효과는 학습성과기대와0.767의 강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둘째, 캡스톤디자인 교과목에 대한 이해정도는 교육과정 수행 전 3.56이었으나 교육과정 수행 후 4.07로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캡스톤디자인 교과목의 필요요소에 대한 인식은 교육과정수행 전 4.13이었으나 교육과정 수행 후 4.39로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캡스톤디자인 교과목의 수행기대효과에대한 인식은 교육과정 수행 전 3.77이었으나 교육과정 수행 후 3.88로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캡스톤디자인교과목의 학습성과에 대한 인식은 교육과정 수행 전 3.79이었으나 교육과정 수행 후 4.22로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We had opened a course in the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curriculum, developed and applied a syllabus and some manuals for this course, and analyzed the performance by conducting a survey before and after the training. As the results, first, the necessary components showed a positive relationship of 0.414 with the expected performance effects and showed a positive relationship of 0.452 with the expected learning outcomes. Second, the understanding degree of the Capstone Design course was 3.56 before implementing the curriculum. It was improved to 4.07 after implementing the educational courses. Third, the recognition of the components necessary for the Capstone Design course was improved from 4.13 to 4.39 after carrying out the course. Fourth, the perception of the expected performance effects of the Capstone Design course was improved from 3.77 to 3.88 after the course execution. Fifth, the perception of the expected learning outcomes of the Capstone Design course was improved from 3.79 to 4.22 after the course implementation.

이병기(공주대학교) ; 송기호(공주대학교) ; 김성준(이리여자고등학교) pp.119-140 https://doi.org/10.16981/kliss.46.3.201509.119
초록보기
초록

국내외의 학교도서관 기준은 학생이 학교도서관을 통해 유익하고 즐거운 경험을 하도록 역할을 수행할 것을 제시하고있다. 이 연구는 칙센트미하이의 플로우 이론을 학교도서관 이용상황에 적용하여 학생의 플로우 경험이 학교도서관 이용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학교도서관 이용만족도를 종속변수로, 플로우를 매개변수로, 그리고 플로우에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학교도서관 이용기술, 학교도서관 이용에 대한 도전의욕, 학교도서관 이용형태, 학생의 학습유형을선정하여 이들 변수 사이의 인과관계를 중심으로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설문조사는 전국 293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하였고,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변수의 전반적인 인과관계는 학교도서관 이용기술이 이용유형에영향을 미치고, 이용유형은 학생의 학습유형에, 그리고 학생의 학습유형은 플로우를 거쳐 학교도서관 이용만족도에 영향을미치는 구조로 나타났다. 통계분석 결과를 통해 학교도서관의 이용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학생의 플로우 경험을 확대하고, 도서관 이용기술의 수준을 높일 필요가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으며, 그 방안을 사서교사의 구체적 역할과 관련지어 제시하였다.

Abstract

The domestic and foreign standards of school libraries suggest that school library should be run to give useful and pleasant experiences to students. This study applies Csikszentmihalyi’s ‘flow theory’ to analyze the relationships between students’ flow experience and their satisfaction about school libraries use. The variables selected in this study are students’ satisfaction, flow experience, library skill, challenge of library use, types of library use and students’ learning styles. The research model is designed by using these 6 variables in this study. The data are collected from 293 students and analyzed b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entire casual relationships show that library skills influence in types of library use, types of library use affect students’ learning styles and students’ learning styles influence in satisfaction through flow. To improve students’ satisfaction about school library use, this study proposes effective ways related to teacher librarians’ role performances to expand students’ flow experience and increase their library skills.

권선영(성균관대학교) ; 백지원(숭의여자대학교 문헌정보과) ; 차성종(숭의여자대학교) pp.141-169 https://doi.org/10.16981/kliss.46.3.201509.14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지역 산업체에서 요구하는 역량중심 인재양성과 학생들의 학습의 질 향상 등 글로벌화에 따른 대ㆍ내외환경변화에 적응할 수 있는 고등전문직업인 양성을 위한 NCS 기반 교육과정 개발과 개선을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교육과정을 운영한 후 사전/사후, 진단평가를 통해 교육성과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 NCS를 적용한 교과목은 교육성과가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교육성과와 운영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문헌정보학 전공 교과목의 NCS 적용에 있어향후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도서관 및 관련 업체의 이해관계자나 근로자, 교육기관 및 훈련 기관 관계자및 학생, 또 자격심사 관련자들이 국가직무능력표준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또 수정 보완할 사안에 대한 다양한 피드백을받아 차후 더욱 개선된 국가직무능력표준을 적용하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curriculum based on the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NCS) to raise the higher professional staffs that can adapt to environmental changes due to globalization and local industry demands and to improve the quality of learning and to accept policy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We conducted with the measurement of Educational performance by pre/post, 3 dignosis test. As a result, There were improvements in Educational Performance. Based upon Educational performance and analysis, several new directions for NCS education in the filed of LIS curriculum are suggested. We hope from this study that an application of NCS would be activated fully in Library, educational institutes and qualifying examination institutes and that diverse feedbacks from related parties would make a lead to a better updated version of NCS development in library.

이연옥(부산대학교) ; 장덕현(부산대학교) pp.171-199 https://doi.org/10.16981/kliss.46.3.201509.171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에서는 국내 거주 결혼이주여성이 직면하고 있는 건강과 관련한 정보 접근의 문제를 조명하기 위해 결혼이주여성의 건강정보 접근에 대한 경험을 탐색하고 이들의 경험에서 어떠한 장벽이 존재하는지 조사하였다. 구체적으로 12명의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질적데이터를 확보하여 분석함으로써 건강과 관련한 결혼이주여성의 정보요구는 무엇인가, 건강관련 정보에 어떻게 접근하고 있으며 활용하는 정보원은 무엇인가, 그 과정에서 직면하게 되는 어려움과 장벽은무엇인가를 그들의 경험을 통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결혼이주여성의 건강관련 정보에 대한 접근과 장벽을 제시한 이연구의 결과는 정부 및 공공기관으로 하여금 결혼이주여성에 대한 건강정보제공의 필요성을 인식시키며, 이들에 적합한건강정보제공을 위한 전략을 수립하는 데 시사점을 제공해줄 것이다.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he access to health-related information by migrant marriage women in Korea. Specifically, this study examined major issues, problems, and solutions related to immigrant women’s experiences of seeking health related information while they struggle to settle down. It also analyzed the barriers to accomplish their purposes. For this, the study collected interview data from 12 informants and analyzed the transcript by utilizing qualitative data analysis software, Nvivo10. It has been revealed that migrant marriage women have experienced difficulties to obtain quality health information although they tend to have more health related problems than their time in homelands because of marriage, pregnancy, and patriarchal family culture in a new environment.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e study will have the government and public agencies alerted the importance of public health information to migrant marriage women, and provide them with implications to build proper strategies.

정대근(전남대학교) ; 박성우(광주대학교) pp.201-224 https://doi.org/10.16981/kliss.46.3.201509.201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독서역할모델인 부모, 교사, 친구가 고등학생의 독서몰입, 독서만족, 독서지속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으며, 개인적 특성인 성별, 고등학교 계열, 학년에 따라 달라지는 영향력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고등학생의독서에 가장 영향을 많이 미치는 역할모델은 친구로 나타났으며, 남학생보다는 여학생이, 인문계열보다는 전문계열의학생들이 친구의 영향을 더 많이 받았다. 부모요인은 남학생, 고등학교 3학년 및 인문계열 학생에게 상대적으로 더많은 영향을 주었다. 반면, 교사의 경우 인문계열 학생보다 전문계열 학생들에게 영향을 더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영향력은 미미한 수준이었으며, 대부분의 요인에서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analyzes the influences on the reading flow, reading satisfaction, and continuous willingness to read books for parents, teachers, and friends as a reading role model to influence high school students and the differences in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gender, disciplines, and grade. The result shows that the most important contributor for high school students’ reading is friends and male students are more influenced by their friends than female students. In addition, students in vocational high school are more influenced by their friends than students in academic high school. Parents factor relatively affects the reading for male students, 3rd grade students in high school, and students in academic high school. On the other hand, teachers barely affect the reading factors for students.

김지현(이화여자대학교) pp.225-253 https://doi.org/10.16981/kliss.46.3.201509.22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아카이브에서 운영하는 페이스북 및 트위터 게시물의 내용 분석을 통해 아카이브와 이용자 간의상호작용 유형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다양한 아카이브 중에서 미국과 영국의 국립기록관 공식 페이스북과 트위터게시물에 대한 내용 분석을 실시하였다. 2015년 상반기에 등록된 미국 국립기록관 페이스북 게시물 66개와 트위터게시물 670개, 그리고 영국 국립기록관 페이스북 게시물 73개와 트위터 게시물 84개를 수집하여 네 가지 상호작용유형에 기반을 두어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소장자료 또는 온라인자원에 대한 정보공유 및 행사에 대한 정보배포가가장 일반적인 게시물의 상호작용 유형인 것으로 나타났다. 1대 1의 커뮤니케이션 또는 질문지나 투표 형식의 정보수집은 거의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주로 소장자료 유형의 게시물에 대한 이용자의 반응이 높았으며 시기적인특성에 맞는 인물이나 사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이용자의 관심과 참여를 유도하였다. 이용자의 참여를 촉진할수 있는 여러 가지 상호작용 유형을 고려하고 시의적절한 기록물을 발굴하여 기존의 웹 자원과 기록콘텐츠 및 다양한소셜미디어와 연결시켜 제공하려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nteractions between archives and users based on content analysis of posts of Facebook and Twitter operated by archival institutions. It focused on posts in official Facebooks and Twitters of the U.S. and the U.K. national archives. The posts included 66 in Facebook and 670 in Twitter of the U.S. national archives, as well as 73 in Facebook and 84 in Twitter of the U.K. national archive. The analysis showed that information sharing of in-house collections and online resources, as well as information dissemination of events were the most common interaction types of the posts. 1 and 1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gathering such as questionnaire or vote rarely happened. In addition, the extent of users’ responses was great on posts regarding information sharing of in-house collections. Providing information about people or events with timely manners motivated interests and participations of user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various types of interactions that facilitate user engagement. It is also important to make efforts to provide timely records in connection with exiting web resources and a variety of social media provided by archival institutions.

김갑선(중원대학교) pp.255-275 https://doi.org/10.16981/kliss.46.3.201509.255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approach to teachi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TQRM)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To draw trend of TQRM, 76 course syllabi collected in the research oriented universities’ master and doctoral programs, were analyzed using content analysis. The study proposes both common topics and essential strategies for TQRM in terms of the paradigm of qualitative research, research design, wide range of approaches to QR, diversity of collecting and analyzing data, writing, and evaluation criteria. It is very important to identify qualitative stance and to understand paradigms and philosophical and theoretical frameworks of QR for conducting QR reiteratively, creatively, reflectively.

송민선(성균관대학교 정보관리연구소) ; 고영만(성균관대학교) pp.277-299 https://doi.org/10.16981/kliss.46.3.201509.27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복합학의 특성을 띠는 한국학 분야 연구 논문을 대상으로 의미적 탐색 시스템 구축을 위한 메타데이터를체계적으로 구조화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학술 자료의 내용적 의미 구조를 정리한 기존의 연구들을 비교 분석하고, 이어서 한국학 분야 연구 논문에 수록된 저자키워드의 유형별 범주화 작업을 통해 한국학 분야에서 필요로 하는 연구 논문의의미적인 구조를 분석하였으며, 두 작업의 결과를 기반으로 한국학 분야 연구 논문의 의미적 탐색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의미구조 메타데이터 항목 16개를 도출하여 체계화 하였다. 본 연구는 실제 한국학 분야 연구자들이 필요로 하는 학술적지식을 반영할 수 있는 의미적 메타데이터 구성 방법론을 체계적으로 제시하였으며, 특히 한국학 분야 연구 자료의 내용적특성을 살펴보는데 있어 실제 연구자들이 부여한 키워드를 유형화하고 분석하여 반영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build a metadata set based on the semantic structure of the Korean studies research articles. For this purpose, we analyzed the related researches which suggested the semantic structure of the research articles, categorized the concepts of author keywords of the Korean studies research articles, and drew the metadata set of 16 elements from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nd the categorizatio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propose a semantic metadata configuration methodology which can reflect the scholarly sense-making of researchers in Korean studies. Especially, this study is significant because it reflects the keywords which was given by the actual researchers to examine the content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studies research articles.

김정현(전남대학교) pp.301-323 https://doi.org/10.16981/kliss.46.3.201509.301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records related to Korea shown in the cataloging records of major 10 Asia-Pacific university librari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To begin with, Korea-related records in most university libraries are very poor except for some libraries and are generally 2 times less than Japan related records. There are even 6 times less in 2 libraries. Second, most libraries organize records in MARC 21 format rather than UNIMARC, and apply subject headings of the national library, or go together with LCSH. Third, Korean materials usually write Korean in Roman characters, but 5 libraries are marked with the original Korean language and available Hangeul search. Forth, on investigation of the subject distribution in sub criteria of Korea-related records, subject related to ‘history , ’ ‘economy , ’ and ‘politics’ is largely shown in the highest rate. Fifth, Among the Korea-related subject heading, the terms such as ‘Taekwondo , ’ ‘Kimchi , ’ ‘Dokdo , ’ ‘Donghae , ’ ‘Duman-gang , ’ ‘Baekdu-san’ have different meanings in different libraries. However, these terms agree to LCSH in most libraries except for neighboring countries's libraries.

김혜주(한성대학교) pp.325-348 https://doi.org/10.16981/kliss.46.3.201509.325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curriculum model for the librarian training courses of disability services in the LIS curriculum. For this purpose, curriculums for the librarian disability service training courses in domestic and foreign were researched and analysed. The finally developed curriculum for the librarian training courses of disability service suggests a comprehensive necessarily share the curriculum content to be included in training courses for professional librarian library services to disability continued specialized courses and disability specialized courses.

고재민(수원과학대학교) ; 조현양(경기대학교) ; 고흥권(수원과학대학교) pp.349-379 https://doi.org/10.16981/kliss.46.3.201509.349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In the 1980's opening 79 of the end of 2013, the National Public Library that had been It was 885 its opening remains in effect. Especially in the 2000s after 60% of the whole library, a library erected since the advent of the library is enough to be a significant quantitative expansion. The resulting to make a qualitative aspect of public libraries and increase users ' needs for efficient space configuration. IIn particular, the user is to serve the needs of digital reading room and the increase of the cultural training changes after 2000 years ago, and appears as due to the implications of space configuration in an age-appropriate library space off the rate plan is a necessary point. The study in the 1980s-1990s, built public library established since the year 2000 centered on public library mutual comparative analysis of space configuration form. Book reading function was the conservation and highlight 1980-1990s and considered by the side of the users culture area extended since the 2000s, public library takes the difference between the ratio of the area of the facility by the area in which you can meet the standards required and the age.

홍현진(전남대학교) ; 노영희(건국대학교) ; 강미희(전남대학교) ; 정대근(전남대학교) pp.381-405 https://doi.org/10.16981/kliss.46.3.201509.381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This research performed on the development process of subject guide of Korean modern literature is to show subject guide and find improvements and to reflect user's requests regarding subject access too development. Survey was performed on user's awareness and the result from analyzing 307 questionnaires are as follow. Firstly, understanding and utilization experience of subject guide were very low while future intension to utilize the subject guide was very high. Secondly, not only the original materials but also derived materials showed high result regarding the importance of production type of Korean modern literature. Lastly, Regarding the establishment of materials, establishment by writer, genre, time or trend was preferred in overall but difference was shown by group.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