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메뉴

한국에서의 상담에 대한 질적 연구

A Qualitative Study on Counseling in Korea

초록

본 연구는 한국에서 상담실무를 담당하는 상담자들의 경험에 근거하여 한국에서의 상담에 대해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질적 분석 방법을 통해 한국에서의 상담에 대한 심층적이고 경험적인 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상담실무를 10년 이상 30년 이하 진행하고 현재 주 1회 이상 상담을 진행하고 있고, 자격증을 소지한지 5년 이상 경과한 상담심리전문가로 연구참여에 동의한 8명이다. 연구결과, 대부분의 내담자들은 ‘자신의 고통에서 벗어나고 싶을 때’ 상담자를 찾아오게 되고, 상담과정 중 ‘상담자의 온전한 이해, 공감 및 받아들여지는 경험’과 ‘자기문제의 실체파악을 통한 인식전환’을 통해 변화된다고 응답하였다. 내담자 문제해결을 위해 상담자는 ‘정서적으로 버텨나가게 해주는 동반자 역할’을 하는 것이며, 이러한 상담자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상담자의 인격과 특성’이 가장 중요하다고 하였다. 또한 한국적 상담은 일반적으로 논의되는 상담과 본질적으로 차이가 없으나 한국 문화적 측면의 차이가 있을 수 있다고 응답하였다. 그 차이의 구체적인 내용으로는 의존적이고 답을 구하려는 내담자의 상담에 대한 기대와 눈치 봐야 하는 집단문화를 꼽았고, 상담에서 드러나는 주 호소문제는 관계문화로 인한 혼란이라 지적하였다. 한국적 상담이라는 용어의 사용에는 경험적 연구가 필요하다는 신중한 태도를 취하고 있었다. 내담자들이 기대하는 한국 상담자의 역할과 전문성, 상담발전 방안에 대한 연구결과와 함께 앞으로의 연구방향에 대한 논의가 제시되었다.

keywords
Counseling in Korea, Culture differences, Qualitative research, 한국에서의 상담, 한국적 상담, 문화적 차이, 질적 분석, Counseling in Korea, Culture differences, Qualitative research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definition and nature of counseling, the differences between counseling theory and practice, and development plans for counseling in Korea. Eight counselors were interviewed and the interview data were analyzed based on the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The research Participant reported that counseling is professional activities facilitating personal growth through solving problems of which clients experienced difficulties and agony. And they reported that clients' changes in counseling resulted from experiencing to be understood and accepted by counselors, and through objectively figuring out the problems. Therefore counselor's mature humanity was very important for emotionally holding clients.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counseling theories and practices and thoroughly understanding theories and wide experiences in counseling practices were necessary. The main character of problems clients appealing in Korea was difficulties of adaptation in relational culture restricting a person. Expected counselors' role and professional elements, efforts necessary for counseling development in Korea, were included. The implications of the current study were discussed.

keywords
Counseling in Korea, Culture differences, Qualitative research, 한국에서의 상담, 한국적 상담, 문화적 차이, 질적 분석, Counseling in Korea, Culture differences, Qualitative research

참고문헌

1.

강영주 (2002). 한국사회에 나타난 심리적 세대 집단의 권위주의적 성향비교.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금명자 (2002). 청소년 내담자와 상담자의 상담에 대한 기대 차이 및 문화적 특성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4(3), 529-546.

3.

금명자, 이장호 (1991). 우리나라 대학생의 상담에 대한 기대, 한국연구, 26(1), 1-18.

4.

김창대 (1994). 상담과학의 문화적 맥락. 청소년 상담연구, 제 2호, 19-41.

5.

박재황 (1990). Relationship of culture and attributional style to anticipation about counseling. 대학상담연구, 1(1), 89-104.

6.

양미진, 이영희 (2006). 질적 분석을 통한 비자발적 청소년 내담자의 상담지속요인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8(1), 1-20.

7.

유성경 (2005). 한국 대학생의 상담, 심리치료, 정신치료에 대한 태도,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7(5), 617-632.

8.

윤호균 (1983). 삶, 상담, 상담자 - 심리상담에 대한 동양적 접근. 서울: 문지사.

9.

이동식 (1987). 한국인의 주체성과 도. 서울: 일지사.

10.

이동식 (1994). 상담의 이론과 실제. 서울: 중앙적성출판사.

11.

이미선 (1997). 한국적 상담 이론의 필요성에 대한 고찰.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동국대학교.

12.

이영희 (1982). 문화와 상담: 문화지향적 상담을 위한 서론. 숙명여자대학교 논문집. 제 23집, 119-144.

13.

이은순 (1989). 한국문화 종교적 측면에서 본 상담, 이화여자 대학원 논문집(2), 59-74.

14.

이장호, 김정희 (1989). 동양적 상담이론 모형의 탐색,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1), 5-15.

15.

이형득 (1992). 상담이론. 서울: 교육과학사.

16.

장성숙 (1999). 한국적 상담의 필요성: 현실역동 상담,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1(2), 19-33.

17.

장성숙 (2003). 한국문화와 현실역동상담의 상담자-내담자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5(2) 147-160.

18.

주은선 (1998). 한국심리치료자들의 치료적 관계-서구 문화권 심리치료자들과의 비교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7(1), 39- 56.

19.

주은선 (2006). 한국에서의 심리치료: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에 도전받는 과제들의 예비 탐색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 일반, 25(2), 103-120.

20.

주은선, Bae. S. H., & Orlinsky. D. E. (2003). 한국심리치료자들의 특성과 실문현황-심리치료자들의 성장을 위한 국제연구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과 심리치료, 15(3), 423-439.

21.

최윤미 (2003). 한국 상담전문가의 역할과 직문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5(2), 179-200.

22.

최해림 (2002). 한국 상담자의 상담윤리에 대한 기초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4(4), 805-828.

23.

최해림, 김영혜 (2006). 한국의 상담자 교육과 훈련에 관한 연구-상담심리 석박사 교과과정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8(4), 713-729.

24.

한규석 (2006). 한국인의 문화심리학이 던지는 도전: 심리학에서 토착심리학의 가치. 한국심리학회 연차대회 발표논문집, pp. 16-17.

25.

한국상담심리학회 (2007). 한국상담심리학회: 자격증 http://krcpa.or.kr/tt/site/ttboard.cgi?db =member_2에서 2007. 5. 26 인출.

26.

한국청소년상담원 (2006). 한국청소년 상담원: 새소식 http://kyci.or.kr/news에서 2007. 5. 26 인출.

27.

홍희기 (2002). 한국적 상담이론의 정립을 위한 탐색적 연구.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연세대학교.

28.

Azuma, H. (2000). Commentary: Indigenous to what? Newsletter for the International Society for the study of behavioral cdevelopment. 26(10).

29.

Hill. C. E., Thompson. B. J., & Williams. E. N. (1997). A Guide to conducting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The Counseling Psychologist, 25, 517-572.

30.

Hill. C. E., Knox, S., Thompson, B. J., Williams. E. N., Hess. S. A., & Ladany. N. (2005). Consensual Qualitive Research: An Update.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52, 196-205.

31.

Mahoney, M. J. (1991). Human change process. New York: Baxic Books.

32.

Murase, T. (1982). Sunao: a central value in Japanese psychothrepy. In A. J. Marsella & G..M. White (Eds.). Cultural conceptions of mental health and therapy (pp. 317-329). Boston: D. Reidel Publishing.

33.

Stein, H. F. (1983). An anthropological view of family therapy. In D. Bagarozzi, A. Jurich and R. Jackson (Eds.). Marital and family therapy. New York: Human Sciences Press.

logo